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보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33)
- 우보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기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관직. [내용] 성종 때 이미 좌보궐(左補闕)과 짝지어 설치되어 있었으며, 1061년(문종 15) 내사문하성이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되자 그 속관으로 존속하였다. 그 뒤 예종 때 우사간으로 ...
- 우보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 문하부에 소속된 종5품 관직. [내용] 1392년(태조 1) 문무관제를 정비할 때 문하부에 소속되었다가 1401년(태종 1)에 우헌납(右獻納)으로 바뀌었다. 그 뒤 1460년(세조 6)에 폐지되었다가 1463년에 다시 헌납이라 ...
- 좌우보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역대 정부 내에서 일어난 여러 일들에 관한 기록을 보좌하던 관원정의중국 역대 정부 내에서 일어난 여러 일들에 관한 기록을 보좌하던 관원 | 문광부표기Jwau Bogweol | MR표기Chwau Pogw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우사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6품 관직. [내용] 목종 때부터 설치되어 있었던 우보궐(右補闕)이 예종 때에 개칭된 것이다. 정원은 1인이며, 중서문하성의 낭사(郎舍)로서 간쟁ㆍ봉박(封駁) 등이 주된 직능이었다. 그 뒤 우보간(右補諫)으...
- 사의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고쳤으며, 1369년에 다시 좌우간의대부로 고쳤다가, 1372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고쳤다. 주된 직능은 좌우산기상시(左右散騎常侍)ㆍ좌우보궐(左右補闕)ㆍ좌우습유(左右拾遺)와 함께 성랑(省郎)의 구성원으로서 간관(諫官)의 임무를 담당하였...
고서·고문서(20)
- 고여림(高汝霖)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659 B025659 고여림 高汝霖 군사교통 新增東國輿地勝覽 全羅道 靈光郡 名宦 高麗金須 以知郡從將軍高汝霖討三別抄先登沒陳不還 金縝爲知郡以政最入爲右補闕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요사휘편_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4 太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395 중국 총서 요사휘편 262 문종(文宗) 35 1081 5 12 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4 太康七年辛酉 [元豐四年] 五月戊戌 高麗遣閤門引進使高夢臣 來賀天安節 遣右補闕魏絳 來賀生辰宣賜 사신왕래, 거란, 본문의국가중국 | 서명요사휘편 | 왕대문종(文宗) 35
- 금사_金史129 列傳67 佞幸 張仲軻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357 중국 정사 금사 열전 029 의종(毅宗) 12 1158 1 金史129 列傳67 佞幸 張仲軻 海陵召仲軻右補闕馬欽校書郎田與信直長習失 入便殿侍坐 海陵與仲軻論漢書 謂仲軻曰 漢之封疆不過七八千里 今吾國幅員萬里 可謂大矣 仲軻曰 本朝...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의종(毅宗) 12
- 선종_010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繫囚]를 너그럽게 처결[疏決]하라”고 하였다. 宰相 監修國史 魏謩이 文宗實錄 40권을 찬수하여 올렸다. 修史官 給事中 盧耽, 太常少卿 蔣偕, 司勳員外郎 王渢, 右補闕 盧吉에게 銀器와 錦彩를 차등있게 나누어 내렸다. 山南東道節度使 檢校戶部尚書 襄州刺史 上柱國 酒泉縣 開國...권수구당서 권18 하 | 편명본기18하 | 대표표제어선종_010
- 희종_004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外郎 楊堪을 吏部員外郎으로 하였다. 3월 右補闕 鄭勤을 起居郎으로, 度支推官 牛徽를 右補闕로 하였다. 戶部郎中 崔彥融을 長安令으로, 都官郎中 楊知退를 戶部郎中으로 하였다. 左司員外郎 唐嶠를 刑部郎中으로, 刑部員外郎 畢紹顏을 左司員外郎으로, 侍御史 鄭頊을 刑部員外郎으...권수구당서 권19 하 | 편명본기19하 | 대표표제어희종_004
주제어사전(5)
-
우보궐 / 右補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문하부에 소속된 종5품 관직. 1392년(태조 1) 문무관제를 정비할 때 문하부에 소속되었다가 1401년(태종 1)에 우헌납으로 바뀌었다. 그 뒤 1460년(세조 6)에 폐지되었다가 1463년에 다시 헌납이라 칭하여 이후 법제화되었다.
-
헌납 / 獻納 [정치·법제/법제·행정]
하부의 좌우보궐(左右補闕)을 헌납으로 통합, 개칭하면서 성립되었다. 이것이 ≪경국대전≫에 명문화되면서 조선 말까지 계승되었다.
-
보궐 / 補闕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중서문하성의 관직. 목종 때 이미 내사문하성의 관속으로 좌보궐과 우보궐이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관제에서는 정원이 좌·우 각1인, 품계는 정6품이었다. 예종 때 사간으로 고쳐졌다가 뒤에 다시 보간으로 개칭되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즉위하여
-
사의대부 / 司議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쳐 종3품으로 올렸고, 1362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 1369년에 다시 좌우간의대부, 1372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고쳤다. 좌우산기상시·좌우보궐·좌우습유와 함께 성랑의 구성원으로서 간관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
산기상시 / 散騎常侍 [정치·법제/법제·행정]
, 1372년 좌우상시로 고쳤다. 주된 직능은 중서문하성 안에서 좌우간의대부, 좌우보궐·좌우습유 등과 함께 간쟁·봉박의 임무를 가진 낭사의 우두머리로서 간관의 임무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