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용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8)
사전(206)
- 용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품팔이를 고용하여 농사 짓는 것을 통칭하는 말. [내용] 고용작(雇傭作)을 줄인 말이다. 우리 나라의 농업 생산양식은 소농적 생산양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 노동력 동원 형태도 집약적인 가족노동형태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다...
- 용작(龍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용작 용작 龍勺 제기(祭器) 관세(盥洗), 작헌(酌獻) 왕실왕실의례/길례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이현진 국가 제사 의례에서 술이나 물을 뜰 때 사용하는 국자 한식제(寒食祭), 환안제(還安祭...상위어제기(祭器) | 관련어관세(盥洗), 작헌(酌獻)
- 특용작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특별한 용도에 쓰이는 농작물. [내용] 특용작물이란 식용작물을 보통작물이라고 하는 데 대한 대칭어이며, 공예작물‧공업작물‧원료작물 등이라고도 한다. 이는 다른 작물과는 달리 재배 경영상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특용작물은 수량도 중...
- 釋奠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6_D_0082 釋奠 왕조례 龍杓, 酌獻, 盥洗, 以勺挹之 五禮儀 D_19_06_29 대동운부군옥 19권 6장 2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6장 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知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756 知恩 인물 孝女, 傭作養母, 賣身得米, 竆日供役, 暮則作食, 婢, 大哭, 旌其里, 孝養坊 新羅 漢祇部 D_04_03_80 대동운부군옥 4권 3장 8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3장 8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43)
- 龜ㆍ筮共違于人,用靜吉,用作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30 尙書古訓 卷四 ITKC_MP_0597A_0530_090_0280 龜ㆍ筮共違于人,用靜吉,用作凶。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권차명尙書古訓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조선의 특용작물과 과수소채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민사 | 소장처동경경제대학교 앵정의지문고
- 天敍有典,勑我五典,五惇哉。天秩有禮,自我五禮,有庸哉。同寅協恭,和衷哉。【馬本,有典作五典,有庸作五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10 尙書古訓 卷二 ITKC_MP_0597A_0510_020_0080 天敍有典,勑我五典,五惇哉。天秩有禮,自我五禮,有庸哉。同寅協恭,和衷哉。【馬本,有典作五典,有庸作五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권차명尙書古訓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帝庸作歌曰:“勑天之命,惟時惟幾。” 乃歌曰:“股肱喜哉,元首起哉,百工熙哉。” 臯陶拜手稽首,颺言曰:“念哉。率作興事,愼乃憲,欽哉。屢省乃成,欽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10 尙書古訓 卷二 ITKC_MP_0597A_0510_020_0260 帝庸作歌曰:“勑天之命,惟時惟幾。” 乃歌曰:“股肱喜哉,元首起哉,百工熙哉。” 臯陶拜手稽首,颺言曰:“念哉。率作興事,愼乃憲,欽哉。屢省乃成,欽哉。” 정약용(丁若鏞)...권차명尙書古訓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問 盞盤之制,不便,錯奠爵之制,宜一遵古法,搘三足,立兩柱,以便其用。○但今公祭用爵,無或嫌僭否?○《考定》所錄尺寸之度,抑有古據乎?【男學淵】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00 禮疑問答 ITKC_MP_0597A_1000_020_0030 問 盞盤之制,不便,錯奠爵之制,宜一遵古法,搘三足,立兩柱,以便其用。○但今公祭用爵,無或嫌僭否?○《考定》所錄尺寸之度,抑有古據乎?【男學淵】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2)
- 정권진 춘향가 완창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무색허여\' 대목에서 끝남.B면 춘향가 중 초앞에서 시작. \'천자뒤풀이\' 중 \"부용작약\" 사설에서 끝남. 소리 정권진 북 미상 pdf A-269.jpg j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권진
- 항상 최전방 제일 앞에서 싸우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니다. [3] 인천상륙작전과 서울 수복까지 [조사자1 : 어르신, 평양까지 가셨다가 중공군이 들어와서 후퇴했잖아요? 그때는 이쪽 동부전선 쪽으로 내려오신 모양이네요?] 그래요. 동부전선으로 해서 내려왔지요. 그래서 토용작전으로 해가 지고 참석 안한대가 없는 이용배입니다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1월 21일
기초학문(10)
- 1910년대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한일 《實用作文法》의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상석, 게재일 : 201028583 임상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어문학회 2010 1910년대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한일 《實用作文法》의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10
- 1910년대 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9244 한국연구재단 민족어문학회 2010 1910년대 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유형논문 | 게재일2010
- 1920년대 작문교본, 󰡔실지응용작문대방(實地應用作文大方)󰡕의 국한문체 글쓰기와 한문전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상석, 게재일 : 201142179 임상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11 1920년대 작문교본, 󰡔실지응용작문대방(實地應用作文大方)󰡕의 국한문체 글쓰기와 한문전통 https://www.krm.or.kr유형논문 | 게재일2011
