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왕자사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이현익
- 대군사부
- 김창즙
- 왕자봉호사부차출전교
연구성과물(66)
사전(47)
- 왕자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왕자의 교육을 맡았던 종9품 관직. [내용] 권설직(權設職)으로, 1785년(정조 9) 『대전통편(大典通編)』에 명문화됨으로써 임시로 증치된 관직이다. 품계는 종9품으로 사과 이하의 체아록(遞兒祿)을 받았다. 대군사부(大君師傅)‧...
- 왕자사부(王子師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왕자사부 왕자사부 王子師傅 강학청(講學廳) 왕실왕실문화|정치/행정/관청 개념용어 정재훈 [정의] 조선시대에 왕의 자식인 대군이나 왕자군의 교육을관련어강학청(講學廳)
- 대군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대군의 교육을 담당한 관직. [내용] 권설직(權設職)으로 품계는 종9품이다. 왕자사부(王子師傅)‧왕손교부(王孫敎傅) 등과 함께 1785년(정조 9)에 편찬된 『대전통편』에 새로이 법제화되었다. 사과(司果) 이하의 체아록(遞兒祿)...
- 박근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학자‧의병(義兵). [내용] 본관은 진원(珍原). 자는 입보(立甫), 호는 옥현(玉峴). 아버지는 왕자사부(王子師傅) 광전(光前)이다. 형이 근효(根孝)이다.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고사(高士)로 칭송되었다.이칭별칭 입보(立甫)| 옥현(玉峴)
- 성윤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데, 만년이 된 1583년(선조 16) 이이(李珥)ㆍ정지연(鄭芝衍)ㆍ이후백(李後白) 등의 추천으로 왕자사부(王子師傅)ㆍ태인현감 등의 관직이 내려졌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다. 조헌(趙憲)의 상소에 숨은 선비 중에 언론과 풍지(風旨)가 바르고 굳센 최고의 인물이라...이칭별칭 화중(和仲)| 판곡(板谷)
고서·고문서(19)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054 B069054 동래 東萊 정치행정 宣祖實錄 二十四年(1591) 四月 선조실록_12404004_001 ○己亥 / 有政。 以鄭昌衍爲兵曹參知, 申點爲江原監司, 尹英賢爲王子師傅, 宋象賢爲東萊府使。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799 B003799 강도 江都 정치행정 全羅道邑誌 羅州郡邑誌 羅州郡 人物 參判李有慶蟹之曾孫號五楓奉親務盡其道母夫人患毒瘇瀕死醫云生蛇膽爲可時冬月無可得有慶三日號泣繞宅忽有蛇入庭捕餌卽愈丁酉亂奉母避亂倭寇感其孝不及墓廬猛虎亦感其孝而護之 宣廟朝拜王子師傅不就 孝廟朝贈正郞幷享榮江書院鄭...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3962 B013962 강도 江都 정치행정 肅宗實錄 四十二年(1716) 二月 숙종실록_14202028_003 扁以山泉, 相對討論, 窮晝夜不倦, 又出入愼齋金先生之門, 講服質疑, 遂定師生之義。 戊子, 丁內艱, 孝宗大王辛卯, 連除典設別檢、王子師傅, 不就。 明年, 廷臣相繼...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00 B003800 강도 江都 정치행정 全羅道邑誌 羅州郡邑誌 羅州郡 人物 ... 蛇入庭捕餌卽愈丁酉亂奉母避亂倭寇感其孝不及墓廬猛虎亦感其孝而護之 宣廟朝拜王子師傅不就 孝廟朝贈正郞幷享榮江書院鄭諶 宣廟朝進士文科以親老亂職賦歸去詞泉石自娛號逸軒壬辰亂年踰八耋末克致力抵書于倡義諸從事勉...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37 B00703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2年 2月 28日_021 南兪公棨, 築室扁以山泉, 相對討論, 窮晝夜不倦, 又出入愼齋金先生之門, 講服質疑, 遂定師生之義。 戊子, 丁內艱, 孝宗大王辛卯, 連除典設別檢·王子師傅, 不就, 明年, 廷臣相繼論薦, 遂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왕자사부 / 王子師傅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자의 교육을 맡았던 종9품 관직. 권설직으로, 1785년(정조 9) ≪대전통편≫에 명문화됨으로써 임시로 증치된 관직이다. 품계는 종9품으로 사과 이하의 체아록을 받았다. 대군사부·왕손교부·내시교관 등의 권설직은 재직기간 900일이 지나면 6품관으로 승급되었
-
대군사부 / 大君師傅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대군의 교육을 담당한 관직. 권설직(權設職)으로 품계는 종9품이다. 왕자사부(王子師傅)·왕손교부(王孫敎傅) 등과 함께 1785년(정조 9)에 편찬된 ≪대전통편≫에 새로이 법제화되었다. 사과(司果) 이하의 체아록을 받았으며, 재직임기 900일이 만료되면 6품
-
김창즙 / 金昌緝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13(숙종 3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 어머니는 나성두의 딸이다. 여섯 형제 중 다섯째로 태어났는데, 형 창집·창협·창흡·창업과 함께 문장대가로 당시 육창이라 불렸다. 조봉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왕자사부, 예빈시
-
이현익 / 李顯益 [종교·철학/유학]
1678년(숙종 4)∼1716년(숙종 42). 조선 후기 문신. 이여 후손, 증조는 이형, 조부는 이시휘이다. 부친 이홍과 모친 박선의 딸사이에서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이현정과 동생 이현태가 있다. 익위사세마·왕자사부·종부시주부·공조좌랑·진안현감 등을 역
-
성만징 / 成萬徵 [종교·철학/유학]
1659(효종 10)∼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호영, 어머니는 이동야의 딸이다. 권상하의 문인으로 강문8학사의 한 사람이다. 1703년(숙종 29)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내시교관과 왕자사부가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죽기 바로 전에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