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와과” 에 대한 검색결과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15)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子紅鐙四引仗二御仗二吾仗二立瓜二二星二鉞二出警旗二入, (상호1902/234ㄴ09~11)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근대신어 : 등거리(背掛)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1881 등거리 다항 背掛 單衫의上에衣니上衣의同色으로作고胸은團鈕로合며背에釣繩으로其大小操縱者 홑적삼 위에 입는데 상의와 바지와 같은 색으로 만들고, 가슴은 단추로 합치며 등에서는 끈으로 그 대소를 조종하는 것
    출전西遊見聞[交詢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의복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미술가(美術家)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490 미술가 마항 美術家 文學者學者와美術家와發明家와敎育家와慈善家와傳道師와밋殉敎者等의例로써見하건대 문학자와 과학자와 미술가와 발명가와 교육가와 자선가와 전도사와 순교자 등의 예로 보건대 崔南善 自助論 新...
    출전自助論[新文館] | 계통분류 [정치경제] 직업 [예술감각] 미술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과분정책(瓜分政策)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3633 과분정책 가항 瓜分政策 中國最終事論면瓜分을不免거시어니分政策은、今日에遽行치、못지라 중국최종사를 논하면 과분을 면할 수 없기 때문에 과분정책은 또 오늘 급히 행하지 못할 것이다. 玄采 越南亡國史 ...
    출전越南亡國史[普成館]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행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과학자(科學者)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3734 과학자 가항 科學者 文學者學者와美術家와發明家와敎育家와慈善家와傳道師와밋殉敎者等의例로써見하건대 문학자와 과학자와 미술가와 발명가와 교육가와 자선가와 전도사와 순교자 등의 예로 보건대 崔南善 自助論 新...
    출전自助論[新文館] | 계통분류 [과학지식] 자연과학호칭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7)

  • 기초인체해부학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기초인체해부학 김 남자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철리목맹(哲里木盟) 통료현(通辽县) 맹의원 2 1 기초인체해부...
    대표표제어기초인체해부학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부쳐 김 남자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철리목맹(哲里木盟) 통료현(通辽县) 맹의원 2 2 부쳐, 귀하, 적당,...
    대표표제어부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안녕 한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감남현(甘南县) 흥륭향 2 1 안녕, 방송사업, 남조선, 의학, 발전, 요구, 소,...
    대표표제어안녕 | 성씨
  • (君) 광 平 戈過 又箇韻 撾渦 上同 又本韻□ 又哿韻 上同 □ 上同 瓜媧 又佳韻 騧 又佳韻□ 上同 蝸 又本韻 佳韻 緺 又佳韻 :광 上 果 又本韻三 旰杲韻 菓 上同 惈□裹 又箇韻 蜾裸 又本韻二 寡□另 上同 剮 上同 ‧광 去 過 又歌韻 裹 又哿韻 燴...
    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주역대전 : 井卦_효사-사효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修井以甃, 則亦可以免泥塞矣. 六四近君得正也. 우물을 벽돌로 수리하면 진흙으로 막힘을 면할 수 있다. 육사는 임금에 가깝고 바름을 얻었다.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馬云爲下達上, 干云以甎疊井, 字林云井甓. 마씨는 “벽돌[瓦]을 만들어 아래에서부...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구술자료(2)

  • 07_071 전북 전라북도 김제시 전라북도 김제시_1. 호미질 소리 2. 시 1. 호미질 소리 2. 시 1. 산이로고나 2. 어리시구나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회성리 1989.5.22 素89-5-22A 김종산 김종산(1911년생.남.토민) 이소라
    녹음지역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회성리 | 녹음날짜1989.5.22 | 가창방식1. 멕받형(선후창).
  • 잊었다고 함. * 끝날 때는 “위여차” “위여차”할 뿐이다. * 시 때는 처음에 ‘어리시구나’를 낸다. [김제 18] 참조. 다음엔 “어 어 어”를 굴른다. “아어어 -, 어”한 다음에 “흥게논다”든가를 부른다고 함
    녹음지역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공산리 | 녹음날짜1989.5.22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신문·잡지(4)

  • 紙函製造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회에셔 아즉 한국 각상뎜의 고심을 힘입지못얏스나 이지함(紙函]은과자등류 잡화류와 의복류 기타 무론 무슨물품이던지 소용시로 슈응더러 물품이아름답고 빗바 실상슈용에 뎍당고로 일본인 각상뎜에셔도다슈히 사가오니 한국각상뎜 쳠위 게셔도 지함[紙函) 안...
    게재일1907년 2월 6일 | 기사분류광고
  • 공화정체는 貴顯(귀족)공화제 민주공화제가 있음. 군주정치는 오류가 없기 어렵고, 상하 의견을 통하기 어려움. 공화정치는 지공무사하고 상하가 和同함. 민주정치는 만민의 공심에서 나오고 마음이 같으니 의논, 행위, 사업이 하나같이 公이라서, 大同의 밝은 정치임. 그러므...
    대표표제어정체개론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원영의 | 출처대한협회회보 제3호 | 키워드전제군주제, 입헌군주제, 귀족공화제, 민주공화제, 인민, 국민, 정부, 개명, 교육, 군주정치, 공화정치
  • 95% 이상으로 제고시킬 것을 결정하면서 호응문 중 다음과 가튼 경쟁 조문을 지적하여 보내면서 여게 의하여 사업을 전개할 것을 결정하였다. (1) 경쟁기간 책임량을 115%로 넘처 실행할 것을 목표로 하고 이것을 실행하기 위하야 과 게외게 현장과 현장 개인과 개인...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09_02 | 책임주필이영조
  • 95% 이상으로 제고시킬 것을 결정하면서 호응문 중 다음과 가튼 경쟁 조문을 지적하여 보내면서 여게 의하여 사업을 전개할 것을 결정하였다. (1) 경쟁기간 책임량을 115%로 넘처 실행할 것을 목표로 하고 이것을 실행하기 위하야 과 게외게 현장과 현장 개인과 개인...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09_02 | 책임주필이영조

기타자료(2)

  • New Zealand attitude toward UN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 and Interim Committe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n S. Service, Charge d'Affaires ad interim Secretary of State 숙명여자대학교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 임시위원회(Interim Committee)에 대한 뉴질랜드의...
    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John S. Service, Charge d'Affaires ad interim | 수신자Secretary of State
  • 고려토기병이 출토되었다. 본래 보호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좌는 그다지 멀지 않은 곳에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대좌 남쪽에서 출토된 19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백자편으로 이동시기를 추정한다. 오수리 석불입상 대좌의 적심석으로 추정되는...
    발행연도2004/06 | 발굴기관임실군/군산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북도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

    대한제국 시기 황후 의장에 사용된 의장물. 주홍칠을 한 대나무 장대에 도금한 참외 모양의 조각을 가로로 꽂는다. 이음새는 금으로 조각한 용머리 모양으로 장식한다. 1897년 명성황후 국장 때에 처음으로 제작,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