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용담유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
사전(67)
- 용담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권학가(勸學歌)‧도덕가(道德歌)‧흥비가(興比歌)‧검결(劍訣)의 9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운행록 水雲行錄≫에 의하면, 이 ≪용담유사≫는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처사가 處士歌>를 포함하여 모두 10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용담유사≫는 1881년 6월...
- 용담유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에 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지은 포교가사집(布敎歌辭).정의조선 후기에 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지은 포교가사집(布敎歌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ongdam yusa | MR표기Yongdam yu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연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구성 및 형식] 1929년 상주 동학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하여 목판본으로 간행된 『용담유사(龍潭遺詞)』 제16편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김주희라는 주장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 심학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구성 및 형식] 1932년 경상북도 상주 동학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하여 목판본으로 간행된 『용담유사(龍潭遺詞)』 제11편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는 김주희라는 주장이 있으나 분명...
- 수기직분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구성 및 형식] 목판본. 작자가 김주희(金周熙)라는 주장이 있으나 고증이 요구된다. 1929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본 2본으로 간행되었는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
고서·고문서(1)
- 잠심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심은 천심이요, 오심은 여심이라는 말들은 바로 이러한 마음의 쓰임을 말하는 것이다. 『용담유사』「팔절」은 ‘明德命道誠敬畏心’이라 하여 수운이 수도를 해 가는데 필요한 조목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그 ‘팔절’의 맨 끝 절에 마음[心]을 두었다. 이는 마음을 얻는다는...가사유형종교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구술자료(1)
- 김정선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전 용담유사 2000-05-04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 동학교당 30:57 02:22 E-017 김정선 대담조사.pdf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선
신문·잡지(3)
- 천도교회월보_1932_26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용담유사 문답 절암 14 말과 글 이인근 15 전하심(前何心)이며 후하심야(後何心耶)아 유중석 2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2
- 천도교회월보_1932_26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한용순 7 경전 해석에 대하여 박완 14 가정 포덕은 우리의 급선무 유종석 11 용담유사 문...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2
- 천도교회월보_1932_25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0 용담유사 문답 절암 31 정도로 나아가자 충암 32 화폐와 가치 3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2
주제어사전(28)
-
용담유사 / 龍潭遺詞 [종교·철학]
동학의 경전 중의 하나. 한문으로 된 <동경대전>과 함께 동학의 기본 경전이다. 동학의 교조 최제우가 지은 한글로 된 가사집이다. 1881년 여규덕의 집에서 최시형에 의해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1893년과 1922년에 각각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용담가><안심가
-
동학가사 / 東學歌辭 [종교·철학]
동학사상을 전파하기 위해서 만든 가사. 최초의 동학가사는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것들이다. <용담유사>는 1880년 최시형에 의해 <동경대전>과 함께 간행되었다.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동학가사는 그 당시까지 암송되어 오던 것들이다. <용담유사> 이후의 동학가사는
-
궁을십승가 / 弓乙十勝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 가사(東學歌辭). 목판본. 작자는 김주희(金周熙)라는 주장이 있으나 자세한 고증이 요구된다. 1932년 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 및 국문본 2종으로 간행된 바 있으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4에 수록되어 있다. 「궁을
-
도덕가 / 道德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용담유사(龍潭遺詞)』 권21에 수록되어 있는 이 『도덕가』는 「수시경세가(隨時警世歌)」·「권선치덕가(勸善致德歌)」·「추본수덕가(推本修德歌)」·「지본수련가(知本修煉歌)」·「몽각명심가(夢覺明心歌)」의 5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형식
-
송구영신가 / 送舊迎新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 목판본.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 본부에서 국한문 혼용본 및 국문본 2종으로 간행되었으며, 『용담유사(龍潭遺詞)』 권31에 수록되어 있다. 권31을 송구영신가라고 했으나 그 안에서 다시 「송구영신가」와 「몽경시화가(夢警時和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