- 1920년대 작문교본, 『실지응용작문대방(實地應用作文大方)』 의 국한문체 글쓰기와 한문전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69247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11 1920년대 작문교본, 『실지응용작문대방(實地應用作文大方)』 의 국한문체 글쓰기와 한문전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1
- 근대계몽기 作文 敎材에 대한 연구 -『實地應用作文法』과 『文章指南』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우봉, 게재일 : 200741646 정우봉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근대계몽기 作文 敎材에 대한 연구 -『實地應用作文法』과 『文章指南』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83)
- 황해일보_1953_072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 김원선 황해일보사 리종락 은천군 덕항리, 봉산군 관정리, 신원, 청단군, 황인애, 로동당, 가렬한 전쟁의 불길 속에서 특용작물을 증산하는 것은 전쟁 승리를 위한 공업원료의 공급과 인민 생활의 안정 및 국가 수익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커...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3_0721_02 | 책임주필김원선
- 황해일보_1953_072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김원선 황해일보사 리종락 은천군, 덕항리, 봉산군, 관정리, 재령군, 봉산, 신원, 청단군 황인애, 리종락 인민군대 가렬한 전쟁의 불길 속에서 특용작물을 증산하는 것은 전쟁 승리를 위한 공업 원료의 공급과 인민 생활의 안정 및 국가수익성을...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3_0721_02 | 책임주필김원선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任警視總監 警務廳顧問官 丸山重俊 依願免本官 學部視學官尹世鏞 任學部視學官 學部書記官柳基泳 任學部書記官 九品尹世鏞 任學部編輯局長 龍川府尹魚允迪 全羅南道裁判所檢事洪淳용 任慶尙北道裁判所檢事 平理院檢事朴有觀 任全羅南道裁判所檢事 任平理院檢事 法部書記郞洪龍杓 全羅北道裁判所檢事尹憲...게재일1907년 8월 6일 | 기사분류관보
- 황해일보_1951_080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원용준 황해일보사 재림군 전원의 모든 작물은 풍작을 이루고 있다. 그중 면화를 비롯한 특용작물도 □면□ 보기 드문 좋□ 작항을 보이고 있다. 이는 미 영제국주의자들의 □□감행에도 굴함 없이 □(6자 불명)으로 한 가지 □□ 승리를 지향하는 전체 농민...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1_0807_01 | 책임주필원용준
- 조사월보_1935_06-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79 棉以外の纖維特用作物生産價額調 85 纖維作物以外の特用作物生産價額調 89 농작물피해상...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5
기타자료(24)
- 김용표;金瑢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51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김용표;金瑢杓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용표;韓龍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631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32면 3. 졸업생 성명;3) 의학사;(4) 1933년 3월 졸업(57명) 한용표;韓龍杓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한용표;韓龍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287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66면 3. 졸업생 성명;3) 의학사;(4) 1933년 3월 졸업 한용표;韓龍杓 (본적)경기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용표;洪龍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0714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65면 7. 졸업자;1) 법관양성소 제1회 졸업자 (1895년 11월) 홍용표;洪龍杓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용표;洪龍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1497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69면 7. 졸업;1) 법관양성소 제1회 졸업자 (1895년 11월) 홍용표;洪龍杓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2)
-
용작 / 傭作 [사회/촌락]
노동 투입의 필요성 때문에 두레나 품앗이와 같은 교환노동방식의 이용에 한계가 있으므로 품을 사서 농사를 지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품을 사서 농사 짓는 것을 민속 용어로 용작이라 한다. 용작에는 여러 가지의 노동력 고용형태가 포함되는데, 일반 농가에서 용작을 할
-
실지응용작문대방 / 實地應用作文大方 [언어/언어/문자]
1921년 영창서관(永昌書館) 편집부에서 편찬한 고전 한문 입문서. 책의 권두에 ‘서(叙)’가 있고, 뒤이어 목차가 나온 후 본문은 상편과 하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 말미에 ‘歲辛酉之椔夏月下澣 著者 識’라고 적고 있어 이 책이 1921년에 구성된 것임은 알 수 있
-
금호평야 / 琴湖平野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과 대구광역시 동촌·안심들로 되어 있는 평야. 동서 길이 약 50㎞의 경상북도 제일의 평야이다. 금호평야는 미곡(米穀) 농사보다 특용작물 재배가 소득이 더 높아짐에 따라, 평야의 일부가 포도밭으로 바뀌는 등 농업 형태의 전환이 많이 이루어진 지역
-
대미산 / 大美山 [지리/자연지리]
3m) 등이 솟아 있다. 대부분의 수계(水系)는 남한강의 지류인 평창강(平昌江)으로 흘러든다. 북쪽 유포리일대의 상축덕·하축덕 마을에서는 고랭지채소와 홉 등의 특용작물을 재배하고, 이의 북부에는 영동고속도로가 지나며, 이 고속도로에서 가장 높은 영동 제1호터널이 있다.
-
독거군도 / 獨巨群島 [지리/자연지리]
ㆍ구도(鷗島)와 그 밖에 10여 개의 작은 섬들이 있다. 독거도ㆍ관매도ㆍ청등도ㆍ슬도는 유인도(有人島)이고 나머지는 무인도(無人島)이다. 주민은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보리와 고구마이나 유채ㆍ참깨ㆍ마늘 등의 특용작물의 재배도 활발한 편이다. 부근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