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용언” 에 대한 검색결과 8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9)

사전(164)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명(明)대 유학자 황좌(黃佐, 1490-1566)가 제자들에게 가르친 내용을 기록한 책.
    정의중국 명(明)대 유학자 황좌(黃佐, 1490-1566)가 제자들에게 가르친 내용을 기록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Yongeon | MR표기Yong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K4_D_0305 건축 宮闕 西京 睿宗, 吳延寵 D_15_04_12 대동운부군옥 15권 4장 1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4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02(숙종 28)∼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덕삼(德三), 호는 송계(松溪). 아버지는 참판(參判)에 증직된 이홍(履洪), 어머니는 흥덕장씨(興德張氏)로 주부(主簿) 운한(雲翰)의 딸...
    이칭별칭 덕삼(德三)| 송계(松溪)
  • 보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본을 보조하는 . 다른 에 부가되어 부속적인 의미를 첨가한다. [내용] 통사론의 입장에서 보아 은 곧 서술어이므로 보조은 바로 보조서술어가 된다. 품사론의 입장에서 보조은 보조동사나 보조형용사로 나뉘게 된다. 보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만력십팔년칠월일(萬曆十八年七月日)’의 내사기(內賜記)가 있다. 방점이 붙어 있고 ㅿ과 이 사용되고 있다. ≪중해≫는 다른 사서의 언해와 마찬가지로 여러 번 중간되어 그 이본(異本)이 많다. ‘만력사십년(萬曆四十年)’, ‘숭정사년(崇禎四年)’, ‘강희이십삼...

단행본(1)

  • 韓國學研究論文集(四)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
    저자 : ...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5.12.
    유형단행본
    Ÿ‧ 대마도(對馬島) 종가문서(宗家文書) 한글 서간류에 대하여 - 岸田文隆ŸŸ ‧ 한국어의 공손성과 간접표현 - 호정환ŸŸ ‧ 세종말뭉치 문어자료를 활용한 정도부사의 분류와 그 사용 양상–과의 2원 네트워크 분석 - 정

고서·고문서(353)

  • 어학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응어학사전 인문학 언어학 응어학 응어학사전 박경자등저 경진문화사 서울 2001 응어학; [국중]서고자료신...
    대표표제어응용언어학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언어학 | 소분류응용언어학
  • 해한언문(中解漢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응어학 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언어 〈응어학 사전〉 해제 ■정의 이 사전은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의 박경자 교수를 대표 저자로 하여 언어습득,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언어교육, 문법에 관한 용어들, Longman과 Edward Arnold 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는 컴퓨터 언어교육에 관...
    대표표제어〈응용언어학 사전〉 해제 | 편저자 박경자, 임병빈, 김재원, 유석훈, 이재근, 김성찬, 장영준, 한호 | 권수 단권
  • 4556 중국 문집 이문당집 006 예종(睿宗) 12 1117 5 摛文堂集 附錄 慕逢墓誌銘 中大夫充徽猷閣待制提擧南京鴻慶宫蒋瑎撰 政和七年夏五月通議大夫刑部尙書慕容公疾病拜疏上還印綬天子閔以職事勤公詔以通奉大夫刑部尙書致仕是月壬子薨于寢享年...
    국가중국 | 서명이문당집 | 왕대예종(睿宗)  12
  • 第六章 善則播之, 惡亦, 故“廣大”. 至於察其()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DM_6:6 善則播之, 惡亦, 故“廣大”. 至於察其善惡, 則“光明”.
    서명중용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1)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F-017A.mp3 F-017B.mp3 mp3 이보형 권 1942 남자 충청북도 제천군 청풍면 도신리 실리곡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용언

기초학문(99)

  • 한국어 위계구조 자동구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상헌, 게재일 : 2012
    40302 송상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언어연구소 2012 한국어 위계구조 자동구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X프/쁘-’어간의 기저형 재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승용, 게재일 : 2007
    41130 신승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배달말학회 2007 X프/쁘-’어간의 기저형 재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국어의 부정문에 관한 역사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44178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2005 국어의 부정문에 관한 역사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굴절과 동음이의어 회피 제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하세경, 게재일 : 2012
    36226 하세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2 굴절과 동음이의어 회피 제약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내부 감각 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선영, 게재일 : 2010
    29372 김선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10 내부 감각 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0)

