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외규장각” 에 대한 검색결과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25)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782년 2월 정조(재위 1776-1800)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 부속 도서관.
    정의1782년 2월 정조(재위 1776-1800)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 부속 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Oe Gyujanggak | MR표기Oe Kyujangg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규장각(奎章閣) 강도외각(江都外閣), 외각(外閣) 강화도(江華島), 심도(沁都), 심영(沁營), 강화행궁(江華行宮), 강화사고(江華史庫), 보각(寶閣), 연초헌(燕超軒), 의궤(儀軌), 각신(閣臣), 청환(淸...
    상위어규장각(奎章閣) | 동의어강도외각(江都外閣), 외각(外閣) | 관련어강화도(江華島), 심도(沁都), 심영(沁營), 강화행궁(江華行宮), 강화사고(江華史庫), 보각(寶閣), 연초헌(燕超軒), 의궤(儀軌), 각신(閣臣), 청환(淸宦), 청현(淸顯), 병인양요(丙寅洋擾), 보장처(保障處), 규장총목(奎章總目)
  • 전교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의 설치와 운영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책. [개설] 1책. 필사본. 그 관서에서 작성한 등록으로 보인다. 정조는 즉위 직후 규장각을 설치하여 역대 임금들의 어제ㆍ어필의 보관과 국왕의 근시(近侍) 기능을 수행하...
  • 병인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침입한 사건. [역사적 배경]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한다. 1866년 초에 대원군은 천주교 금압령(禁壓令)을 내려 프랑스신부와 조선인 천주교...
    이칭별칭병인사옥(丙寅邪獄)
  • 석록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선명한 녹색을 띤 안료(顔料). 산화된 구리에서 나온다. 儀軌正書時件印札及起畫次唐末紅七錢三靑二錢石碌一錢荷葉三錢眞粉靑花各七錢同黃二錢黃丹三碌各二錢片臙脂二片白磻一兩畫水筆二柄黃蜜一兩, (상호1787/044ㄴ04~06)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8)

  • 州府·內閣·外閣·玉堂·承政院·春秋館··鼎足山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434 B01543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2年 8月 19日_011 ○趙在慶, 以奎章閣言啓曰, 純宗大王·翼宗大王御製奉安于吉日, 令日官李秉洪推擇, 則今月二十七日辰時爲吉云, 而原任待敎金正喜, 旣以史庫實錄奉來事, 下去江華府矣。 使之仍爲陪進奉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5494 B01549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6年 3月 26日_011 ○金履禧啓曰, 因兵曹啓目, 今此冊寶譜略誌狀御製, 奉安時, 城外前後射隊二哨, 京畿軍兵, 渡甲串津, 進詣江華府時, 前射隊二哨, 後射隊一哨, 挾轝砲手二十名, 本府軍兵, 前期一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之多, 非史閣所比云。 可謂也。 然而每年曝曬、奉審, 中使擧行。 本閣設置之後, 事面自別, 此後自本閣專當。 凡有奉安, 堂郞進去擧行, 而曝曬則直閣、待敎中, 一人間一年下去, 一依宗簿、史局例。 若此則外邑之弊, 亦不可不顧。 ...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所東偏, 而基地狹窄, 不如西便之方便, 且有景陵近例, 以西偏爲之恐宜, 故敢達矣。 上曰, 依爲之。 出擧條 斗淳曰, 大行大王大妃殿冊命印寶, 當爲奉安于殯殿, 而壬戌以後所上冊寶, 今在江都, 下送閣臣, 卽爲陪來爲宜, 故敢達矣。 上曰, 依爲之。 出擧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2)

  • 의 기록물 보존과 〈형지안〉의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72218 한국연구재단 韓國古文書學會 2015 의 기록물 보존과 〈형지안〉의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의 冊寶 봉안과 봉출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69129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15 의 冊寶 봉안과 봉출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

멀티미디어(1)

  • 강화 조선궁전지(지)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강화 조선궁전지(지) Y5-0005_#1 유구 한림대학교박물관_강화 조선궁전지(지)_유구1_원색사진4 제4차발굴조사 전체 유구 노출상황 2013-11-30_0.9694178_한림대학교박물관_강화 조선궁전지(지)_유구1_원색사진
    제목강화 조선궁전지(외규장각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

주제어사전(2)

  • / [역사/조선시대사]

    1782년(정조 6)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의 부속 도서관. 1782년 2월 강화도에 설치한 도서관. 왕립 도서관인 규장각의 부속 도서관 역할을 하였다. 설치 이후 왕실이나 국가 주요 행사의 내용을 정리한 의궤를 비롯해 총 1,000여 권의 서적을 보관, 1866년(고

  • 강화 고려궁지 / 江華 高麗宮址 [예술·체육/건축]

    데, 현재 강화 고려궁지라고 부르는 곳이 정궁(正宮)이 있었던 자리로 추정된다. 그러나 1270년(원종 11) 고려가 개경으로 환도한 이후 강화 고려궁은 정궁의 지위를 잃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이 자리에 건물과 () 등이 건립되었다. 현재 강화 고려궁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