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외선온”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고기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改服黑團領進詣殿庭復命以上四禮日禮房承旨次知於嬪本家本家又行酒禮而告期日宣醞則以減膳因傳敎權停, (가례1819/131ㄴ04~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궤장및사궤장연회도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리도록 되어 있었다. 이 그림은 바로 그러한 장면이 세 부분으로 그려져 있는데, 지영궤장도(祗迎几杖圖)는 임금이 내리는 궤장을 맞아들이는 장면, 선독교서도(宣讀敎書圖)는 임금이 내린 교서를 낭독하는 장면, 내도(內圖)는 궁중에서 보낸 악사와 무희들이...
    연계항목궤장및사궤장연회도첩(궤杖및賜궤杖宴會圖帖)
  • 세초(洗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내관)가 주관하고, ()은 승지가 담당하였는데, 내선온과 은 찬품(饌品)이 각기 달랐으며, 내선온에 비해 은 소략하였다. 1781년 『영조실록』의 선온은 의정부와 차일암에서 각기 7월 22일과 7월 26일에 거행되었다. 홍문관 제학 이명식(...
    관련어세초군(洗草軍: 세초꾼), 세초연(洗草宴), 실록청(實錄廳), 침세군(沈洗軍)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

    임금이 신하를 위로하거나 격려하기 위해 승지를 통해 내리는 술. 국가의 중요한 행사나 임무를 마친 신하에게 내린다. 선온을 내릴 때는 절육, 편육, 과실 등의 음식을 같이 보내었다. 선온은 이를 전하는 관리에 따라 내선온과 으로 구별하였는데 내선온은 내시를 통

  • 선온 / 宣醞 [정치·법제]

    주는 절차가 있다. <춘관통고>에는 「」과 「선온」의 의주가 있는데 이것은 국혼 때 거행하는 선온의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