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외방별과”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특히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행해진 외방별시를 각각 북도과(北道科, 혹은 함경도별과), 서도과(西道科, 혹은 평안도별과)라 불렀는데, 10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시행되었다. 는 문‧무과에서만 행해졌고 정규별시와는 달리 단 한번의 시험으로 급락...
    이칭별칭외방별시
  • 퇴부(退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퇴부 퇴부 退付 과거(科擧) 방방(放榜), 부자상피법(父子相避法), (), 장원(壯元), 진시(陳試), 친림시(親臨試)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차미희 [정의] ...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방방(放榜), 부자상피법(父子相避法), 외방별과(外方別科), 장원(壯元), 진시(陳試), 친림시(親臨試)
  • 별과(別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별과 별과 別科 과거(科擧) 무과(武科), 문과(文科), 별시(別試), ()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최진옥 [정의] 외방에서 치르는 시험 또는 비정기적인 시...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무과(武科), 문과(文科), 별시(別試), 외방별과(外方別科)
  • 강화별시(江華別試)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강화별시 강화별시 江華別試 강화별시(江華別試) 문과(文科) (), 외방별시(外方別試), 도과(道科) 정치인사/선발 법제 정책 노영구 1627년 [정의] 조선후기 외...
    동의어강화별시(江華別試) 문과(文科) | 관련어외방별과(外方別科), 외방별시(外方別試), 도과(道科)
  • 도과(道科)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함경도에 실시되었다. 관서·관북 지방은 국방상 중요한 지역으로 민심을 위열하는 차원에서 왕의 특령으로 도과를 설행하였다. 도과는 별시·별과로도 지칭되었으며, 『속대전』에서 ()로 정비되었다. 『속대전』에 의하면 평안도·함경도·강화·제주 등지에는 왕의 특지...
    상위어과거(科擧) | 동의어도시(道試) | 관련어관서별시(關西別試), 무과(武科), 문과(文科), 별시(別試), 별과(別科), 외방별시(外方別試), 외방정시(外方庭試), 평양별시(平壤別試)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서울 이외의 지방에서 시행한 특별 과거. 평안도·함경도 등의 변방이나 왕의 행차가 잦은 온양·수원·강화도 등지에서 많이 행해졌다. 본래 취지는 변방 무사들의 노고를 위로하고 선비들을 격려하기 위해 시행한 것이다. 1456년(세조 2) 왕이 평양에 행차하여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