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용문자식”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행이(行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였다. 『경국대전』에는 문서 행이체식을 ()으로 규정하였다. 규정에 의하면 2품 이상의 아문(衙門)은 왕에게 직계(直啓)할 수 있으며, 상급 아문이 하급 아문에 문서를 보낼 때나 동급 아문 사이에 문서를 주고받을 때는 관을 사용하고, 하급 아...
    상위어공문서(公文書), 관문서(官文書) | 동의어용문자(用文字) | 관련어계(啓), 관(關), 첩(帖), 첩정(牒呈)
  • 평관(平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로서 사용하였다. [내용 및 특징] 조선초에 성립된 『경국대전』 「예전(禮典)」에는 관문서의 운용 원칙을 밝혀놓은 () 조문이 별도로 수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관사의 위계에 따라 동등 이하에는 관을 사용하고, 이상에는 첩정(牒呈)을 사용하며...
    상위어관문서(官文書) | 관련어첩(帖), 첩정(牒呈)
  • 예전(禮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경외관상견(京外官相見)’, ‘경외관회좌(京外官會坐)’, ‘청대(請臺)’, ‘잡령(雜令)’, ‘()’이다. 특히 ‘’에는 문무관사품이상고신식, 문무관오품이하고신식, 당상관처고신식, 삼품이하처고신식, 홍패식, 백패식, 잡과백패식, 녹패식,...
    관련어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통편(大典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 신보수교집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객(待使客)‧(), 병전(兵典)은 경관직‧외관직‧시취(試取)‧도시(都試)‧포폄‧유방(留防)‧복호(復戶)‧군기(軍器)‧병선‧봉수‧구목(廐牧)‧장근‧역로(驛路)‧포호(捕虎)‧잡령‧군제(軍制)‧상전(賞典)‧사민(徙民)‧군율‧군수(軍需) 등이다. 형전(刑...
  • 백헌총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迎敎書儀)‧수유서의(受諭書儀)‧영내향의(迎內香儀)‧선온선로의(宣醞宣勞儀)‧향음주의(鄕飮酒儀)‧향사의(鄕射儀)‧양로의(養老儀)‧()‧문자식(文字式 : 33條)‧경외관영송(京外官迎送)‧상견(相見)‧회좌(會坐 : 관원이 중요한 일을 논의하기 위해 한 곳에 모...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공문서를 쓰는 법과 그 양식. 중요한 원칙으로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국왕에 대한 직계는 3품 아문과 중앙·지방의 제장, 승문원·장예원·사간원·종부시 등만이 할 수 있었고, 둘째, 상급관청·관원에게는 첩정을, 동등 이하의 관청·관원에게는 관을, 7품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