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외지제교”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겸임하게 하고 이를 라 하였다. 그러나 세종 때 집현전이 설치된 뒤 집현전학사에게 를 겸임하게 하였다. 그 뒤 1430년(세종 12)에 집현전의 녹관(祿官)이 내지제교(內知製敎)를 겸임하게 됨으로써 는 그 밖의 다른 문관 10인을 뽑아서 겸...
  • 지제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0인을 따로 선정하여 지제교를 겸임하게 하여 이를 ()라 하였다. 세종 때 집현전이 설치된 뒤 집현전학사에게 를 겸임하게 하였으나, 1430년(세종 12)에 집현전의 녹관(祿官)이 내지제교를 겸임하게 하고 는 여타 문관 10인을 뽑아...
  • TD_E2_J_0023 玉堂官 관직 知製敎, 內知製敎, , 時急敎書, 文拙, 撰進, 辭遞, 公議 先王朝 J_04_01_01 지봉유설 4권 1장 1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내지제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탁월한 자들도 임명될 수 있었던 바, 그들을 라 하고 홍문관 지제교를 내지제교라 하였다. 내지제교는 홍문관의 부제학‧직제학‧전한‧응교‧부응교 각각 1인, 교리‧부교리‧수찬‧부수찬 각각 2인씩으로 13인이 당연직으로 겸하였다. 는 대제학과 이조판서가...
  • 지제교(知製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제교 지제교 知製敎 겸직(兼職), 당하관(堂下官), 참상관(參上官) 규장각(奎章閣), 내지제교(內知製敎), 예문관(藝文館), (), 의정부(議政府) 사인(舍人), 서경(署經), 직예문관(直藝文館), 집현전(集賢殿),
    상위어겸직(兼職), 당하관(堂下官), 참상관(參上官) | 관련어규장각(奎章閣), 내지제교(內知製敎), 예문관(藝文館), 외지제교(外知製敎), 의정부(議政府) 사인(舍人), 서경(署經), 직예문관(直藝文館), 집현전(集賢殿), 홍문관(弘文館)

고서·고문서(2)

  • 1691년 김방걸(金邦杰)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의 내지제교와 그 외 문관 10인을 따로 선정하여 겸임하게 한 가 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692년 김방걸(金邦杰)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내지제교와 그 외 문관 10인을 따로 선정하여 겸임하게 한 가 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에게 교서 등을 기초하여 바치는 일을 담당한 관직. 고려시대의 외지제고가 개칭된 것이다. 조선 초기에 지제교를 겸임하게 되어 있는 승정원·사간원의 관원을 제외하고 따로 문관 10인을 선정하여 지제교를 겸임하게 하고 이를 라 하였다. ≪경국대전≫에는

  • 지제교 / 知製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에게 교서 등을 기초하여 바치는 일을 담당한 관직. 조선 초기에는 승정원·사간원의 관원으로 하여금 모두 지제교를 겸임하여 내지제교, 또한 문관 10인을 따로 선정하여 지제교를 겸임하여 라 불렀다. 세종 때 집현전이 설치된 뒤 집현전학사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