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우금치전투”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에게 기습당하고 계룡산 방면으로 후퇴하고 말았다. 공주를 점령한 다음 서울로 북상하려던 동학농민군은 이렇게 우금치에서 좌절당하고 말았다. [의의와 평가] 의 참패는 서울로의 북상을 완전히 포기하게 했고, 제2차 동학농민전쟁의 승패를 결정지었다고...
  • 황헌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뒤 동학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9월 동학농민군이 재기하였다가 공주 에서 대패하여 수세에 몰리자 농민군토벌에 적극 나섰다. 이해 겨울에는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에 숨어 있는 농민군 지도자 김개남(金開男)을 부하로 하여금 체포하게 하였다. ...
  • 손병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극 참여하였으며, 또한 1894년의 동학농민전쟁 당시에는 제2차동학농민군의 봉기에 북접(北接)의 간부로 참여하여 ㆍ논산전투 등에서 활약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전쟁이 실패함에 따라 재차 최시형을 모시고 도피생활을 해야만 하였다. 1898년 7월 최시형이...
  • 이화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맞아 가장 치열한 접전을 벌였던 에서 패퇴하여 퇴각도중 학살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학(東學)과 농민봉기(農民蜂起)』(한우근, 일조각, 1983) 『동학농민봉기』(한우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
  • 손병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주전투 등 항일구국전선에 나섰다. 또한 북접 산하 동학교도를 지휘, 통솔해 논산에서 남접의 전봉준과 합세하였다. 그러나 공주 ()에서 패배해 남접과 헤어졌다. 이 후부터 최시형과 함께 충주 부근에 이르렀으나 12월 14일 개별적으로 행동하기로...
    이칭별칭 소소거사(笑笑居士), 의암(義菴)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94년 11월 동학농민군이 공주의 우금치에서 관군 및 일본군과 치른 전투. 1894년 9월 재봉기 이후 동학 남접의 접주 전봉준은 수원을 거쳐 서울을 공격하기 위해서 북접과 연합전선을 이루었다. 전봉준은 4,000명의 농민군을 이끌고 공주로 올라가다가 논산에서 손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