  • 일본셔 단지 류학에계 의조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쥬셩일인 뎐즁장삼랑방에 잇 김씨 신화 일원
    게재일1907년 1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일본셔 단지 류학에계 의조금 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셔 단지 류학에계 의조금 안쥬셩일인 뎐즁장삼랑방에 잇 김씨 신화 일원
    게재일1907년 1월 24일 | 기사분류광고
  • 致賀寄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쥬셩김[金 씨 보본을 독지오바 금은 양션급이고  공익상 일이면양다소간금을 연조더니 금번 본보확쟝데야금일원을 긔부얏고 셔빙고이계 조졍션(趙貞善)씨 금오십젼을긔부얏스니 뎨씨의 셩의를 치하노라
    게재일1907년 6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郵物漏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안쥬셩 김씨 셔신에 신문이 간간누락된다얏스이 우편국에셔 착실 쥬의야 종후로 이갓튼 폐가읍게심바라오
    게재일1906년 10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중앙청년회보_1917_2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표지 및 목차 판권지 부재함 권두 1 만국학생연합 기도회 취지서 3 헌...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멀티미디어(125)

  • 보조_8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부정,피동,사동 8주차. 보조 9주차. 내포절과 어미 41주차.
    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보조_8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부정,피동,사동 8주차. 보조 9주차. 내포절과 어미 42주차.
    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보조_8주차_3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부정,피동,사동 8주차. 보조 9주차. 내포절과 어미 43주차.
    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보조_8주차_4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복잡한문장을해석할 수있다. 1주차. 한국어의 어순과문장 패턴 2주차. 조사 3주차. 종결어미/시제,높임 선어말어미 4주차. 양태 선어말어미/단어부류 5주차. 단어 부류 6주차. 단어 부류 7주차. 부정,피동,사동 8주차. 보조 9주차. 내포절과 어미 44주차.
    강좌제목한국어의 문법 | 강의자문숙영 교수
  • 체언과 _3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되었는지를 살피고 나아가 대표적인 문법범주의 변천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들을 통해 고찰한다. 1주차. 문법사 연구의 기초 2주차. 한글 창제와 한글 자료 3주차. 체언과 4주차. 격조사 5주차. 보조사(1) 6주차. 보조사(2), 의문조사, 접속조사 7주차. 선
    강좌제목한국어 문법사 | 강의자황선엽 교수

기타자료(6)

  • ;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3747 남한 경성 관립한성외국어학교 1-46 관립한성외국어학교일람 1909 55면 1 제6장 졸업생 (합병전);1) 일어학교 졸업생;(9) 제9회 조;趙 (졸업일자)190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관립한성외국어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8889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73면 (52) 보습과 제5회 33명(1939년 3월 修業) 김;金 경성의학전문학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3117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73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52) 보습과 제5회 33명(1939년 3월 修業) 김;金 (주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금강철홍;金岡哲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8955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28면 김;金;금강철홍;金岡哲弘 함북 명천군 상우남면 고성동 본과 제1회 1924...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논단) 여성 공덕의 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논단) 여성 공덕의 미 (논단) 여성 공덕의 미 (論壇) 女性 工徳의 미 교육 문헌 교육과정 생활지도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종서 | 사료철명충북교육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47)

  • / [언어/언어/문자]

    일반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포괄하여 부르는 품사분류의 상위개념. 형태론적으로는 활용(活用)을 하고, 통사론적으로는 주로 서술어의 구실을 수행한다.은 동사와 형용사로 나뉘는데, 동사는 주로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형용사는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낸다. 명령형

  • 보조 / 補助 [언어/언어/문자]

    을 보조하는 . 통사론의 입장에서 보아 은 곧 서술어이므로 보조은 바로 보조서술어가 된다. 품사론의 입장에서 보조은 보조동사나 보조형용사로 나뉘게 된다. 보조은 문구조(文構造)를 지배하는 필수적인 성분이 아니라 서술어에 첨가되어 쓰이는 의존적

  • 해 / 中 [언어/언어/문자]

    내사기(內賜記)가 있다. 방점이 붙어 있고 ㅿ과 ᄠᅳᆷ이 사용되고 있다. 『중해』는 다른 사서의 언해와 마찬가지로 여러 번 중간되어 그 이본(異本)이 많다. ‘만력사십년(萬曆四十年)’, ‘숭정사년(崇禎四年)’, ‘강희이십삼년(康熙二十三年)’, ‘강희삼십이년(康熙三十

  • 불규칙 / 不規則 [언어/언어/문자]

    활용할 때에 어간이나 어미가 모습을 달리하는 . 불규칙의 활용을 불규칙활용 또는 변칙활용이라 하고, 이러한 불규칙활용하는 동사·형용사를 각각 불규칙동사·불규칙형용사라 한다. 이와 같은 변화는 국어 음운변화의 일반적인 현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을 불규

  • 보통학교문철자법 / 普通學校文綴字法 [언어/언어/문자]

    표한 한글맞춤법으로, 『역대한국문법대계』 제3부 제8책에 수록되어 있다. 1912년 4월에 확정하여 공표한 이후에 이 맞춤법에 대한 개정 논의가 일어나서, 학무국에서 다시 위촉된 위원들의 토의를 거쳐 1921년 3월 「보통학교문철자법대요(普通學校文綴字法大要)」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