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익위”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5품 관직. [내용] 좌익위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우사어(右司禦)가 개칭된 것이다. 좌익위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강(經講)의 질의응답에 참가하여 세자를 보위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격...
  • 대장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수(隋)나라 때 군직의 하나.
    정의중국 수(隋)나라 때 군직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Uigwi daejanggun | MR표기Uigwi taejang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좌익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5품 관직. [내용] ()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사어(左司禦)가 변하여 된 것으로, 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서(經書) 강독의 질의응답에 참가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
  • 우사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종5품 관직. [내용] 좌사어(左司禦)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世子官屬)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우사어는 로 개칭되었다. 특...
  • 설세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수나라의 장군으로, 수주 양광의 명으로 옥저도로나온다. 613년 제2차 고구려 침입 때 우 후위장군이 되어 오골성으로 향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4)

  • 1645년 안방준(安邦俊)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45년(인조23)8월 11일에 병조에서 안방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세자익위사는 조선시대에 동궁의 시위(侍衛)를 맡아본 관청이며, 익위는 세자익위사의 정5품 관직으로 좌․2명이 있...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752 B001752 가배량 加背梁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32年 1月 10日_014 ... , 金周鼎爲仁遮外萬戶, 趙忠廉爲兎城僉使, 李宇恒爲同知, 李應斗爲同知, 金煥文爲馬島萬戶, 全南村別將, 劉弼漢爲新門別將, 趙以雄爲林土別將, 姜碩興爲金城山城別將, 洪就疇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55 B001755 가배량 加背梁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32年 1月 10日_014 ... , 金周鼎爲仁遮外萬戶, 趙忠廉爲兎城僉使, 李宇恒爲同知, 李應斗爲同知, 金煥文爲 馬島萬戶, 全南村別將, 劉弼漢爲新門別將, 趙以雄爲林土別將, 姜碩興爲金城山城別將, 洪就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418 B001418 가리포 加里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7年 4月 7日_024 ○以雲山君梄爲都摠管, 尹得養爲副摠管, 池三陟營將, 吳載純爲右長史, 金九重爲宣沙浦僉使, 金光白·李漢昌爲內禁將, 洪錫福爲加里浦僉使, 李廷柱爲臨淄僉使, 安命賢爲群山浦僉使, 鄭道衡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6262 B036262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1年 8月 30日_014 ○以李德來爲戶曹參判, 李山斗爲禮曹佐郞, 尹審爲漢城判官, 李懲夏[李徵夏]爲典籍, 申致重爲掌苑別提, 具梡爲司畜別提, 韓顯謩爲軍資正, 李周鎭爲獻納, 安允福爲興海郡守, 池南海...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5품 관직. 좌익위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우사어가 개칭된 것이다. 좌익위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강의 질의응답에 참가하여 세자를 보위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격하였다. 강연 외에 담제의례, 왕세자와 사·부·빈객의 상견례 및 서

  • 좌익위 / 左翊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5품 관직. ()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 좌사어(左司禦)가 변하여 된 것으로, 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서강독의 질의응답에 참가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격하였다. 강연 외에 담제의례, 왕세자의 사·부·빈객 상견례

  • 우익찬 / 右翊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좌익찬과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가 개칭된 것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로 고치면서 좌익찬과 함께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자제 및 재상자제로서 마땅한 자를

  • 익찬 / 翊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6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우익찬 각 1인씩이었다. 1418년(태종 18)에 좌·를 고친 이름이다. 처음 익위사를 설치하여 세자좌우사로 고치면서 좌·우익찬을 두게 되었는데, 세자가 갑사 중에서 선발, 임명하거나 또는 공신자제 및

  • 우사어 / 右司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 종5품 관직. 좌사어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우사어는 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師)·부(傅)·빈객(賓客) 상견례 등에서는 좌사어와 좌우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