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용양위” 에 대한 검색결과 2,5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52)

사전(1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나타난다. 그 뒤 중앙군 조직은 여러 번의 변화를 거친 뒤 1451년(문종 1)에 오사(五司)로 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용양사(龍驤司)이었고, 이것이 1457년(세조 3)에 로 개편되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의 소속 병종(兵種)은...
    이칭별칭좌위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초‧중기에 군사조직의 근간을 이루었던 오위(五衛)의 하나.
    정의조선 초‧중기에 군사조직의 근간을 이루었던 오위(五衛)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ongyangwi | MR표기Yongyangw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 가운데 ()에 속했던 중앙군의 한 병종. [내용] 1415년(태종 15)에 제도화된 섭육십(攝六十)의 후신으로 보인다. 대개 신분적으로 양인 또는 그 이하의 신량역천(身良役賤)들이 입속했으며,...
  • TD_I3_J_0429 李承旨忠綽 시 白首, , 官閑, 掩扉, 五言, 近自然 三角 J_13_01_01 지봉유설 13권 1장 1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3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유년시절에 아버지에게 수학하였으며, 유주목(柳疇睦)과 깊이 교유하였다. 향시(鄕試)에 누차 합격하였으나 회시(會試)에서 거듭 실패하였다. 1871년(고종 8) 특채(特採)로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에 제수되었고, 1875년 부호군(副護軍)ㆍ돈녕부...
    이칭별칭 사직(士直)| 내헌(耐軒)

고서·고문서(2,420)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10_015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한원진 부호군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1744년(乾隆9) 1月에 韓元震을 禦侮將軍行龍驤衛副護軍으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어모장군은 정3품 堂下官의 무신 품계로, 본 고신은 4품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官敎에 해당하며, 국왕 명의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敎旨’라는 문구가 있다. 龍驤衛는 조선...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한후현 부사과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낱장 일부 편이다. 韓後賢을 宣略將軍 行龍驤衛 副司果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宣略將軍 종4품의 무신 품계로 관계로 이고신은 4품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官敎에 해당하며, 국왕 명의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敎旨’라는 문구가 있다. 선략장군이 종4품의 품계...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송병선부사직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宋秉璿을 禦侮將軍行副司直에 임명하는 고신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송병선부사직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宋秉璿을 禦侮將軍行副司直에 임명하는 고신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卷下 21.4x31.1 續集 第18張: 歲次戊寅季冬湖南道海南地頭輪山大興寺開刊 秉節校尉行副司果金熙采謹書 H8, p.552. 전남 담양 용흥사 동국대 ABC사업단 전체 제공 1. 卷下末(第77張): '吳城西幻住庵比丘 永中謹識'의 識語가 있음...
    대표표제어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 27 | 대표서명緇門警訓註 | 한글서명치문경훈주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1)

  • 마산 합포성지 - 마산 합성동 73-10번지 주택신축부지내 시굴조사 보고서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3년(1457)에 5위가 성립하고 동왕 12년(1466) 오위도총부가 설치되면서 체제가 확립되었다. 5위는 각기 분담된 지방 병력을 통할하였고 경상도는 가 담당했다. 각 위(衛)는 5부(部)로 구성되었고, 각 부는 4통(統)으로 나뉘었으며, 통 아래에 여(旅)ㆍ대...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9)

  • / [정치·법제/국방]

    조선 초·중기에 군사조직의 근간을 이루었던 오위의 하나. 좌위에 속한다. 1394년(태조 3)에 용양순위사, 1451년(문종 1)에 용양사, 1457년(세조 3) 로 개편되었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소속 병종은 별시위와 대졸이었고, 관할지역으로는 경동

  • 송병선부사직고신 / 宋秉璿副司直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2월에 송병선을 어모장군행부사직에 임명하는 고신. 어모장군은 정3품 당하관 무신 품계, 4품 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관교에 해당, 국왕 명의로 발급 문서의 시작부분에 '교지'라는 문구가 있다. 정3품의 품계에 비해 종5품 부사직의 낮은 관

  • 포쇄관 / 曝曬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고의 서적들을 점검하고 햇빛과 바람을 쏘이던 일을 맡은 사관. 일반적으로 외사고의 포쇄에는 춘추관의 기사관급인 예문관의 봉교·대교·검열이 파견되었지만 별겸춘추관인 부사과(副司果)가 파견되는 경우도 상당히 있었다. 많이 파견된 사관을 보면, 검열

  • 오위 / 五衛 [정치·법제/국방]

    조선 초·중기에 근간을 이루었던 군사조직. 의흥위(義興衛)·()·호분위(虎賁衛)·충좌위(忠佐衛)·충무위(忠武衛)를 말한다. 이후 ≪경국대전≫에는 의흥위에 갑사와 보충대(補充隊), 에 별시위와 대졸(隊卒), 호분위에 족친위(族親衛)·친군위(親軍衛)·팽

  • 김추길 / 金秋吉 [종교·철학/유학]

    1603∼1686. 조선후기 학자. 아버지는 률, 어머니는 봉화 금씨이다. 1678년(숙종 4) 통정대부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에 제수되고 1684년 장렬왕후 주갑의 해에 추로의 은혜를 입어 가선대부 행 부호군에 가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