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산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7)
- 우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796년(정조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경세(鄭經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정종로(鄭宗魯)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
- 정종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로는 문집인 『입재집』과 『소대명신언행록(昭大名臣言行錄)』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우산서원(愚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입재집(立齋集)』 『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이칭별칭 사앙(士仰)| 입재(立齋), 무적옹(無適翁)
- 사미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朴賢默)‧허영(許永) 등의 시에 차운(次韻)했고, 노수오(盧秀五)‧송준필(宋浚弼)‧황난선(黃蘭善) 등의 시에 화운(和韻)하였다. 소에는 정경세(鄭經世)를 배향하던 우산서원(愚山書院)이 1871년 대원군의 정책에 의해 철폐되자 다시 세울 것을 주장해 올린 것과, 주자의...
- 우복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후기의 문신‧학자 정경세(鄭經世)의 시문집. [내용] 32권 16책. 목판본. 원집 20권 10책은 1657년(효종 8) 처음 간행되었고, 그 뒤 1840년(헌종 6) 우산서원(愚山書院)에서 중간되었다. 1899년 후손 하묵(夏...
- 장복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는 우복(愚伏)정경세(鄭經世)를 모시던 우산서원(愚山書院)이 대원군에 의해 철폐되자 그 복건(復建)을 앞장서 주청하고, 1884년(고종 21) 의제개혁(衣制改革)이 시행되자 즉시 이를 성토하는 상소를 올릴 만큼 유학의 전통성 유지와 실천에 힘쓴 정통 유학자였다. ...이칭별칭 경하(景遐)| 사미헌(四未軒)
고서·고문서(4)
- 1865년 우산서원 재임(愚山書院 齋任) 품목(稟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 현소장처상주 우산 진주정씨 산수헌
- 1870년 도남서원(道南書院) 회중(會中)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70년(고종 7) 윤10월 20일, 도남서원 회중에서 옥산서원으로 보낸 것으로 그 내용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우산서원을 복원해달라는 상소를 올리기 위한 회합을 다음해 1월 21일에 개최하게 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이 통문에 따르면 우산서원은 우복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산천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여지지 않았고, 그해 10월에 의복 제도를 고치게 되었다. 請愚山院復設賜額疏(○代士林作) 5 우복 정경세(1563~1633)를 모신 우산서원의 복설과 사액을 청하는 소장이다. 上言 請別洞尹先生 贈謚上言(○代士林作) 請甁山金先生 贈爵謚上言(○代士林作) 請雩潭蔡公加 贈...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내용인데 구체적인 상황은 나와 있지 않다. 答姜公敍 (18) 1828. 姜世揆에게 답한 편지로, ‘淵嶽’에서의 모임에 대해 상의하는 내용이다. 答姜公敍 (18) 1830. 姜世揆에게 답한 편지로, 愚山書院에서 鄭經世의 추증을 요구하는 疏를 올린 일에 대해서 상...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우산서원 / 愚山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었던 서원. 1796년(정조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경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정종로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훼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