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사” 에 대한 검색결과 4,8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64)

사전(1,24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삼사(三司)의 정3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고려 전기에는 삼사에 사(使) 2인이 있던 것이 충렬왕 때 좌사(左使)와 로 분리되면서 처음 설치되었다. 1356년(공민왕 5)의 관제개혁으로 삼사가 혁파되면서 폐지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2품 관직. [내용] 1400년(정종 2)에 우복야(右僕射)를 개칭한 것인데, 1401년(태종 1) 삼사가 사평부(司平府)로 바뀌자 1404년 참판사평부사(參判司平府事)로 개칭되었다가 1405년 사평부와 함께 폐...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비’를 의인화한 것이다. 회록(回祿)이 반란을 일으키자 인종목제의 명을 받아 오화진(五火陣)을 써 섬멸한다. 그 공으로 패택공(沛澤公)에 봉해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비’를 의인화한 것이다. 서백의 좌장군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새’를 의인화한 것이다. 홍신의 신하이다. 갑작스러운 추위에 백성들이 얼어 죽자 백성들을 이끌고 남쪽의 파촉으로 도읍을 옮기자는 의견을 내놓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3,354)

  •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4235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계 [169] 어와 버님야 男兒事을 드러 보소 일곱 살에 글을 와 千字 類合 童蒙先習 날마다 릭고 쓰고 字字이 외와야 大學 小學 禮記 春秋 四書三經 다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左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40_0750 左史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020 山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040 澤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世宗實錄樂譜 世宗莊憲大王實錄 卷第一百四十七 樂章 樂章 정인지(鄭麟趾) 11 樂譜 / 樂章 / 樂章 / 奠幣 南呂宮 ◎ 奠幣 南呂宮 赫哉明神克配彼天佑我蒸民於萬斯年聿修祀事承筐是將庶幾右之惠我無疆 樂譜 / 樂章 / 樂章 / 句芒位 南呂宮 ◎ 句芒位 南呂宮 皇矣...
    서명世宗實錄樂譜 | 저자정인지(鄭麟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구술자료(9)

  • 삼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2-0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김채란
  • 태국 20170104_002_003_태국_03_와닛차진시리와닛_L_탑 바위 전설 탑 바위 2017. 01. 04(수) 오후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6년차] 조사자 3인 박현숙, 김민수, 엄희수 제보자가 〈어
    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서울 20170104_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국_03_와닛차진시리와닛_F_아내로 변신한 거인 물리친 잔타코롬 왕자 20170104_002_002_태국_03_와닛차진시리와닛_L_어머니와 결혼 할 뻔한 왕자(프라빠톰불탑 유래) 20170104_002_003_태국_03_와닛차진시리와닛_L_탑 바위 20170104_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보자가 〈탑 바위〉 이야기 구연을 마친 뒤, 준비한 이야기 중 이제 짧은 이야기만 남았다고 웃었다. 그리고 이어서 이번에 구연할 이야기는 유래담이고, 어릴 적부터 들었던 이야기기라고 설명하였다. 구연 준비를 위해 다시 한 번 이야기를 찾아보았고, 그로 인해 이야기에
    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태국_와닛차진시리와닛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2_태국_03_와닛차진시리와닛_L_어머니와 결혼 할 뻔한 왕자(프라빠톰불탑 유래) 20170104_002_003_태국_03_와닛차진시리와닛_L_탑 바위 20170104_002_004_태국_03_와닛차진시리와닛_M_곡물여신 파넷보섬 20170104_002_005_태국
    원국적태국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3)

  • 아랍어와 하어의 비교연구 : 하어의 문자, 음운, 품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70596 한국연구재단 중동연구소 2011 아랍어와 하어의 비교연구 : 하어의 문자, 음운, 품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발전담론과 수막 카이(Sumak Kawsay)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70172 한국연구재단 한국외대 중남미연구소 2013 발전담론과 수막 카이(Sumak Kawsay)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19-20세기 보부상 조직에 대한 재평가 ―元洪州六郡商務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09
    41179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제사학회 2009 19-20세기 보부상 조직에 대한 재평가 ―元洪州六郡商務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어행서사의 인지서사학적 접근(2)-윤후명의 〈여냥〉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국명, 게재일 : 2013
    43899 황국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회 2013 어행서사의 인지서사학적 접근(2)-윤후명의 〈여냥〉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속담의 정의와 상황적 구조: 서아프리카 하족의 전통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태상, 게재일 : 2005
    32674 장태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아프리카학회 2005 속담의 정의와 상황적 구조: 서아프리카 하족의 전통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39)

