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수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수영
연구성과물(353)
사전(89)
- 우수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전담하는 주진을 우수영, 동편 즉 좌편을 전담하는 주진을 좌수영이라 하였다. 전라도우수영은 처음에 무안에 두었다가 1465년(세조 11) 이후 해남(海南 : 지금의 우수영)으로 옮기고, 경상도우수영은 처음에 거제에 두었다가 1604년(선조 37) 고성(固城...
- 우수영(右水營)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244 제도 우수영(右水營) 우수영 右水營 조선시대 전라도와 경상도 서편에 설치한 수군의 주진(主鎭). 조선시대 왜구와의 접촉이 심했던 전라도와 경상도에 한하여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가 상주하는 주진을 각각 두 곳에 설치하였는데...유형분류제도
- 우수영부녀농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의 부녀자들이 농사일을 하면서 부르던 민요. [내용]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의 부녀자들이 농사일을 하면서 부르던 민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0호. 1987년 8월에 지정되었다. 우수영은...연계항목우수영부녀농요(右水營婦女農謠)
- 전라우수영성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에 있는 조선시대 전라우도 수군절도사의 성터. [내용] 전라남도 기념물 제139호. 전라우수영은 처음에는 지금의 함평군 학교면 학교리에 있는 당시 무안(務安)의 대굴포(大掘浦)에 있었던 수군처치...연계항목전라우수영성지(全羅右水營城址)
- 전라우수영성지(全羅右水營城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653 유적 전라우수영성지(全羅右水營城址) 전라우수영성지 全羅右水營城址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동외리에 있는 조선시대 전라우도 수군절도사의 성터. 전라우수영은 처음에는 지금의 함평군 학교면 학교리에 있는 당시 무안(務安)의 대굴...유형분류유적
고서·고문서(231)
- 호우수영지(湖右水營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851년 편찬된, 전라도 우수사가 중앙으로 보고한 공문서를 편집한 책이다. 전라우수영은 전라도 해남군 황원면(黃原面)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서상리, 동외리 일대에 해당된다. 본 책은 일반적인 읍지와는 완전히 다른 구성...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1841년 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첩정(牒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첩정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 1841년 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첩정(牒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첩정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 1842년 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첩정(牒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첩정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 1842년 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첩정(牒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첩정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 현소장처영광 입석 영월신씨
구술자료(14)
- 경상우수영 시절의 추봉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이야기가 끝나고 추봉도를 그린 그림을 보여주면서, 손자에게 그리라고 했다며, 조사자에게도 한부 가져가라고 했다. 그런 후 곧 이 이야기 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11. 14. (금) | 조사장소경남 통영시 한산면 추봉리 예곡 197번지 제보자의 집 | 제보자손귀진
- 전남 우수영 농악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전남 우수영 농악 대담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F-307 362 전남 대담조사자료 1) 전라남도 우수영의 음악인과 농악에 대한 대담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전상열
- MBC 한국민요대전 기타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MBC 한국민요대전 기타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L-1544 3532 전남 기타녹음자료 1) 전라남도 해남군 문래면 우수영의 MBC 라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순례
- MBC 한국민요대전 기타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MBC 한국민요대전 기타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L-1544 3532 전남 기타녹음자료 1) 전라남도 해남군 문래면 우수영의 MBC 라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순자
- MBC 한국민요대전 기타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MBC 한국민요대전 기타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L-1544 3532 전남 기타녹음자료 1) 전라남도 해남군 문래면 우수영의 MBC 라자료구분상세기타녹음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양혜
신문·잡지(14)
