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외재궁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0)
- 외재궁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외재궁을 모시는 수레. 외재궁은 임금이나 왕비의 장사에 쓰는 외곽(外槨)을 말한다. 재궁(梓宮)은 임금이나 왕비의 유해를 안치하는 관을 말하고. 왕세자나 왕세자빈의 경우 재실(梓室)이라 하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변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장색(匠色)의 우두머리. 의궤에 차장변수(車匠邊首), 죽산마변수(竹散馬邊首), 외재궁여변수(外梓宮轝邊首), 마정변수(磨正邊首), 윤여변수(輪輿邊首), 대여변수(大輿邊首), 대소여변수(大小輿邊首), 견여변수(肩轝邊首)의 기록이 보인다. 監造官十一員各胡椒二升白貼扇一把...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용봉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가마 지붕을 장식했던 용과 봉황 장식. 국장이 있을 때 재궁을 싣는 재궁여(梓宮轝)나 소방상을 안치했던 대여(大轝)의 지붕에 부착했던 용과 봉황장식을 말한다. 용은 대여와 견여의 지붕을 장식했고 봉황의 경우에는 재궁을 받들었던 외재궁여(外梓宮轝)와 각종 명기(明器)를...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방상씨교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방상씨(方相氏)가 앉는 교의. 방상씨는 구나(驅儺) 때 악귀를 쫓는 나자(儺者)의 하나. 교의는 제사 지낼 때 신주(神主)나 혼백 상자 등을 놓아두는 다리가 긴 의자인데, 교상(交牀)이라고도 한다. 外梓宮輿服色及上粧諸具方相氏交椅四坐踏板具以上到山陵後燒火靈座交椅座倚子...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정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여(外梓宮轝) 편수[邊首]가 착용한 상복(喪服)인 포단령(布團領)ㆍ포직령(布直領) 차림에도 토시로 생각되는 정수(淨袖)가 포함되어 있다. 木擧乃乼具壹介强礪石延日礪石各壹塊三甲所貳艮衣雉尾箒壹柄淨衣淨袖淨裳頭巾襪各貳件白苧布肆尺行子布參尺紅紬袱陸件, (국장1757/207ㄱ0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3)
- [순종효황제]어장주감의궤([純宗孝皇帝]御葬主監儀軌)(1)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외재궁여(外梓宮轝)」는 외재궁을 싣는 상여로서, 제작방법과 각 자재별 수량과 규격, 재료, 제작방법 등을 정리해놓은 도설이다. 「명기(明器)」는 무덤에 시신과 함께 묻는 여러 신명한 물품으로서, 각 종류마다 수량과 규격, 재료 등을 자세히 정리해놓은 도설이다....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고종태황제]어장주감의궤([高宗太皇帝]御葬主監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궁의 제작 등 제반사항에 필요한 재료와 수량, 기타 등을 정리해 놓은 도설이다. 「외재궁여(外梓宮轝)」는 외재궁을 싣는 상여로서, 제작방법과 그림, 각 자재별 수량과 규격, 재료, 제작방법 등을 정리해놓은 도설이다. 「명기(明器)」는 무덤에 시신과 함께 묻는 여러 신명...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순종효황제]어장주감의궤([純宗孝皇帝]御葬主監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료와 수량, 기타 등을 정리해 놓은 도설이다. 「외재궁여(外梓宮轝)」는 외재궁을 싣는 상여로서, 제작방법과 그림, 각 자재별 수량과 규격, 재료, 제작방법 등을 정리해놓은 도설이다. 「명기(明器)」는 무덤에 시신과 함께 묻는 여러 신명한 물품으로서, 각 종류마다 수량과...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1)
-
외재궁여 / 外梓宮轝 [생활/주생활]
외재궁을 모시는 수레. 외재궁은 임금이나 왕비의 장사에 쓰는 외곽을 말한다. 재궁은 임금이나 왕비의 유해를 안치하는 관을 말하고. 왕세자나 왕세자빈의 경우 재실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