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용마기”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9)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포함되었으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단계에서는 제외되었다. 국장(國葬) 중의 길의장, 가례, 부묘 의식 등 노부의장이 쓰이는 의례에 사용되었다. 黑紬四尺纓子紅紬七寸五分前謄鍊一尺今番減磨鍊二每部五幅付所入質白紬四十尺火焰脚紅紬三十六尺衿, (국장1903/038ㄱ10~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부(鹵簿), 의장(儀仗) 대가(大駕), 법가(法駕), 소가(小駕) 왕실왕실의례/예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강제훈 의장기(儀仗旗) [정의] 조선시대 왕의...
    상위어노부(鹵簿), 의장(儀仗) | 관련어대가(大駕), 법가(法駕), 소가(小駕)
  • 각단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기 바탕은 백주(白紬)를, 화염각(火焰脚)과 영자(纓子)는 홍주(紅紬), 깃은 흑주(黑紬)를 쓴다. 천하태평기(天下太平旗)를 중앙에 두고 삼각기(三角旗)와 () 사이에 좌우로 선다. 黑紬八尺纓子紅紬一尺五寸角端旗一五幅付火焰脚哛改造所入質白紬二十尺火焰脚紅紬十八...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백학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용하기도 했다. 국장(國葬)이나 예장(禮葬) 중의 길의장(吉儀狀), 가례, 부묘 의식 등 노부 의장이 쓰이는 의례에 사용되었다. 磴子四哥舒棒四皷字旗一金字旗一令字旗二熊骨朶二豹骨朶二白鶴旗一玄鶴旗一一角端旗一三角旗一碧鳳旗一玄武, (상호1827/148ㄴ01~03)...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삼각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簿), 어장(御葬) 등에 사용하였다. 기 바탕은 백주(白紬), 화염각(火焰脚)과 영자(纓子)는 홍주(紅紬)로, 깃은 흑주(黑紬)를 쓴다. 石紫黃七分眞粉三兩紅眞絲六分修補所入三角旗二角端旗二二玄鶴旗一白鶴旗一旗葉改備每件所入, (국장1834/138ㄴ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

  • 緣而噉其腦蜈蚣亦嚙人以 桑汁白鹽塗之卽愈○圖經曰多在土石及 人家屋壁間以頭足赤者爲勝七八月取之 黃足者最多人以火炙令赤以當之不堪用 也〔水蛭音質〕味鹹苦平微寒有毒主逐惡血瘀血月 閉破血瘕積聚無子利水道又墮胎一名至掌 一名蚑生池澤五月六月採暴乾 陶隱居云蚑(音蜞)今復有數種此得 齒人腹中有血者...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

    국왕의 대가 의장, 법가의장, 소가 의장에 쓰이는 깃발. 흰색 바탕에 용마 및 운기를 그리고, 청ㆍ적ㆍ황ㆍ백 네가지 색의 화염각을 단다. 용마는 몸체는 말과 같고 다리는 용과 같은 모양의 신수이다. 세종대에는 동궁의장에도 포함되었으나 <국조오례의> 단계에서는 제외되었

  • 각단기 / 角端旗 [정치·법제]

    를, 화염각과 영자는 홍주, 깃은 흑주를 쓴다. 천하태평기를 중앙에 두고 삼각기와 사이에 좌우로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