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림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0)
사전(60)
- 우림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혜택이 주어져서 1보(保)가 지급되었다. 우림위는 180일에 가계(加階)되지만, 서얼이기 때문에 한품서용(限品敍用)의 제약을 받았다. 금군으로서 겸사복이나 내금위보다는 낮지만 갑사(甲士)보다는 상위에 위치하였다. 그 지휘관은 종2품의 우림위장(羽林衛將)...
- 우림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492년에 서얼(庶孼)의 진출로를 열어준다는 취지 아래 신설된 군대조직.정의1492년에 서얼(庶孼)의 진출로를 열어준다는 취지 아래 신설된 군대조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Urimwi | MR표기Urimw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우림위(羽林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우림위 우림위 羽林衛 친위군(親衛軍) 정로위(定虜衛), 갑사(甲士), 겸사복(兼司僕), 내금위(內禁衛), 금군청(禁軍廳)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김종수 [정의] 조선시...상위어친위군(親衛軍) | 관련어정로위(定虜衛), 갑사(甲士), 겸사복(兼司僕), 내금위(內禁衛), 금군청(禁軍廳)
- 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내금위(內禁衛)‧겸사복(兼司僕)‧우림위(羽林衛)의 우두머리. [내용] 내금위‧겸사복‧우림위의 금군(禁軍) 3위(衛)는 조선 초기에 설치되어 효종 초에 내삼청(內三廳)으로 고쳐졌다. 내삼청은 모두 여섯 번(番)...
- 장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궁중에서 장기간 입출번(入出番)의 교대 없이 유숙하며 계속 근무하던 제도. [내용] 오위(五衛)의 군병은 대개 지방의 정병(正兵)이나 수군(水軍)이 교대로 복무하는 의무병이었으나, 선전관‧내금위(內禁衛)‧우림위(羽林衛)‧겸사복(...
고서·고문서(80)
- 羽林衛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10_0170 羽林衛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614년 김득남(金得男)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14년(광해군6) 4월에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김득남을 우림위에 임명하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무안 광산김씨 모충사
- 1614년 김득남(金得男)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14년(광해군6) 4월에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예차우림위전력부위김득남을 전력부위충좌위부사용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광산김씨 모충사
- 1647년 박세중(朴世重) 고신(告身)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47년 5월 15일에 인조가 박세중에게 가선대부 행충무위부사용겸우림위장의 관직을 내리는 교지이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 1647년 박세중(朴世重) 고신(告身)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47년 7월 17일에 인조가 박세중에게 가선대부 행충좌위부사과겸우림위장의 관직을 내리는 교지이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남원향토박물관
주제어사전(3)
-
우림위 / 羽林衛 [정치·법제/국방]
시취한 50인을 정원으로 하여 장번 근무를 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모두 체아직을 받았다. 다른 금군과는 달리 체아록 이외에 급보의 혜택이 주어져서 1보가 지급되었다. 그 지휘관은 종2품의 우림위장 3인이었다.
-
금군장 / 禁軍將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의 내금위·겸사복·우림위 등 금군삼위를 지휘하던 정3품의 장수. ≪경국대전≫에는 내금위장 3인, 겸사복장 3인으로 규정되었으나, 성종 때 우림위가 설치된 뒤 다시 조정되어 그 뒤로는 계속 내금위장 3인, 겸사복장·우림위장 각 2인을 두었다. 당시 금군장은 정
-
금군삼청 / 禁軍三廳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금군인 내금위·겸사복·우림위를 합쳐서 부르던 칭호. 1623년 인조반정을 주도한 공신세력에 의해 호위청이 설치되어 본래의 금군인 내삼청은 그 기능이 약화되었다. 금군삼청이 1755년(영조 31)에는 용호영(龍虎營)으로 개칭되었으나, 그 조직이나 기능에는 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