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완판본” 에 대한 검색결과 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맥을 뒤에 하고 있어 판재의 보급에도 어려움이 없었다. 이와 같은 배경을 갖고 전주 지방에서 출판된 것이 완판방각본, 곧 이다. 의 간소(刊所)와 출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서계서포본(西溪書鋪本) : 비소설에는 문자유집(文字類輯, 1907‧1911...
  • 십녀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라는 내용의 글이 적혀 있어 딸이 아니라 신을 모시듯 한다. 394) 활자본 및 경판 송동본에도 완판처럼 ‘심학규’로 표기되어 있다. 395) 경판본 「/심청전」에는 ‘심현’으로 되어 있으나(단, 경판 송동본에는 ‘심학규’),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심청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되는 것이 경판본(京板本)계열과 ()계열이다. 경판본은 판소리와 관계가 없이 설화가 소설화된 작품이며, 은 판소리로 불리다가 소설로 정착된 작품이다. 경판본으로는 한남서림(翰南書林)본, 대영박물관 소장본, 송동(宋洞)본, 안성본 등이 있고 ...
  • 주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되어 있으며, 아버지의 이름은 ‘주화’로 되어 있다. 106) 중에는 ‘주충달’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 떠난 후 정씨부인의 신발을 벗어 우물 가에 놓은 후 우물에 몸을 던져 자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토별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환될 수 있음은 이 작품이 「퇴별가」로 인쇄되었던 사실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그의 「토별가」의 일부는 김수영(金壽永)의 창본에 수용되었으며, 그의 초청으로 고창에 와서 소리 선생을 하였던 김세종(金世宗)의 영향을 받은 유성준(劉成俊)의 창본에도 상당 부분이 수...
    이칭별칭퇴별가

주제어사전(6)

  • / [언론·출판/출판]

    조선시대 전주 지방에서 출판된 방각본. 17세기 전라도 태인 지방에서 손기조·전이채·박치유 등 아전 출신 인사들이 간행한 책이 방각본의 원류. 18세기에 그 주류가 전주 지방으로 옮겨 전주의 방각본을 형성. 담당층이 서리 중인층으로부터 서민 출신의 상공층으로 바뀌어

  • 심청전 / 沈淸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목판본·필사본·활자본. 「강상련(江上蓮)」(1912)은 이해조(李海朝)가 신소설로 개작한 것이다. 수십 종의 이본이 있는데, 이들 중 성격이 뚜렷이 구별되는 것은 경판본(京板本)계열과 ()계열이다. 경판본은 판소리와

  • 심청굿무가 / [문학/구비문학]

    되고 아버지와 해후하여 아버지 눈을 뜨게 하고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내용은 고전소설 「심청전」과도 일치하는데, 특히 계열과 더 가깝다. 무당들은 굿에서 「심청가」의 기능은 눈을 밝게 해주는 신에 대한 제향이라고 설명하지만 분명하지는 않다. 또한,

  • 토끼전 / [문학/고전산문]

    「토ᄉᆡᆼ젼」과 「퇴별가」가 있다. 활자본은 「별주부전」·「불로초」·「토의 간」 등인데, 이 중 1913년에 간행한 신구서림본 「별주부전」은 이해조(李海朝)가 명창 곽창기(郭昌基)와 심정순(沈正淳)의 구술을 받아 정리한 것이다. 이 작품의 주제가 서민의식에 바탕

  • 토별가 / 兎鼈歌 [문학/구비문학]

    이라 할 수 있다. 신재효의 「토별가」가 독서물로 전환될 수 있음은 이 작품이 「퇴별가」로 인쇄되었던 사실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그의 「토별가」의 일부는 김수영(金壽永)의 창본에 수용되었으며, 그의 초청으로 고창에 와서 소리 선생을 하였던 김세종(金世宗)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