  • (10) 자유론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20년 6월 25일 이이은 개벽 제1호 기사/사설 2 나는 매일 적어도 1시간 이상은 책상에 앉아있어야 하는 병적 습관을 길렀는데, 수일 전 어떤 고통으로 인해 잠을 자지 못한 일이 있...
    대표표제어우사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이이은 | 출처개벽 제1호 | 키워드참된 자아의 발견, 기쁨, 필링, 빛, 조선사회, 발광체
  • 引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군에 향쟝은 폐지고 군쥬셜시지라 부에셔 각군으로훈령야 향쟝이 거든 우쳬무 군쥬가 계속시무케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李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번 아만국평화회의에 참예얏던 리쥰씨의 살얏다은 이왕긔 얏거니와 동얏던 리위죵가  쳐얏다 젼보가 모쳐에 도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7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公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탁지부에셔 상납건쳬 슈령 오인을 됴샤여 이왕면관엿거니와 쟉년공납의 다소  됴사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學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부대신 민영소씨가  직상소 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12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

기타자료(101)

  • 이우헌;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885 남한 경북 김천고등보통학교 2-12 校友會誌 제5집 1941―03―03 49면 이우헌;李 김천군 감천면 금송동 제5회 194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김천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대달랑;大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2928 남한 경남 경남이발학교 2-03 경남이발학교 졸업자명부 보고(1937-1944) n.r. 106면 8. 1944년 3월 31일 졸업자 대달랑;大達郞 부산부 영주정 691번지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경남이발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신애;金信愛;애자;愛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398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2면 (학과)본과신제도 김신애;金信愛;애자;愛子 경성부 염리정 166-1 18회 1940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20-1. 별첨 1―동양척식주식회사 총재 가와의 선언문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20-1. 별첨 1―동양척식주식회사 총재 가와의 선언문 Annexe à la dépêche de Séoul n°29 en date du 6 Mai 1909 à la Sous-Direction d’Asie D, N 경제 산업, 국제 기관단체, 문헌 근...
    집필자우사가와 남작, 동양척식주식회사 총재 | 작성연도1913년 | 작성월일5월 07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 장관
  • 33. 동양척식주식회사에 관한 가와 총재의 인터뷰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33. 동양척식주식회사에 관한 가와 총재의 인터뷰 n°59. L’interview du Général Ussagawa au sujet de la Compgnie de Colonisation Orientale N 국제 문헌, 제도 근대 대한제국,
    집필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작성연도1913년 | 작성월일9월 08일 | 발신자J. 블랭,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총영사 | 수신자S. 피숑, 프랑스 외무부장관

연구과제(1)

  • 단(壇)을 통해본 조선의 정치이념과 현실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장지연 | 대전대학교 | 2019 | 국내 | 대전

주제어사전(30)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2품 관직. 1400년(정종 2)에 우복야(右僕射)를 개칭한 것인데, 1401년(태종 1) 삼사가 사평부(司平府)로 바뀌자 1404년 참판사평부사(參判司平府事)로 개칭되었다가 1405년 사평부와 함께 폐지되었다.

  • 어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익위사 종5품 관직. 좌사어와 함께 왕세자를 호위, 시종하는 임무를 띠었다. 1418년(태종 18)에 세자관속에서 익위사가 분리, 설치되면서 어는 우익위로 개칭되었다. 특히, 왕세자와 사(師)·부(傅)·빈객(賓客) 상견례 등에서는 좌사어와 좌우로 나

  • 김규식 / 金奎植 [정치·법제/정치]

    현대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81∼1950). 미국에서 유학하고 고국에 돌아와 활발한 교육·종교활동을 펼쳤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광복 이후에는 남한단독정부수립안을 거절하고 김구와 연합하여 남북협상을 원칙으로 한 통일을 주장하였다.

  • 간의대부 / 諫議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4품 관직. 목종 때에 좌우간의대부가 있었으나, 문종 때 관제가 정비됨에 따라 인원은 좌우 각각 1인씩을 두었다. 1116년(예종 11)에 조서를 내려 좌의대부로 명칭을 바꾸었다.

  • 부 / 傅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1품 관직. 1392년(태조 1) 7월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설치할 때에는 고려의 제도를 따라 좌사(左師)·() 각 1인(정2품)을 두었으나, 그 뒤에 좌사·를 사(師)·부(傅)로 고친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따라 부는 좌의정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