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익찬”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6품 관직. [내용] 좌익찬(左翊贊)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우익위(右翊衛)가 개칭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좌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는...
  • 좌익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6품 관직. [내용] ()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익위(左翊衛)가 변하여 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 익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6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 각 1인씩이었다. 1418년(태종 18)에 좌‧우익위(左右翊衛)를 고친 이름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좌‧...
  • 세자익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씩으로 정5품, 좌우사어(左右司禦)가 각각 1인씩으로 종5품, 좌(左)이 각각 1인씩으로 정6품, 좌우위솔(左右衛率)이 각각 1인씩으로 종6품, 좌우부솔(左右副率)이 각각 1인씩으로 정7품, 좌우시직(左右侍直)이 각각 1인씩으로 정8품, 좌우세마(左右洗馬)가...
    이칭별칭계방
  •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들 2명이 세자의 시위를 담당하였다. 1418년(태종 18) 6월 7일에 별도로 세자익위사를 설치하면서 기왕의 세자좌사위(世子左司衛)를 좌익위(左翊衛)로, 세자우사위를 우익위로 하였으며 기왕의 좌익위와 우익위는 좌익찬(左翼贊)과 으로 하여 4명을 정원으로 하는...
    상위어정오품(正五品) 아문(衙門) | 하위어사어(司禦), 세마(洗馬), 시직(侍直), 위솔(衛率), 익위(翊衛), 익찬(翊贊), 부솔(副率), 동궁위사(東宮衛士), 좌시직(左侍直), 우시직(右侍直), 좌사위(左司衛), 우사위(右司衛) | 동의어계방(桂坊), 익위사(翊衛司) | 관련어세자관속(世子官屬), 배위계방(陪衛桂坊), 계방고사(桂坊故事), 황태자익위사(皇太子翊衛司), 이왕직(李王職) 서무계(庶務係),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 장사(長史), 종사(從史), 시위(侍衛), 급사(給事), 세자시종관(世子侍從官), 갑관(甲觀), 경종춘방일기(景宗春坊日記), 현종동궁일기(顯宗東宮日記), 황태자궁시강원(皇太子宮侍講院), 경연(經筵), 서연(書筵), 서연관(書筵官),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동궁아관(東宮衙官), 급사(給事)

고서·고문서(5)

  • 33584 B033584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高宗 12年 1月 1日_049 ○兵批, 行判書李載元進, 參判李珪永病, 參議鄭匡始病, 參知張時杓入直, 承旨缺。 以尹宗儀爲左翊衛, 李喬榮爲右翊衛, 李憲稙爲左司禦, 洪善周爲右司禦, 金永應爲左翊贊, 柳敎祚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551 B017551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高宗 13年 12月 20日_056 爲武兼, 李圭泰爲守門將, 姜漢奎爲永建萬戶, 閔哲鎬爲, 金昌燮爲都摠都事, 元在貞爲右捕從事官, 崔奎五爲部將, 任百揆爲守門將, 李德雨爲訓鍊主簿, 元俊常爲武兼, 姜道興爲守門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10_王安石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余於此深有歎咤者. 古今君臣際會, 最是難遇. 管仲、諸葛之後, 惟安石在. 苟能順民心而回古道, 捨財利而行仁義, 時君必從之. 易其褊心, 收召群彦如程明道、司馬溫公之徒, 濟濟彙進, 左, 庶幾王道之復行. 失此機會, 迷舛不回, 徒成乖亂之歸. 夫法弊久矣, 理不可不變, 只緣安石一著...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책봉하자, 세자익위사 이 되어 嘉禮에 참여하였다. 이후충훈부도사‧의성현령‧돈령부도 정‧용양위부호군에 오르고, 1841년 청백리로 뽑혔다. 장수현감으로 부임한 것을 축하하며, 지방 수령으로 부모를 잘 모실 수 있게 된 것도 축하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목민관으로서의...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연령) 왕 력 기 사 1880 (39세) ○1월,元子의冠禮‧冊禮를 병행하고 世子翊衛司에 제수. 청양현감에 명해짐. ○3월,李志淳‧柳台佐와 백마강‧고란사‧낙화암 등 유람. ○5월,翊衛司司禦에 제수.사은하고 말미를 얻어 歸覲. 靜窩趙錫喆을 곡함(제문).江皐草廬낙성...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좌익찬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우익위가 개칭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로 고치면서 좌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자제 및 재상자제로서 마땅한 자를 임

  • 익찬 / 翊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 각 1인씩이었다. 1418년(태종 18)에 좌·우익위를 고친 이름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로 고치면서 좌·을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자제 및

  • 좌익찬 / 左翊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익위(左翊衛)가 변하여 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世子左右司)로 고치면서 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