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사어” 에 대한 검색결과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종5품 관직. [내용] 좌사어(左司禦)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世子官屬)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는 우익위로 개칭되었다. 특...
  • 우익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5품 관직. [내용] 좌익위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가 개칭된 것이다. 좌익위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강(經講)의 질의응답에 참가하여 세자를 보위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
  • 좌사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종5품 관직. [내용] ()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 세자관속(世子官屬)에서 익위사를 분리, 설치하면서 좌사어는 좌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동궁(東宮)의 관직. [내용] 동궁의 호위에 관한 일을 맡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궁내의 좌사어수부(左司禦率府)ㆍ수부ㆍ좌감문수부(左監門率府)ㆍ우감문수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고려사(高麗史...
  • 익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5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 각 1인씩을 두었다. 1418년(태종 18)에 좌‧(左)를 고친 이름이다. 이들은 왕세자를 위하여 경서를 강하고 또한 질문에 응답하는 데 참가하...

고서·고문서(31)

  • 漢張臨視之日,見其數視小子,卽於牀下拜黃門郞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900 漢張臨視之日,見其數視小子,卽於牀下拜黃門郞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4577 중국 문집 전당집 007 기타 錢塘集12 答副使 伏承特使 來屈公堂 方慙治具之疎 更辱飛文之厚 感并於愧 言曷究情 謹奉狀謝 외교일반, 5대ㆍ송, 외국정세, 해당 기사의 정확한 작성연대를 추정할 수 없으나, 저자인 韋驤(103...
    국가중국 | 서명전당집 | 왕대기타  
  • 33584 B033584 남도포 南桃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高宗 12年 1月 1日_049 ○兵批, 行判書李載元進, 參判李珪永病, 參議鄭匡始病, 參知張時杓入直, 承旨缺。 以尹宗儀爲左翊衛, 李喬榮爲右翊衛, 李憲稙爲左司禦, 洪善周爲, 金永應爲左翊贊, 柳敎祚爲右翊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成, 福字之義也, 是日也。 東宮侍坐, 出掛影幀, 令諸臣仰瞻, 亦命翰註, 近前瞻望。 上曰, 有御容三本。 二本, 奉安於大內泰寧殿, 一本奉安江都。 一本潛邸時, 肅廟朝所賜, 筆諭書, 同奉於泰寧殿。 二本嗣服後, 圖寫。 諭書則載於列聖御製中。 此一本, 卽別本也, 與前本, 何如...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何也, 今日干支何也? 且可謂萬倍此心矣。 噫, 今日次對, 體予此心焉。 噫, 昔年御詩, 猶今誦之, 其御詩曰, 年來十九在宮闈, 自此那堪得見稀。 忙登北苑家何遠, 使我增思欲奮飛。 癸巳年自江都回, 詩, 喜爾回來已下船, 遲遲八日度如年。 新城綠野春光好, 應識斯行氣泰然。 嗚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아랍어와 하의 비교연구 : 하의 문자, 음운, 품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70596 한국연구재단 중동연구소 2011 아랍어와 하의 비교연구 : 하의 문자, 음운, 품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 종5품 관직. 좌사어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는 우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師)·부(傅)·빈객(賓客) 상견례 등에서는 좌사어와 좌우로 나

  • 좌사어 / 左司禦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종5품 관직. ()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 세자관속에서 익위사를 분리, 설치하면서 좌사어는 좌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부·빈객 상견례 등에서 와 함께 좌우로 나뉘어 익

  • 김영행 / 金令行 [종교·철학/유학]

    1673년(현종 14)∼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관찰사 김시걸. 김창흡의 문인이다. 1725년 영조가 즉위하자 풀려나 로 다시 기용되고, 이어서 임천군수를 거쳐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시문을 모은《필운유고》가 전한다.

  • 우익위 / 右翊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5품 관직. 좌익위와 함께 있었다. 1418년(태종 18)에 가 개칭된 것이다. 좌익위와 함께 왕세자를 위한 경강의 질의응답에 참가하여 세자를 보위하는 만큼 그 선발이 엄격하였다. 강연 외에 담제의례, 왕세자와 사·부·빈객의 상견례 및

  • 익위 / 翊衛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의 정5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좌·우 각 1인씩을 두었다. 1418년(태종 18)에 좌·를 고친 이름이다. 이들은 왕세자를 위하여 경서를 강하고 또한 질문에 응답하는 데 참가하였던만큼 그 선발이 엄격하였다. 강연 외에 담제의례, 왕세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