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옹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6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궁방
- 화평옹주
- 정숙옹주
- 일옹주증화억옹주교지
연구성과물(4,601)
사전(572)
- 옹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왕의 후궁의 딸. [내용] 공주와 함께 귀한 신분으로서 품계를 초월한 외명부이다. 옹주라는 명칭은 오랜 변천 끝에 여러 가지로 사용되어 오다가 ≪경국대전≫에는 왕의 서녀(庶女)만 칭하도록 규정되었다. 중국 한(漢)나라에서는 제왕(諸王)
- 옹주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도 윤의 태도가 변함없자, 보모와 모의하여 보모의 외사촌 양패를 끼고, 옹주의 독살을 모의하는 최운의 거짓 편지를 지어 황제에게 알린다. 그러나 윤이 옹주와 보모의 흉계를 알게 되어 황제에게 모든 사실을 알리고 진상을 밝히자 자결하고 만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翁主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1_D_0057 翁主 왕실 私婢, 官妓, 王子, 諸君, 正配, 王女 高麗 恭讓王 御天歌 D_10_01_39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3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3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옹주(翁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옹주 옹주 翁主 외명부(外命婦) 공주(公主), 현주(縣主), 후궁(後宮) 왕실왕실구성원/종친·의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이미선 [정의] 왕의 딸로, 후궁의 소생. [개설] 옹주...상위어외명부(外命婦) | 관련어공주(公主), 현주(縣主), 후궁(後宮)
- 덕혜옹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2∼1989. 왕족. [내용] 고종(高宗)과 복녕당(福寧堂) 양씨(梁氏) 사이의 딸. 일출소학교(日出小學校 : 일신국민학교) 5학년이던 1925년 일제에 의하여 볼모로 일본에 끌려가 동경 학습원(學習院)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외로움과 ...
단행본(3)
- 영조 자손 자료집 4 - 옹주, 세손, 왕손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근호(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10.15.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해제 1. 장서각 소장 영조 자손 관련 자료의 내용과 특징 해제 2. 영조 대 옹주 가례의 내용 검토 해제 3. 사도세자의 자손 《和順翁主嘉禮謄錄》 《和平翁主嘉禮謄錄》
- 영조 자손 자료집 5 - 세자, 옹주, 세손, 왕손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근호(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10.15.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효장세자(孝章世子)‧효순현빈(孝純賢嬪) 사도세자(思悼世子)‧혜빈홍씨(惠嬪洪氏) 화억옹주(和億翁主) 화순옹주(和順翁主)‧월성위 김한신(月城尉 金漢藎) 화평옹주(和平翁主)‧금성위 박명원
- (조선왕실의 일상 3)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3.04.08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제 (3) 세자, 그리고 왕자들 (4) 세자, 그리고 공주와 옹주들
고서·고문서(4,017)
- 翁晝坐於室(옹주좌어실)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翁晝坐於室, 群蠅亂集几案間, 驅亦不能去. 命爲拂子, 隨而揮之, 撞著必死, 其不死者遠避. 翁曰: “驅之, 有術矣.” 或曰: “蠅在白日, 可以驅之. 蚤集於夜中, 爲毒偏甚, 奈何?” 翁曰: “吾無奈彼何耳.”서명관물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黑水ㆍ西河,惟雍州。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20 尙書古訓 卷三 ITKC_MP_0597A_0520_010_0450 黑水ㆍ西河,惟雍州。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尙書古訓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貞順翁主)墓誌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八 墓誌銘 21 (貞順翁主)墓誌銘 18_125_060.jpg (貞順翁主)墓誌銘 貞...銘: 초1‧초국2‧중공2에는 "貞順翁主神道碑銘", 중규1에는 "貞順翁主墓誌銘幷序"로 되어 있음. 貞順翁主, 中宗大王之女, 而仁宗大王之妹, 明宗大王之姊, 今...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827년 옹주(翁主)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화순옹주가례등록(和順翁主嘉禮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영조 8년(1732)에 행해진 화순옹주의 가례에 관한 제반 사항이 수록된 초기와 각종 공문서 등을 예조에서 모두 모아서 항목별로 베껴놓은 등록이다. 간택과 가례는 필자가 임의로 주제를 잡아 정리한 것이다. 「간택(揀擇)」은 영조 8년(1732)에 행...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2)
