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용호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30)
- 용호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경군(京軍)인 이군육위 중의 한 군단. [내용] 응양군(鷹揚軍)과 더불어 이군이라 하며, 견룡군(牽龍軍)이라 불리기도 하였던 듯하다. 무신의 난을 주도한 정중부(鄭仲夫)가 견룡군 출신이었다고 하며, 또 그와 더불어 무신의 난을 일...
- 용호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중앙군인 2군 중의 하나.정의고려시대 중앙군인 2군 중의 하나.[두산백과] | 문광부표기Yonghogun | MR표기Yongho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응양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경군(京軍)인 이군육위(二軍六衛) 중의 한 군단. [내용] 같은 이군에 속하는 용호군(龍虎軍)과 더불어 육위보다 늦게 창설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군의 설치연대에 대해서는 ‘후치(後置)’라고 하였을 뿐, 분명히 밝힌 바가 없...이칭별칭공학군(控鶴軍)
- 이종무(李從茂)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호군(精勇護軍)이 되었다. 1397년 옹진만호로 재직 중 왜구가 침입해 성을 포위하자 끝까지 싸워 격퇴하였다. 그 공으로 첨절제사에 올랐다. 1419년 삼군도체찰사에 올랐다. 이 해 왜선 50여 척이 비인현의 도두음곶(都豆音串)에 침입해 병선을 불태우고 약탈하였으며...유형분류인물
- 천무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태조 때의 중앙군. [내용] 태조 친위군의 일부로, 후일 국왕의 친위군인 응양(鷹揚)ㆍ용호(龍虎)의 이군(二軍)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후삼국 통일의 결정적 계기가 된 936년(태조 19) 일리천(一利川 : 지금의 경상북도 ...
고서·고문서(11)
- 고오노(孤烏弩)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660 B025660 고오노 孤烏弩 인물 高麗史5卷, 世家5 顯宗2 顯宗二十年[己巳] 六月 癸丑 耽羅世子孤烏弩來朝授游擊將軍賜袍一襲⁄盜起廣州山藪乙卯遣龍虎軍將校往捕之출처전거高麗史5卷, 世家5 顯宗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오노(孤烏弩)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661 B025661 고오노 孤烏弩 인물 高麗史節要 卷之三 顯宗 二十年 六月 六月 耽羅 世子孤烏弩 來朝 授游擊將軍 賜袍一襲盜起廣州山藪 遣龍虎軍將校 往捕之⁄徵有妻僧 充重光寺役徒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三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려도경_小旗之制 紅旒白身 上繪綠雲 人使入城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453 중국 정서 고려도경 旗幟 小旗 120 인종(仁宗) 1 1123 小旗之制 紅旒白身 上繪綠雲 人使入城 國王迎詔 則龍虎軍數萬人 被甲執之 夾道而行 군령전달, 이 글은 『宣和奉使高麗圖經』에 수록되어 있으나 특정 시점으...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 익주명화록_益州名畵錄中 能格上品十五人 石恪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承禎仙宗十友圖嚴君平㧞宅升僊圖五星圖南北斗圖夀星圖儒佛道三教圖道門三官五帝圖雖豪貴相請少有不足圖畫之中必有譏諷焉城中寺觀壁畫亦多兵火後餘聖夀寺經閣院玄女堂六十甲子神龍興觀仙逰閣下龍虎君並見存 대외, 민간교류, 石恪은 五代 蜀 사람으로 정확한 생몰년 알 수 없다. 다만, 오대에는...국가중국 | 서명익주명화록 | 왕대기타
- 고려도경_神舟旣抵禮成港 下矴訖 麗人具采舟 來迎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西郊亭 預建于館前 候詔書至 與餘仗相接 導衛入城 旗列十面 車載而行 每乘十餘人 自是之後 受詔拜表 則皆設於兵仗前也 青衣龍虎軍 鎧甲戈矛 幾及萬卒 分爲兩序 夾道而行 5대ㆍ송, 이 글은 『宣和奉使高麗圖經』에 수록되어 있으나 특정 시점으로 편년하기 어려운 견문록에 해당한다...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기타자료(5)
- (특별활동) 상설무대 활용을 통한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 방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과정 생활지도 잡지 용호군 龍鎬君 1990 12 강원교육 134호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 (수필) 숲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용호군 1966 7 강원교육 59호 강원도교육위원회 101-102 2 국회전자도서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 (수필) 송별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용호군 1967 9 강원교육 72호 강원도교육연구소 111-113 3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 (특집)국민학교실과 실기 평가 의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용호군 1983 12 강원교육 120호 강원도교육위원회 39-45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 (특집 학급경영) 학급환경의 바람직한 구성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용호군 1987 6 강원교육 127호 강원도교육위원회 40-43 4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주제어사전(4)
-
용호군 / 龍虎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경군인 이군육위 중의 한 군단. 응양군과 더불어 이군이라 한다. 태조의 친위군이 광종 때 더욱 증대, 강화되었다가 성종 때 일단 축소된 듯한데, 현종 때쯤 이군으로 정착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조직은 최고 지휘관인 상장군 1인, 대장군 1인, 장군 2인,
-
근장대장군 / 近仗大將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중앙군 중에서 이군인 응양군·용호군에 소속된 대장군. 이군은 육위와 함께 고려 중앙군의 기간이었으나, 왕의 측근으로 친위대적 성격이 강하여 그 상장군은 근장상장군, 대장군은 근장대장군으로 불리었다.
-
상장군 / 上將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중앙군의 최고지휘관. 이군육위에 각 1인씩 소속되어 8인의 상장군이 편제, 무반으로는 최고의 품계인 정3품이다. 정1품의 품계까지 승진할 수 있는 문관에 비하여 무관의 지위가 뚜렷이 격하되어 있다. 응양군은 용호군과 함께 근장이라 하여, 왕의 친위군으로서
-
이종무 / 李從茂 [종교·철학/유학]
1360(공민왕 9)∼1425(세종 7). 조선 전기의 무신. 1381년(우왕 7) 아버지와 함께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한 공으로 정용호군이 되었다. 1397년(태조 6) 옹진만호로 재직중 왜구가 침입해 성을 포위하자 끝까지 싸워 격퇴하였다. 그 공으로 첨절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