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왕광묘” 에 대한 검색결과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평양시에 있는 한사군시대의 목곽분. [내용] 대동강의 남안에 있으며, 시기는 대개 낙랑군이 존재했던 때와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라는 이름은 왕근묘(王根墓)나 왕우묘(王䏏墓) 등의 예와 같이 관 내부에서 피장...
  • 굽다리접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백제지역에도 다수 출토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양사오문화(仰韶文化)에서부터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무산 호곡동 유적에서 굽이 달린 그릇이 출현하고 낙랑의 ()에서는 나무로 깎은 두(豆)가 나온다. 그러나 전형적인 굽다리접시는 3세기경 김해...
    이칭별칭고배
  • 쇠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끔 보이고 있고 화상석(畵像石)에도 그림이 많이 보여 조작상태를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낙랑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상세한 쇠뇌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직 발견된 바 없다. 그러나 쇠뇌의 부분 등은 낙랑무덤인 , 왕근묘, 평양 석암리 제2...
  • 띠고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식은 평양 ( : 정백리 127호), 채협총(彩篋塚 : 남정리 16호), 석암리(石巖里) 194호분, 대동강면 제9호분, 전(傳)대동강변 출토품 등 낙랑 유적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평안남도 대동군 용악면 상리(上里)의 널무덤[土壙墓...
  • 낙랑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판재(板材)로 만든 관(棺)을 1개 또는 여러 개 넣은 것으로, 부장품은 곽 내의 공간에 넣는다. 목곽묘 중 대표적인 것은 ()이다. 는 관을 위에서 아래로 묻는 수혈식(豎穴式)에 속하고, 관은 1개만이 매장되어 있다. 유명한 채협총(彩篋塚)은...

주제어사전(1)

  • / [역사/선사시대사]

    북한 평양특별시 낙랑구역 정백동(옛 지명: 평안남도 대동군 대동강면 정백리)에 있는 한사군(漢四郡)시대의 덧널무덤〔木槨墓〕. 봉분의 크기는 남북의 지름이 약 27m, 높이는 약 4m 내외이다. 매장주체시설인 덧널은 지표 아래에 네모진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각재를 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