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우곡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1)
- 우곡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고대방(典故大方)』 『경상북도사(慶尙北道史)』(경상북도, 1983) 우곡서원 경북 의성군 의성읍 업리에 있는 서원. 1818년(순조 1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오국화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 김광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와 사간원의 정언ㆍ헌납과 사헌부의 집의ㆍ지평 등 요직을 거쳐서 이조정랑과 성균관의 직강ㆍ사예ㆍ사성을 지냈다. 외직으로는 흥해군수를 역임하였는데, 주민생활에 이로운 선정을 베풀어 주민들의 칭찬을 들었다. 저서로는 『죽일문집(竹日文集)』이 있다. 풍기의 우곡서원(愚...이칭별칭 이회(而晦)| 죽일(竹日)
- 황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거쳐, 대사헌‧지제교 등을 지냈다. 광해군 즉위 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지내면서 후진교육에 여생을 보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1714년 풍기 우곡서원(愚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식암집』이 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이칭별칭 경명(景明)| 식암(息庵), 돈암(遯庵)| 정익(貞翼)
- 황섬(黃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基) 우곡서원(愚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식암집(息庵集)』이 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燃藜室記述』; 『息庵集』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유형분류인물
- 황섬(黃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우곡서원(愚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식암집(息庵集)』이 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燃藜室記述』; 『息庵集』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7)
- 幼學 黃俊良이 生員으로 入格한 것을 증명하는 백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錦溪, 본관은 평해로 풍기읍 금계리에 불천위 종가가 있다. 진사시와 생원시를 동시에 합격하고, 3년 뒤에 식년문과에서 을과 제2인으로 급제하였다. 權知成均館學諭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성주목사 재임 도중 병으로 사직하고 돌아오다가 예천에서 사망하였다. 풍기의 遇谷...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不平, 而瘧證則似止云。○二道前告木手石文勿定木手奉足, 下通勿令赴京, 則答曰“石文事可從勿定, 下通則曾已抄報都監, 都監促上送, 今難擅便減之”云云。性輪言“安峯西廊新造處, 地正不固, 柱傾不得已改造, 欲留此等人從事”云。故白而未從。○二道前又告書員一人給之, 欲令括八莒地匠人田結, 則當...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죽일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평탄하게 하였으나, 옳고 그름이 관련되면 남의 의견에 구차스럽게 동조하거나 술수를 쓰지 않았다고 하였다. 또 책보는 것을 좋아하여 항상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고 수십 권이나 되는 책을 써서 간행하려 하였으나 이는 이루지 못했다고 하였다. 愚谷書院奉安文 53 遯軒 權...분야문학 | 유형문헌
- 백은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愚谷書院重修記 12 愚谷書院重修記文이다. 1704년(숙종 28) 사림의 창의로 건립 된 우곡서원은 柳雲龍 (1539~1601)‧李埈(1560~1635)‧黃暹(1544~ 1616)등을제향한곳으로豐基芙蓉山아래에 있다. 麴巖亭記 13 麴巖亭記文이다. 麴巖에 다녀와서...분야문학 | 유형문헌
- 식암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黃是가 지은 墓誌이다. 자세한 내용은 글 앞의 저자 소개에 나와 있다. 祭文 9 [郭진(山+晉)]과 宗人 黃共奠이 저자를 애도하며 지은 제문 두 편이 실려 있다. 愚谷書院奉安文 10 豐基의愚谷書院에저자의位版을봉안할때 參奉 李華翊이 지은 봉안문이다. 常享祝文 10 縣監...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우곡서원 / 愚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리에 있는 서원. 1818년(순조 1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오국화(吳國華)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80
-
김광엽 / 金光曄 [종교·철학/유학]
임용된 뒤 승정원주서로 옮겼다. 그 뒤 옥당의 저작, 홍문관의 부수찬·부교리·부응교와 사간원의 정언·헌납과 사헌부의 집의·지평 등 요직을 거쳐서 이조정랑과 성균관의 직강·사예·사성을 지냈다. 저서로는『죽일문집』이 있다. 풍기의 우곡서원에 제향되었다.
-
식암집 / 息菴集 [종교·철학/유학]
편, 행장 1편이 있다. 권5는 부록으로 행장.묘지 각 1편, 제문 2편, 우곡서원봉안문과 상향축문이 각 1편, 만사 2편, 신도비명이 수록되어 있고, 책의 끝부분에 식암선생연보가 있다.
-
황준량 / 黃俊良 [종교·철학/유학]
녕현감, 단양군수, 성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풍기의 우곡서원, 신녕의 백학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금계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