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리말본” 에 대한 검색결과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

사전(7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러한 바탕에서 이루어진 국어학은 그의 제자들에게도 이어졌다. 이 책의 저자도 이러한 정신에 그 학문기반을 두고 있으며, ≪≫은 이러한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지어진 것이다. 이 책은 앞 사람들의 연구가 분석적인 데 반하여 종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또...
  • 정음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8년 서울에 설립된 출판업체. [개설] 당시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재직중이던 최현배(崔鉉培)가 강의를 위하여 ≪≫ 중 ≪소리갈≫을 등사본으로 찍었는데 이것이 계기가 되어 1928년 7월에 창설되었으며,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 수식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부사어에 대하여는 ‘한정어’라 하여 그 용법을 축소시키는 일도 있다. 『』(최현배, 정음문화사, 1971) 『새고등문법』(이희승, 일조각, 1957) 『조선어학(朝鮮語學)』(박승빈, 조선어학연구회, 1935)
    이칭별칭꾸밈감|꾸밈말
  • 지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용언의 하나. 최현배(崔鉉培)의 문법체계에 설정된 품사의 하나로서 ‘잡음씨라’고도 한다. [내용] “이것은 책이다.”, “이것은 책이 아니다.”의 ‘-이다, 아니다’를 최현배의 ≪≫에서 ‘잡음씨’라고 하였다. 이 지정사를
  • 조동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본동사로 쓰이는 것들인데, 여기에서는 각각 ‘웃다’와 ‘읽다’의 의미를 보조해 주는 의미를 나타냄으로써 조동사로 쓰인 것들이다. 최현배(崔鉉培)의 ≪≫에서는 조동사를 그 의미에 따라 열세 가지로 나누고 있다. ① 부정 : 아니하다, 못하다, 말다. ②...

고서·고문서(2)

  • 〈큰 사전〉(1947-1957)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가, 갸, 거, 겨, …… 까, 꺄, 꺼, 껴, ……’의 차례로 표제어를 배열하고 있다. 문법 정보의 기술에서 특징적인 것은 이 사전의 문법체계와 용어가 최현배의 『』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문법 용어의 경우 최초 원고본에서는 ‘명사’(名), ‘자동사...
    대표표제어〈큰 사전〉(1947-1957) | 편저자조선어학회(한글학회) | 권수6책
  • 〈우리말 큰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서 한자어의 사이소리를 폭넓게 인정하였다. ‘촛점, 댓가, 솟장, 솟수, 싯가’ 등으로 표시를 하여 일반인의 혼란을 일으켰다. 결국 새 어문 규정을 따르지 않은 사전으로 평가받아 독자로부터 외면받기도 하였다. ② 학문적 가치 이 사전의 문법은 주로 최현배의 『...
    대표표제어〈우리말 큰사전〉 해제 | 편저자 한글학회 편 | 권수 4권(1권 ‘ㄱ-ㅁ’, 2권 ‘ㅂ-ㅇ’, 3권 ‘ㅈ-ㅎ’, 4권 ‘옛말과 이두’)

주제어사전(6)

  • / [언어/언어·문자]

    최현배가 지은 문법책. 1937년에 초판, 1955년에 개정판,이후 여러 차례 개정판이 나왔다. 최현배는 주시경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았는데, 주시경의 학문은 민족주의 입장에서 시작되었다. <>은 그 씨가름에서 월가름에 이르기까지 옛 설명을 그대로 쓴 것이 거

  • 쉬운조선말본 / [언어/언어/문자]

    1946년에 박창해(朴昌海)가 지은 문법서. 『쉬운 조선말본』은 저자가 머리말에서 밝혔듯이 최현배의 문법체계를 따라 쓴 문법서이다. 따라서 문법용어와 그 설명 방식이 최현배의 『』과 거의 같다. 다만 분량은 『』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은데, 이를

  • 지정사 / 指定詞 [언어/언어/문자]

    용언의 하나. “이것은 책이다.”, “이것은 책이 아니다.”의 ‘-이다, 아니다’를 최현배의 ≪≫에서 ‘잡음씨’라고 하였다. 이 지정사를 동사·형용사와 함께 용언의 한가지로 보고, 그의 10품사 중의 하나로 세웠다. 지정사로서의 ‘-이다’와 ‘아니다’의 ‘-이

  • 중등조선말본교수참고서 / [언어/언어/문자]

    주교재로 하면서 이 책이 부교재로 사용된 것이다. 주교재인 『중등조선말본』보다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최현배의 『』과 『한글갈』을 함께 보기를 권장하고 있다.

  • 통사론 / 統辭論 [언어/언어/문자]

    그러한 격은 어떻게 배당되는가 등의 문제를 다루는 격이론, 통사적 구성의 성분구조를 다루는 구구조론(句構造論) 등 여러 방면의 연구가 있다. 국어의 통사론 연구는 1960년대 후반에 와서 크게 활기를 띠기 시작하여 많은 업적이 나오면서 최현배(崔鉉培)의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