- 히노데소학교의 덕혜옹주: 기억의 파편에 조우하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71039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히노데소학교의 덕혜옹주: 기억의 파편에 조우하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조선후기 ‘생애주기’형 궁방의 경제적 기반과 운영 양상 -박숙의방(朴淑儀房)과 영온옹주방(永溫翁主房)의 사례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영준, 게재일 : 201620705 조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조선후기 ‘생애주기’형 궁방의 경제적 기반과 운영 양상 -박숙의방(朴淑儀房)과 영온옹주방(永溫翁主房)의 사례 분석- https://www.krm.or.k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3)
- 銕瓮祝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변군슈 송죵면씨가 부로 보고하기를 음력본월 십삼일의 무근지화가 본군 관의 니러나셔 칠간이 소화하엿다더라게재일1901년 6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烙畵の山水 (낙화 산수)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그림에 관한 짧은 기사가 게재됨작품명_원문烙畵の山水 | 게재일19181106 | 게재판석 | 게재면02 | 게재단6-7
- 여원_1962_08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08 독자의 수기를 모집합니다 110 광고22 111 낙조에 선 옹주의 비운 변복동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2
기타자료(4)
- 이타인의 당나라 귀부를 알려주는 묘지명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롭고 예의도 잡다하구나. 총애를 입어 단에 오르니 이 대장군(大將軍)에게서 이것이 드러나도다. 이타인의 이름은 타인(他仁)이고, 본래 요동(遼東) 책주(柵州) 사람인데 나중에 관적(貫籍)을 옹주(雍州) 만년현(萬年縣)으로 옮겼다. 발해에서는 하늘에 뭉게뭉게 피어오르고...대표표제어이타인의 당나라 귀부를 알려주는 묘지명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7년(丁丑/신라 문무왕 17/唐 儀鳳 2/日本 天武 6)
- 45. 데라우치 총독의 귀환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국 주재 프랑스 영사 드 셀브, 프랑스 외무부장관 데라우치, 고다마 히데오, 아카시, 이은, 야마가타, 고종황제, 덕혜 옹주 데라우치의 서울 귀환 지난 8월 이후 일본에 머물렀던 데라우치 백작이 그저께 특별기차편으로 서울로 돌아왔습니다. 해군 무관이자 개...집필자A. 게랭, 한국 주재 프랑스 영사 | 작성연도1915년 | 작성월일10월 11일 | 발신자A. 게랭, 한국 주재 프랑스 영사 | 수신자드 셀브, 프랑스 외무부장관
- 당 태종이 고구려 정벌에 실패한 후 회군하면서 내린 조서(班師詔)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10旬 동안 군사들을 먹이면서도 가지고 간 군량을 허비할 겨를이 없었으며, 수만 명의 군사를 옮기면서도 모두들 兼乘의 노래를 불렀다. 여름부터 가을에 이르기까지 사로잡은 포로들이 줄을 이었으며, 燕 지방에서부터 雍州에 이르기까지 어린아이를 들쳐 엎고 귀부하는 자들이 끊...대표표제어당 태종이 고구려 정벌에 실패한 후 회군하면서 내린 조서(班師詔) | 주제분류외교문서
- 서삼릉태실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태실 19기와 장조의황제(莊祖懿皇帝) 태실, 이왕전하 태실, 왕세자 태실 등 총 22기가 봉안되어 있다. 화강암비군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4열, 남쪽에서 북쪽으로 8열의 대군 1기, 군 14기, 대원군 1기, 세자 2기, 세손 2기, 공주 5기, 옹주 7기, 연산군 생모...발행연도1999 | 발굴기관국립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경기도
연구과제(3)
-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상징코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해영 | 경상대학교 | 2013 | 국내 | 경남
-
영․정조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정례서를 통해 본 왕실과 나라 살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마지막 왕조의 유산-대한제국 황실문화의 탄생과 소멸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서영희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37)
-
옹주 / 翁主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의 후궁의 딸. 공주와 함께 귀한 신분으로서 품계를 초월한 외명부이다. 옹주라는 명칭은 오랜 변천 끝에 여러 가지로 사용되어 오다가 ≪경국대전≫에는 왕의 서녀만 칭하도록 규정되었다.
-
정숙옹주 / 靜淑翁主 [정치·법제/법제·행정]
1492년(성종 23)∼미상. 성종의 서녀로 모친은 숙의홍씨(淑儀洪氏). 파평윤씨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에게 하가하였다. 그러나 자식은 낳지 못하였다. 윤섭은 윤승류의 아들이다.
-
화평옹주 / 和平翁主 [종교·철학/유학]
1727년(영조 3)∼1748년(영조 24). 어머니는 영빈이씨이다. 사도세자와는 친동기간이다. 1727년(영조 3)에 창경궁 집복헌에서 태어난다. 화평옹주는 예조참판 박사정의 아들인 금성위 박명원에게 하가하였다. 화평옹주는 심성이 곱고 너그러워 사도세자를 위로했다고
-
일옹주증화억옹주교지 / 一翁主贈和憶翁主敎旨 [정치·법제]
1773년(영조 49) 10월 7일. 영조가 일옹주를 화억옹주로 추증하는 교지. 화억옹주에 대한 기록은《조선왕조실록》에는 실려 있지 않으며,《승정원일기》에만 실려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화억옹주는 정빈이씨의 소생으로, 효장세자의 손위누이이다.
-
유옥교 / 有屋轎 [생활/주생활]
왕비를 제외한 왕실 여성이 사용하는 지붕 있는 가마의 범칭. 왕실의 공주, 옹주 등 여성이 타는 지붕과 벽체가 있는 가마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말이다. 공주 및 옹주가 타고 다니는 가마는 덩이라 칭하기도 했다. 왕비의 혼례 및 책봉 이전에 사용하는 가마도 유옥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