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의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44)
사전(1,276)
- 우의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우상(右相)‧우정승(右政丞)‧우규(右揆)‧단규(端揆)‧우합(右閤)‧우대(右臺) 등으로도 불렸다. [내용] 우의정은 1400년(정종 2) 4월 고려 충렬왕 이래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가 의...이칭별칭우상
- 우의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우의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정부에 속한 정1품 벼슬정의의정부에 속한 정1품 벼슬 | 문광부표기Uuijeong | MR표기Uŭij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우의정(右議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우의정 우의정 右議政 우정승(右政丞) 영의정(領議政), 의정부(議政府), 좌의정(左議政) 찬성(贊成) 단규(端揆), 우규(右揆), 우대(右臺), 우상(右相), 우합(右閤) 대신(大臣), 비변사도제조(備邊司都提調), 삼공(三公), 상신(相臣...상위어영의정(領議政), 의정부(議政府), 좌의정(左議政) | 하위어찬성(贊成) | 동의어단규(端揆), 우규(右揆), 우대(右臺), 우상(右相), 우합(右閤) | 관련어대신(大臣), 비변사도제조(備邊司都提調), 삼공(三公), 상신(相臣), 총리대신(摠理大臣)
- 영경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삼의정이 겸직한 문반 관직. [내용] 경연관 중 가장 높은 관직이다. 대개 영의정‧좌의정‧우의정 3인이 겸하였다. 기록상 영경연사가 처음 나타나는 것은 1390년(공양왕 2) 1월에 문하시중(종1품)과 수(守)문하시중을 이에 임...
고서·고문서(1,264)
- 우의정 계본(啓本)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계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계
- 四月。 以洪暹爲右議政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四月。 以洪暹爲右議政 28_119_055.jpg ○四月。 以洪暹爲右議政。 暹有文名, 無操守, 容身保祿而已。 是時, 輿望屬于李滉, 召命重疊, 滉不至, 乃以暹卜相, 士林失望。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故右議政眉叟許公畫像贊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20 文集 卷十二 ITKC_MP_0597A_0120_060_0040 故右議政眉叟許公畫像贊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贊頌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文集 卷十二 | 문체雜著類|贊頌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六月, 右議政李鐸以病免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六月, 右議政李鐸以病免官 29_207_008.jpg ○六月, 右議政李鐸以病免官。 鐸居相位, 別無建白, 而常懷扶護士林之志, 故人望重之。 ○時以旱災及太白晝見, 避正殿。 大臣以暑月請復正殿, 上答曰: “太白未伏, 方懷危懼, 安可遽復...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六月, 右議政盧守愼白上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六月, 右議政盧守愼白上曰 29_207_021.jpg ○六月, 右議政盧守愼白上曰: “戶曹判書, 必以有心計年未老者委任, 可也。 正二品之列, 無此等人。 願簡自聖心, 擢而用之。” 上曰: “年少之人, 有欲爲戶判者乎?” 守愼慙而退。 副...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신문·잡지(3)
- 정로_1946_0426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우리 당은 과거에 지나온 역사적 사명과 앞으로 개척할 민족적 책임에서 민주주의적 우의정당 급 단체들과 같이 모쓰크바삼국외상안을 적극 지지하야 온 것입니다. 남조선에 있어서 삼국외상안을 정쟁의 도구 지가 선전의 간판으로서 악용하야 민중을 이끌고 반대 시위를 큰 일로 삼는...대표표제어정로_1946_0426_02 | 책임주필태성수
- 투사신문_1950_0608_01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국자 려운형은 조국의 통일과 민주를 위하여 투쟁하였다하여 학살당하였고 1949년에는 우의정당 지도자 김구가 남북 제정당 사회단체 지도자 련석회의에 참가하고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주장하였다하여 리승만에 의하여 학살당하였다. 이와 같은 리유로서 또한 남반부 우의 정당 지...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608_01_01 | 책임주필한호
- 투사신문_1948_1108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없을 것인가를 제의하는 바이다. 나는 귀 대표들에게 우의정신으로서 관용을 발휘하며 호상 협조할 것을 호소하는 바이며 또한 우리들은 행동에 있어서나 언사에 있어서나 침략을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만약 우리들이 적어도 가까운 장래에 전쟁이 유발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108_04
기타자료(1)
- 이순희;李順姬;금원순희;金原順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5134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49면 (학과)본과신제도 이순희;李順姬;금원순희;金原順姬 만주국 신경시 우의정 1-16 7회 1929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30)
-
우의정 / 右議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우의정은 1400년(정종 2) 4월 의정부로 개편되면서 설치. 1401년(태종 1) 7월 의정부로 개칭하면서 의정부우정승으로 고쳤다. 1414년 4월에 의정부서사를 나누어 육조에 귀속시켜 의정부 기능이 축소되어 의정
-
인선왕후 / 仁宣王后 [정치·법제/법제·행정]
1618(광해군 10)∼1674(현종 15). 조선 제17대 왕 효종의 비.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장유(張維)의 딸이며, 어머니는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딸이다.
-
김익 / 金熤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3∼1790). 우의정으로 진주 겸 주청사의 정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다시 동지사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응교·대사헌·강호유수·우의정 등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
강홍립 / 姜弘立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온 증손,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 아버지는 참판 강신, 어머니는 정유의 딸이다. 1597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한성부우윤, 순검사, 오도원수 등을 역임하였다.
-
권돈인 / 權敦仁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1783∼1859). 동지사의 서장관과 진하 겸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이조판서와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철종의 증조인 진종의 조천례에 관한 주청으로 인해 순흥으로 유배되었다. 서화에 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