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용호군” 에 대한 검색결과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경군(京軍)인 이군육위 중의 한 군단. [내용] 응양군(鷹揚軍)과 더불어 이군이라 하며, 견룡군(牽龍軍)이라 불리기도 하였던 듯하다. 무신의 난을 주도한 정중부(鄭仲夫)가 견룡군 출신이었다고 하며, 또 그와 더불어 무신의 난을 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중앙군인 2군 중의 하나.
    정의고려시대 중앙군인 2군 중의 하나.[두산백과] | 문광부표기Yonghogun | MR표기Yongho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응양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경군(京軍)인 이군육위(二軍六衛) 중의 한 군단. [내용] 같은 이군에 속하는 ()과 더불어 육위보다 늦게 창설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군의 설치연대에 대해서는 ‘후치(後置)’라고 하였을 뿐, 분명히 밝힌 바가 없...
    이칭별칭공학군(控鶴軍)
  • 이종무(李從茂)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精)이 되었다. 1397년 옹진만호로 재직 중 왜구가 침입해 성을 포위하자 끝까지 싸워 격퇴하였다. 그 공으로 첨절제사에 올랐다. 1419년 삼군도체찰사에 올랐다. 이 해 왜선 50여 척이 비인현의 도두음곶(都豆音串)에 침입해 병선을 불태우고 약탈하였으며...
    유형분류인물
  • 천무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태조 때의 중앙군. [내용] 태조 친위군의 일부로, 후일 국왕의 친위군인 응양(鷹揚)ㆍ용호(龍虎)의 이군(二軍)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후삼국 통일의 결정적 계기가 된 936년(태조 19) 일리천(一利川 : 지금의 경상북도 ...

고서·고문서(11)

기타자료(5)

  • (특별활동) 상설무대 활용을 통한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 방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생활지도 잡지 1990 12 강원교육 134호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 (수필) 숲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1966 7 강원교육 59호 강원도교육위원회 101-102 2 국회전자도서관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 (수필) 송별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67 9 강원교육 72호 강원도교육연구소 111-113 3 ...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 (특집)국민학교실과 실기 평가 의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83 12 강원교육 120호 강원도교육위원회 39-45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 (특집 학급경영) 학급환경의 바람직한 구성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87 6 강원교육 127호 강원도교육위원회 40-43 4 ...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용호군 | 사료철명강원교육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경군인 이군육위 중의 한 군단. 응양군과 더불어 이군이라 한다. 태조의 친위군이 광종 때 더욱 증대, 강화되었다가 성종 때 일단 축소된 듯한데, 현종 때쯤 이군으로 정착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조직은 최고 지휘관인 상장군 1인, 대장군 1인, 장군 2인,

  • 근장대장군 / 近仗大將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중앙군 중에서 이군인 응양군·에 소속된 대장군. 이군은 육위와 함께 고려 중앙군의 기간이었으나, 왕의 측근으로 친위대적 성격이 강하여 그 상장군은 근장상장군, 대장군은 근장대장군으로 불리었다.

  • 상장군 / 上將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중앙군의 최고지휘관. 이군육위에 각 1인씩 소속되어 8인의 상장군이 편제, 무반으로는 최고의 품계인 정3품이다. 정1품의 품계까지 승진할 수 있는 문관에 비하여 무관의 지위가 뚜렷이 격하되어 있다. 응양군은 과 함께 근장이라 하여, 왕의 친위군으로서

  • 이종무 / 李從茂 [종교·철학/유학]

    1360(공민왕 9)∼1425(세종 7). 조선 전기의 무신. 1381년(우왕 7) 아버지와 함께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한 공으로 정이 되었다. 1397년(태조 6) 옹진만호로 재직중 왜구가 침입해 성을 포위하자 끝까지 싸워 격퇴하였다. 그 공으로 첨절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