- 민세안재홍전집 : 鳴梁海大激戰!(上)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840 1934 9 22 15 11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十一) 鳴梁海大激戰!(上) 海上秋風,悲憤한待橫!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右水營, 統制使, 會寧浦, 거북선, 碧...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鳴梁海碧波津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838 1934 9 20 15 9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九) 鳴梁海碧波津 慘憺戰地도 明麗風景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古今島, 莞島, 珍島, 碧波亭, 右水營, 鳴梁, 裵...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鳴梁海大激戰! (中)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841 1934 9 23 15 12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 (十二) 鳴梁海大激戰! (中) 激浪에뛰노는戰鬪魂!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天龍丸, 碧波津, 右水營, 別望軍,...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公旣勝又巡海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843 1934 9 27 15 14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 (十四) 公旣勝又巡海 西海處處가我公舊跡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右水營, 黃海, 多島海, 元山, 咸興, 瀨戶,...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전남교육_1972_03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낡은 100점 만점 교육의 지양책 김문효 120 벌, 나비는 아니 되오리다 최국남 123 우수영의 노래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멀티미디어(2)
- 제 13회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를 알리는 영상. 지방 민속예술 경연에서 대통령상에 충북 탄금대 방아타령이 선정되고 민요부분에서는 전라남도 우수영 부녀농효가 국무총리상을 받았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2년 10월 28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전라남도 해남군 우수영에 전해 내려오는 강강수월래의 무용 모습과 유래를 소개하는 영상. 강강수월래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협 당시 전략의 일환으로 부녀자들을 동원했던 것인데, 그것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영상은 강강수월래에 담겨 있는 의미를 알고 조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69년
기타자료(3)
- 송재철;宋在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2486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10호 1930―03 103면 송재철;宋在哲 전남 右水營蓮營농림학교 교유 제9회 1921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찬애;曹賛愛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788 일본 京都 同志社女學校 (1929년 6월 10일 조사) 學友會同窓會名簿 1929―07―10 121면 조찬애;曹賛愛 조선 전남 우수영 동외리 963 1928년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同志社女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재철;宋在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0363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9호 1929―01―10 114면 송재철;宋在哲 전남 해남군 우수영 사립蓮營농림학교 교유 제9회 1921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우수영 / 右水營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전라도와 경상도에 설치한 수군의 주진. 조선시대에는 왜구와 접촉이 극심한 전라도와 경상도에 한하여 수군절도사가 상주하는 주진을 각각 두 곳에 설치. 한성에서 보아 각 도의 서편, 즉 우편을 전담하는 주진을 우수영, 동편 즉 좌편을 전담하는 주진을 좌수영이라
-
수영 / 水營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수군절도사가 주재하던 병영. ≪경국대전≫ 의하면 수영이 설치된 곳은 다음과 같다. 즉, 경기도는 남양화량만, 충청도는 보령, 경상도는 동래에 좌수영, 가배량에 우수영, 전라도는 순천 오동포에 좌수영, 해남에 우수영을 두었다. 조선 초기의 수군편성이 엄격한
-
방패선 / 防牌船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중형 전투함. 방패선은 선체의 상갑판 위 양쪽 뱃전에 적당한 높이의 방패판을 세워 적의 화살과 돌로부터 군사를 보호한 전투함이다. ≪전라우수영지≫에 따르면, 본영 전선 180인, 각 진 164인, 본영 방패선은 55인, 각 읍진 방패선은 31인이다. 또
-
역학훈도 / 譯學訓導 [정치·법제/법제·행정]
왜학훈도를 혁파하고 대신 경상도 통영 및 전라도 좌수영·우수영 그리고 제주에 한학·왜학훈도 각 1인씩을 두었다. 또, 함경도와 평안도의 안주·선천·강계에 각 1인의 한학훈도와 의주에 여진학훈도 1인을 증치하였다.
-
광주시립무용단 / 光州市立舞踊團 [예술·체육/무용]
제25회 「사랑의 마술사」, 제48회 「돈키호테」, 광주문화예술개관 및 제50회 「백조의 호수」, 제59회 「코펠리아」(이상전막) 등의 고전발레와 한편, 제22회 「춘향전」, 제45회 「장희빈」, 10주년 기념공연 「심청전」, 제52회 「우수영원무」 등은 한국적 소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