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용비어천가” 에 대한 검색결과 4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3)

사전(194)

  • 치화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세종이 창작한「봉래의(鳳來儀)」. [내용] 「봉래의」는 고취악과 향악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으며 대규모 정재악무(呈才樂舞)이다. 이 곡은 본래 국‧한문으로 된「」를 노래하던 음악이었는데, 현재에는 그 실제의 음악은 전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올린 공덕을 헛되이 하지 말아야 할 것임을 경계하려는 데 있다. 만든 경과는 이 책의 첫머리에 실린 <진전 進箋>과 끄트머리에 실린 <跋>에 잘 나타나 있다. 첫머리의 글에 따르면 권제(權踶)‧정인지(鄭麟趾)‧안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穆祖)에서 태종(太宗)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
    정의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穆祖)에서 태종(太宗)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ongbi eocheon-ga | MR표기Yongbi ŏch’ŏn’g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3_S_0006 , 廟樂, 一百二十五章, 興, 與民樂, 撃毬, 典禮 私邸, 魯 我太祖, 太宗, 鄭麟趾, 僖公, 伯禽, 后稷 閟宮 S_15_01_71 성호사설 15권 1장 71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5권 1장 7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3_D_0543 시 儒臣, 帝王, 潛邸, 樂辭 我朝 我英廟, 鄭麟趾, 祖宗, 穆祖 本集 D_06_01_01 대동운부군옥 6권 1장 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66)

기초학문(26)

  • 주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46208 한국연구재단 주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0674&local_id=1000
    유형논문
  • 約本』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승우, 게재일 : 2008
    41171 김승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회 2008 『約本』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한자음과 15세기 중국어 음운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경, 게재일 : 2004
    33043 김태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04 한자음과 15세기 중국어 음운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의 전거와 체재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0583 한국연구재단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013 '의 전거와 체재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의 전거(典據)와 체재(體裁)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승우, 게재일 : 2013
    42842 김승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13 ????의 전거(典據)와 체재(體裁)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7)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 이시애(李施愛), 이만주(李滿住), 황수신(黃守身), 황희(黃喜), 정인지(鄭麟趾), 치평요람(治平要覽), () 조양보번역문.pdf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6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정신 교육의 필요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대한 글 정신 교육, 문명개화, 학술, 실업, 교육의 근본, 가정, 사회, 학교, 가정교육, 사회교육, 학교교육, , 관립학교, 사립학교, 보통학교, 전문학교, 신학문, 일본인 교사, 신지식, 유림, 「초은조(招隱操)」, 중앙사범학교, 독립의 대권, 태극,...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1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28 施身聞偈本生圖 佐藤淸 36 金鍾漢 40 광고3 4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 교와 조선 손진태 8 훈민정음과 이극로 22 결락 24 24~25 쪽 결락, 22쪽 기사가 이어지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 김종한 86 기생충과그구제법 차균현 90 오락실-문자 잘쓰는 멍텅구리, 남산과 시, 수화, 수수께끼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4

주제어사전(11)

  • / [언론·출판/출판]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穆祖)에서 태종(太宗)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 목판본. 모두 10권. 현재 전하는 판본은 모두 목판본이나 세종대의 초간본은 활자본으로 추정된다. 고판본으로는 가람문고본·일사문고본과 규장각본이 있다. 그 밖에 ≪세종실록≫에

  • 이민보 / 李敏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0∼1799). 형조판서·도총관을 거쳐 노인직으로 판중추부사에 올랐다. 음관으로 보국숭록대부에 오른 것은 황수신 이후 처음이다. 《》·《악학궤범》 등을 정리 간행하였다. 저서로는 《풍서집》과 노론시각의 당쟁론《충역변》이 있다.

  • 남원 황산대첩비지 / 南原荒山大捷碑址 [예술·체육/건축]

    ()」에도 수록되었다.1577년(선조 10)에는 당시의 승전 사실을 길이 전하기 위하여 호조판서 김귀영(金貴榮, 1520∼1593)이 글을 짓고 송인(宋寅, 1517∼1584)의 글씨로 새긴 황산대첩비가 건립되었다. 건립 당시에는 비각(碑閣)·별장청(別

  • 구두점 / 句讀點 [언어/언어/문자]

    點)을 문장의 중간에 찍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두점(‘.’표)을 찍은 문헌으로는 세종 때 간행된 ≪훈민정음≫(1446)·≪≫(1447) 등이 있다.

  • 조선국조신화 / 朝鮮國祖神話 [문학/구비문학]

    조선의 건국신화. 조선 왕조의 건국신화를 종합적인 체계로 세운 것으로는 「」가 있는데, 이 작품을 통하여 「조선국조신화」를 엿볼 수 있다. 이 신화의 특징은 국조의 인물들을 모두 용(龍)으로 상징한 점이다. 조선의 국조신화에 비하면 고려의 국조신화는 훨씬 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