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외명부” 에 대한 검색결과 1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

사전(1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무백관의 처 등을 말한다. [내용] 는 대전유모(大殿乳母)와 같이 자신의 공로에 따라 봉작을 받기도 했으나, 대부분은 아버지와 남편의 신분 및 관직에 상응해 봉작을 받았다. 중국의 하(夏)‧은(殷)‧주(周) 때 제후‧대부‧사의 처와 서인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부(命婦) 대전유모(大殿乳母), 명부사(命婦司), 문무관처(文武官妻), 왕녀(王女), 왕비모(王妃母), 왕세자녀(王世子女), 장시계(掌侍系), 종친처(宗親妻) 내명부(內命婦), 봉작(封爵), 부직(夫職), 읍호(...
    상위어명부(命婦) | 하위어대전유모(大殿乳母), 명부사(命婦司), 문무관처(文武官妻), 왕녀(王女), 왕비모(王妃母), 왕세자녀(王世子女), 장시계(掌侍系), 종친처(宗親妻) | 관련어내명부(內命婦), 봉작(封爵), 부직(夫職), 읍호(邑號)
  • 안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7품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7품의 관계에 오른 적처(嫡妻)에게 봉작된 작호이다. 1396년(태조 5) 문무 각품 정처(正妻)에 대한 봉작제를 실시할 적에는 6품관의 정처에게 봉해졌으며,...
  • 신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인 종친처에게 내린 정3품 당상 작호(爵號). [내용] 종친(宗親)인 명선대부(明善大夫)의 적처(嫡妻)에게 내린 작호(爵號)로 당상관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 봉보부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인 왕의 유모(乳母)에게 내린 종1품 작호(爵號). [내용] 봉보부인은 중국 한(漢)나라에서 시작되었다. 송나라에서는 진종(眞宗)의 유모 유씨(劉氏)를 진국연수보성부인(秦國延壽保聖夫人)이라 봉하였다. 조선 초기 세종...

고서·고문서(36)

  • 【內命婦爵ㆍ品,已論於序官之命婦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80 經世遺表 卷三 ITKC_MP_0597A_1080_010_0040 【內命婦爵ㆍ品,已論於序官之命婦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經世遺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903년 정씨(鄭氏) 관고(官誥)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03년10월 8일에 고종이 영광에 사는 유인 정씨를 남편인 정3품 통정대부김진호의 관직에 의해 문무관 정3품 당상관의인 숙부인에 봉해주는 임명장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현소장처영광농업기술센터
  • 1866년 기정진(奇正鎭) 처(妻) 김씨(金氏)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6년(고종3)11월에 기정진(奇正鎭)의 처(妻) 숙부인(淑夫人)김씨(金氏)를 정부인(貞夫人)에 추증하는 문서이다. 기정진이 종2품 가선대부를 제수받자, 그의 부인 또한 종2품에 해당하는 품계를 내린 것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866년 기정진(奇正鎭) 비(妣) 권씨(權氏)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6년(고종3)11월에 기정진(奇正鎭)의 어머니 권씨(權氏)를 정부인(貞夫人)에 추증한 문서이다. 기정진이 가선대부 동지돈녕부사(嘉善大夫同知敦寧府事)를 제수받자 그에 따라 그의 어머니 또한 그에 해당하는 품계를 추증한 것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 1866년 기정진(奇正鎭) 조비(祖妣) 윤씨(尹氏) 추증교지(追贈敎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66년(고종3)11월에 기정진(奇正鎭)의 할머니 윤씨(尹氏)를 숙부인(淑夫人)에 추증한 문서이다. 기정진이 가선대부 동지돈녕부사(嘉善大夫同知敦寧府事)를 제수받자 이에 따라 그의 할머니에게도 정3품의 품계를 추증한 것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주제어사전(3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특수층의 여인과 봉작을 받은 일반 사대부 여인의 통칭. 특수층의 여인은 왕실의 정1품인 빈부터 종9품 주변궁까지의 내명부를 제외한 왕의 유모, 왕비의 모, 왕녀·왕세자녀를 지칭하며, 일반 사대부 여인은 종친의 처와 문무백관의 처 등을 말한다.

  • 군대부인 / 郡大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의 정4품 작호. 고려의 내명부· 등의 명부제는 문종 때에 정비되었는데, 이 군대부인은 에 해당되는 것으로 군군(郡君)과 함께 정4품의 작호로 정해졌다.

  • 군군 / 郡君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때에 종실의 여자에게 주던 작호의 하나. 고려의 내명부· 등의 명부제는 문종 때에 정비되었는데, 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군대부인과 더불어 정4품의 작호로 정해졌다.

  • 공인 / 恭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의 작호. 원래 정·종4품관의 처에 대한 작호이던 것이 정·종5품관의 처에 대한 작호로 격하된 것이다.

  • 봉보부인 / 奉保夫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인 왕의 유모에게 내린 종1품 작호. 조선 초기 세종도 이러한 중국 제도를 참작해 아보(阿保)의 공을 중히 여기고 법을 세우게 하였다. 이에 유모 이씨를 아름다운 이름을 써서 봉보부인이라 칭하고, 품계를 종2품으로 정하였다. 봉보부인은 세종 대에서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