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복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0)
사전(134)
- 우복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상서성(尙書省)의 정2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며 상서우복야라고도 한다. 995년(성종 14) 상서성이 설치되면서 처음 두어진 것으로 보이며, 문종 때에 품계와 정원이 정해졌다. 정2품 관직임에도 불구하고 실무직이...이칭별칭상서우복야
- 우복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관직. [내용] 1392년(태조 1)에 문무관제를 고치면서 종1품으로 승격하였다. 1400년(정종 2)에 우사(右使)로 개칭되었다. 1401년(태종 1) 삼사가 사평부(司平府)로 개칭되고, 1404년에 다시 참판사...
- 우복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당(唐)나라 때 상서성(尙書省)에 소속된 관직.정의중국 당(唐)나라 때 상서성(尙書省)에 소속된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ubogya | MR표기ubogy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상서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종친 뿐 아니라 일반 관리들에게도 주어졌던 것과는 달리, 상서령은 문종 때 최유길(崔惟吉)이 수사공섭상서령(守司空攝尙書令)에 임명된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관리에게 제수된 사례가 전혀 없다. 따라서, 상서성의 실질적인 장관은 그 아래의 좌우복야(左右僕射)가 맡게 되...
- 이허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 상서우복야 상주국 소성현개국후 식읍일천구백오십호(尙書右僕射上柱國邵城縣開國侯食邑一千九百五十戶)에 증직되었다. 『고려사(高麗史)』 「李子淵とその家系」(藤田亮策, 『靑丘學叢』13‧15, 193...
고서·고문서(224)
- 고청(高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792 B025792 고청 高淸 인물 濟州邑誌3 [濟州郡] 四界 人物 新羅 高厚 高淸(見沿革) 高麗 高維(靖宗時以賓貢登第官至右僕射高氏筮仕王國者自維始) 高兆基(維之子初名唐愈性情慷慨涉躐書使睿宗朝登第出守南州淸白奉公官至政堂文學參知政事進中書侍郞平章官) 高適(兆基之孫爲本...출처전거濟州邑誌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청(高淸)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793 B025793 고청 高淸 인물 耽羅志 濟州 建置沿革 人物 新羅 高厚․高淸(見沿革) 高麗 高維(靖宗時以賓貢登第官至右僕射高氏筮仕王國者自維始) 高兆基(維之子初名唐愈性慷慨涉獵書吏睿宗朝登第出守南州淸白奉公官至政堂文學參知政事進中書侍郞平章事) 高適(兆基之孫爲本州留總官)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후(高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037 B026037 고후 高厚 인물 濟州邑誌3 [濟州郡] 四界 人物 新羅 高厚 高淸(見沿革) 高麗 高維(靖宗時以賓貢登第官至右僕射高氏筮仕王國者自維始) 高兆基(維之子初名唐愈性情慷慨涉躐書使睿宗朝登第出守南州淸白奉公官至政堂文學參知政事進中書侍郞平章官) 高適 ...출처전거濟州邑誌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후(高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039 B026039 고후 高厚 인물 耽羅志 濟州 建置沿革 人物 新羅 高厚․高淸(見沿革) 高麗 高維(靖宗時以賓貢登第官至右僕射高氏筮仕王國者自維始) 高兆基(維之子初名唐愈性慷慨涉獵書吏睿宗朝登第出守南州淸白奉公官至政堂文學參知政事進中書侍郞平章事) 高適 ...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유(高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668 B025668 고유 高維 인물 耽羅志 濟州 建置沿革 人物 新羅 高厚․高淸(見沿革) 高麗 高維(靖宗時以賓貢登第官至右僕射高氏筮仕王國者自維始) 高兆基(維之子初名唐愈性慷慨涉獵書吏睿宗朝登第出守南州淸白奉公官至政堂文學參知政事進中書侍郞平章事) 高適(兆基之孫爲本州留總官)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2)
- 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신라 고려→후당 【번역】 (후당 폐제 청태) 3년 정월 경오일에 고려 朝貢使로 왕자인 태상(太相) 왕규를 검교상서(檢較尙書)·우복야(右僕射)로 삼고 부사(副使) 광평시랑(廣評侍郞) 최유(崔儒)를 시장작감(試將作監)으로 하고 그 절급(節級) 30여명 모두에게...대표표제어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36년(丙申/후백제 신검 2/고려 태조 19/後唐 淸泰 3 後晉 天福 1/日本 承平 6)
- 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신라 고려→후당 【번역】 (후당 폐제 청태) 3년 정월 경오일에 고려 조공사로 왕자인 태상(太相) 왕규를 검교상서(檢較尙書)·우복야(右僕射)로 삼고 부사(副使) 광평시랑(廣評侍郞) 최유(崔儒)를 시장작감(試將作監)으로 하고 그 절급(節級) 30여명 모두에게...대표표제어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36년(丙申/후백제 신검 2/고려 태조 19/後唐 淸泰 3 後晉 天福 1/日本 承平 6)
주제어사전(8)
-
우복야 / 右僕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관직. 1392년(태조 1)에 문무관제를 고치면서 종1품으로 승격하였다. 1400년(정종 2)에 우사로 개칭되었다. 1401년(태종 1) 삼사가 사평부로 개칭되고, 1404년에 다시 참판사평부사로 개칭되었다가 이듬해 사평부와 함께 폐지되었다.
-
우사 / 右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2품 관직. 1400년(정종 2)에 우복야(右僕射)를 개칭한 것인데, 1401년(태종 1) 삼사가 사평부(司平府)로 바뀌자 1404년 참판사평부사(參判司平府事)로 개칭되었다가 1405년 사평부와 함께 폐지되었다.
-
우자의 / 右諮議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에 고려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편제하면서 비롯되었다.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 등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우승, 하위의 좌·우장사 및 도사와 함께 백관의 녹봉지급, 국용
-
상서도성 / 尙書都省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중앙정치기구인 상서성의 상층관서. 995년(성종 14) 이전의 어사도성이 개칭된 것이다. 관원으로는 상서령(종1품) 1인, 좌우복야(정2품) 각 1인, 지성사(종2품) 1인, 좌우승(종3품) 각 1인, 좌우사낭중(정5품) 각 1인, 좌우사원외랑(정6품)
-
상서령 / 尙書令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성의 장관. 정원은 1인, 품질은 종1품으로 중서령·문하시중과 더불어 고려의 최고관직이었다. 그러나 실무직이 아니라 종친에게만 수여되는 명예직이었다. 따라서, 상서성의 실질적인 장관은 그 아래의 좌우복야가 맡게 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