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윤” 에 대한 검색결과 1,3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35)

사전(57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6부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각 3부를 통괄하는 좌육사(左六司)와 우육사(右六司)가 있다. 은 우육사의 책임자로서 당나라의 우승(右丞)에 비견될 수 있다. 우육사에는 당나라의 육전조직(六典組織)에서 병부(兵部)에 해당하는 지부(智部), 형부(刑部)에 해당...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한성부의 종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한성부에는 판윤을 최고행정책임자로 하고 부책임자로 종2품관인 부윤(府尹) 2인을 두었는데,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개혁하면서 부윤을 좌윤과 으로 하였다. 1894년(고...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한성부에 설치하였던 부책임자격 종2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한성부에 설치하였던 부책임자격 종2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uyun | MR표기uy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L12_O_0005 윤리 迂闊, 洪水, 大旱 韓嬰, 紂, 舜, 瞽瞍, 堯, 董仲舒, 湯, 馮時可, 沈佺期 韓詩外傳, 詩, 滇行日記 O_05_02_11 오주연문장전산고 5권 2장 11절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5권 2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용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김(金)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8년 후손 명환(明煥)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기(鄭琦)의 서문이, 권말에 명환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고서·고문서(736)

  • 苕川逸人【用謙】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1830 苕川逸人【用謙】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四月。 特拜李憲國爲漢城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四月。 特拜李憲國爲漢城府 30_189_115.jpg ○四月。 特拜李憲國爲漢城府。 憲國以都承旨被憲府劾以不合銀臺之長, 雖不蒙允, 憲國自知不爲士論所與, 乃引疾不出。 上以士類分別甄品爲矯激, 故特陞憲國, 以抑士論。 諫院爭以不當...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祭(李)【(純亨)】文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祭文 80 祭(李)【(純亨)】文 41_112_110.jpg 祭(李)【(純亨)】文 我生不辰, 早失所怙。 諸父繼逝, 門黨零丁。 只一叔父, 別多會鮮。 忽承訃音, 驚慟心摧。 瑣尾海濱, 執紼無路。 緘辭寫哀, 庶幾顧臨。 嗚呼! 哀哉。 尙饗...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850년 최처효(崔處孝), 최(崔) 등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53년 최철효(崔喆孝), 최(崔) 등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1)

  • 가끔 제가 한 숟갈씩 먹기는 했는데 그 분유 맛은 아니에요. 데 뭔가 좀 심심하면서도 우유 맛이 나는. [조사자: 요즘 애들 학교에서 먹는 ‘멸균우유’라고 되게 연하면서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그런 건가보다.] 아무튼 따듯한 거라서 그거만 나오면 좋은 거죠. 그거랑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김설화 [중국(한국계), 여, 1983년생, 유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

  • Two Tails of Housing-led Urban Regeneration Policy Network: The UK and South Korea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우윤석, 게재일 : 2013
    45782 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Routledge 2013 Two Tails of Housing-led Urban Regeneration Policy Network: The UK and South Korea h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9)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基(雲泉商店) 서울 基 雲泉商店 鍾路 4-150 가정용품 - 도자기 도매 168.39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禹潤基(雲泉商店) | 지역서울 | 품목가정용품 | 영업종목도자기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혜민원참셔관 묵 송면 리우명 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혜민원참셔관 묵 송면 리우명 김희 윤승쥰 김영근 리졍우 졍익호에 뎡삼품 류홍 오품 김셩락 구품홍범식 송병린 송흠슉 셩영익으로임다 以上十月卄七日 즁츄원의관 조긔각 졍두긔 김셕희 문졍환 양희셕 리상렬 리동우에 뎡삼품 심보셥 심의봉 송병인 김영규 륙품최홍쥬
    게재일1902년 11월 3일 | 기사분류관보
  • 동남아제국 행정관리제도 시찰보고 장수영 6 제2차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한국경제 희 18 직위분류작업의 현황 김원길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 자궁질부 결여증의 일례 신현술 94 춘일우상 박 97 의약계 뉴-스 99 편...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 수필-인생낙제생 이세근 50 외자도입의 공과-경제개발에는 얼마나 이바지했는가 희 53 내외시장 면에서 본 기간산업 민병채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기타자료(13)

  • 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6720 남한 경남 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2-49 졸업대장(1928-1948) n.r. 135면 순;順 제17회(제6회) 4278년 3월 2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5069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9면 박;朴 부산부 鹽洲町 321 1926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7316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11면 박;朴 부산부 鹽洲町 321 1926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4247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41면 1. 卒業生;4) 4회(41명: 1912년 3월 졸업) 기;基 경성부 鍾路4정목(光 1649)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발해 입조사들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과 함께 발해의 삼성(三省)을 구성하였다. 장관은 대내상(大內相)이며 그 아래에 좌사정(左司政)과 우사정(右司政)·좌윤(左允)·()이 있어 6부를 분장하였다.(崔根泳 외, 1994, 『日本六國史 韓國關係記事(譯註)』,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국사편찬위원회, 200...
    대표표제어발해 입조사들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36년(丙申/후백제 신검 2/고려 태조 19/後唐 末帝 淸泰 3, 後晉 高祖 天福 1/日本 朱雀天皇 承平 6)

주제어사전(30)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의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한성부에는 판윤을 최고행정책임자로 하고 부책임자로 종2품관인 부윤(府尹) 2인을 두었는데,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개혁하면서 부윤을 좌윤과 으로 하였다. 1894년(고종 31) 관제개혁 때 폐지되었다.

  • 교우론 / 交 [종교·철학/천주교]

    조선시대 중국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 리치가 교우 관계에 대해 서술한 교리서.천주교교리서. 리치는 1595년 봄에 남포(南浦)에서 건안왕(建安王)을 만났는데, 이때 서양의 우정에 대해 질문을 받자 이를 계기로 평소에 들었던 아리스토텔레스와 키케로 등의 우정론을 바탕

  • 좌윤 / 左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부의 종2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9년(예종 1) 한성부에 설치되었다. 즉, 한성부에는 종2품의 윤(尹)이 2인 있었는데, 1469년의 관제개혁 때 좌윤 1인, 1인으로 개칭하였다. 그 뒤 그대로 존속되다가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 강홍립 / 姜弘立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강온 증손, 할아버지는 우의정 강사상, 아버지는 참판 강신, 어머니는 정유의 딸이다. 1597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한성부, 순검사, 오도원수 등을 역임하였다.

  • 남태기 / 南泰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9∼1763). 1732년(영조 8) 정시문과 을과급제 후 형조참판·한성부좌·예조판서 등을 지냈다. 이조좌랑으로서《속대전》을 수찬하였고 통신부사로서 일본에 다녀왔다. 문장과 글씨에도 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