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병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9)
사전(25)
- 우병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에 따라 1415년(태종 15)에 창원(昌原)에 우병영을 설치하였다. 그뒤 경상좌‧우도의 분할과 합치는 과정에서 경상좌병영과 합하여졌다가 다시 1437년(세종 19)에 우병영으로 분리되었다. 이어 1602년(선조 35)에 병사(兵使) 이빈(李蘋)의 장계에 의하...
- 좌병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415년에 처음으로 경주에 좌병영을 설치하였다가 1417년에 울주(蔚州)로 옮기었다. 이어 경상 좌‧우도의 분합(分合) 과정에 의하여 1426년(세종 8)에 우병영과 합하여졌고, 1436년에 다시 좌도와 우도의 행정구획체제로 굳어지면서 1437년에 좌병영으로 분리되어...
- 우치정(禹致貞)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287 인물 우치정(禹致貞) 우치정 禹致貞 ? ?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경상우병영(慶尙右兵營)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유형분류인물
- 박진기(朴進起)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544 인물 박진기(朴進起) 박진기 朴進起 ? ? 조선 후기의 군졸(軍卒). 경상우병영(慶尙右兵營)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유형분류인물
- 오세빈(吳世彬)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800 인물 오세빈(吳世彬) 오세빈 吳世彬 ? ? 조선 후기의 관리. 경상우병영(慶尙右兵營)에 거주. 1763년 정사 조엄(趙曮) ∙ 부사 이인배(李仁培) ∙ 종사관 김상익(金相翊) 등 통신사 일행이 도쿠가와 이에...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74)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361 B076361 동래 東萊 정치행정 純祖實錄 二年(1802) 春正月 순조실록_10201010_002 ○命以嶺南右兵營餉米一萬石、射軍木代錢三千九百兩零, 劃付東萊, 以倭館修補也。출처전거純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346 B07534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25年 10月 9日_025 ○金昇圭, 以議政府言啓曰, 卽見慶尙監司金明鎭狀啓, 則本營及左右兵營, 東萊各樣都試, 當歲內磨勘, 而冬節將近, 齎糧赴擧, 勢所難辨, 竝姑停退, 待明秋合設事, 請令廟堂稟旨分付矣。 災歲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矣。 上曰, 嶺營及左·右兵營, 各樣何如耶? 思轍曰, 嶺營及晉州兵營, 物衆地大, 比前無減, 蔚山兵營則地窄土瘠, 不可侔樣於右兵營矣。 上曰, 左水營, 想必草草矣。 亦爲往見乎? 思轍曰, 營樣雖爲凋殘, 有魚鹽藿之利, 民多賴生。 上曰, 然則日人不至窺覘乎? 思轍曰, 別無此弊矣。 上...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같은 집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리 배위(裵謂)가 우병영(右兵營)에서 돌아와서 병마절도사 김순고(金舜皐)의 편지를 전했다. 편지에 과메기[貫目] 10두름, 청어 20두름, 통대구(筩大口)내장을 빼고 통째로 말린 대구 20마리가 적혀있으나, 지금 바친 것은 대구 5마리와 관목 5두름 뿐이다. ○북문 밖...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거제현령(巨濟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357 B018357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年 5月 16日_028 , 待罪于本道右兵營, 營卽三去壬癸年倡義軍復矢處, 而中有忠愍·彰烈賜額之兩祠, 年久之後, 未免頹圮, 故其時所見形止, 啓聞後修補, 而審察兩祠位牌, 則忠愍, 卽壬辰戰亡晉州判官臣贈領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우병영 / 右兵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경상우도 진주에 있었던 병마절도사의 주영. 우병영에는 종2품직인 병마절도사가 있어서 아장인 종3품직의 우후를 비롯하여 군관·아전 및 노비·공장 등을 거느리고 유방군을 영솔하였다. 병영의 주 임무가 국방이었던 만큼 지방군의 군사훈련과 습진 및 성보 등 군사시
-
좌병영 / 左兵營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경상좌도 울산에 있었던 병마절도사의 주둔 병영. 1415년에 처음으로 경주에 좌병영을 설치 1417년에 울주로 옮겼다. 이어 1426년(세종 8)에 우병영과 합하여졌고, 1436년에 다시 좌도와 우도의 행정구획체제로 굳어지면서 1437년에 좌병영으로 분리되
-
지구관 / 知彀官 [정치·법제/국방]
우병영에 32인, 강원도 순영에 8인, 황해도 순영에 8인, 병영에 8인, 평안도 순영에 40인, 병영에 4인, 함경도 순영에 5인, 북병영에 4인, 남병영에 5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