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옥보” 에 대한 검색결과 3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8)

사전(132)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임금이나 왕후 등의 추상 존호(追上尊號), 시호(諡號), 등의 글자를 새긴 도장. 대개 전자(篆字)로 새겼다. 종묘에 부묘할 때 이러한 를 옥책과 함께 책보요여(冊寶腰輿)와 책보채여(冊寶彩輿) 등을 이용하여 옮겼다. 每日燒木壹丹式上下戶曹司宰監捧甘一因三房稟目竹册...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유첨당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홍(洪)의 시문집. [내용] 2권 2책. 필사본. 권두에 자서(自序)인 몽각재시서(夢覺齋詩序)와 몽각재폐추서(夢覺齋弊帚序)가 있고, 이내정(李乃貞)이 1706년(숙종 32)에 쓴 제몽각재시고후(題夢覺齋詩稿後)가
  • 기암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 고(高)가 지은 거문고 곡. [내용] 『삼국사기』악지에 거문고의 명인 고가 지은 30곡의 곡명이 전하는데 그 가운데 한 곡이다. 가사와 악보가 전하지 않아 내용을 알기 어려우나 곡명으로 보아 서정적이고 다분히 불교적인...
  • 중원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 고(高)가 지은 거문고곡. [내용] 『삼국사기』악지에는 거문고의 명인 고가 지은 30곡의 곡명이 전하는데「중원곡」은 그 중의 한 곡이다. 가사와 악보가 전하지 않아 내용은 알기 어려우나 곡명으로 보아 서정적이고...
  • 죽암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 고(高)가 지은 거문고 악곡. [내용] 『삼국사기』악지에는 거문고의 명인 고가 지은 30곡의 곡명이 전하는데 그 중「죽암곡」이 두 곡이다. 가사와 악보가 전하지 않아 내용은 알기 어렵다. 단지 그 곡명으로 보아...

단행본(1)

  • 국역 〈요사〉 상 [<요사> 번역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저자 : 김위현(단국대학교), 이성규(단국대학교), 이상훈(단국대학교), 김한기(단국대학교), 변... | 출판사 : 단국대학교 출판부 | 출판일 : 2012.12.31
    권1 본기(本紀) 제1 태조(太祖) 야율아보기(耶律機) 상 권2 본기 제2 태조 야율아보기 하 권3 본기 제3 태종(太宗) 야율덕광(耶律德光) 상 권4 본기 제4 태종 야율덕광 하

고서·고문서(155)

  • 거란의 발해 공격 중 야율아보기(耶律機)와 후당 사신의 대화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10-10 『冊府元龜』 卷660 奉使部 敏辯2 발해 거란의 발해 공격 중 야율아보기(耶律機)와 후당 사신의 대화 926년 동광(同光) 4년 / 천성(天成) 원년 7901쪽 2236쪽 7613쪽 본 기사는 후당(後唐)의 사신 요곤(姚坤)이 거란의 야율아보기(耶律...
    권차『冊府元龜』 卷660 奉使部 敏辯2 | 연도926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후당(後唐)의 사신 요곤(姚坤)이 거란의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를 알현하면서 중원의 정세에 관해 나누었던 대화 중의 일부인데, 그 중에는 발해와 관련된 내용도 전해지고 있다.
  • 거란(契丹) 야율아보기(耶律機)의 사망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14-15-11 『冊府元龜』 卷980 外臣部 通好 발해 거란(契丹) 야율아보기(耶律機)의 사망 926 천성(天成) 원년 11519쪽 3918쪽 11351쪽 거란 야율아보기의 사망을 알리는 조덕균의 보고에 관한 기록이다. 天成元年 九月 幽州趙德均奏 先差 명본에는 ‘...
    권차『冊府元龜』 卷980 外臣部 通好 | 연도926 | 기사해제거란 야율아보기의 사망을 알리는 조덕균의 보고에 관한 기록이다.
  • 1767년 청하향안(淸河鄕案) 중수(重修) 서문(序文) 및 좌목(座目)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 문서는 청하현에서 작성된 1767년부터 1819년까지의 향안으로 모두 195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 문서는 1767년 5월에 청하현감인 홍가 지은 서문과 구향안을 개수하여 수정한 명단, 기간별로 추가로 작성한 명단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1767년 6월에 구향안...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향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내용분류사회-지리-지지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立敎 “可”者, 鄭註“傳御之屬也”. 《列女傳》亦作()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LL_1:1:4 “可”者, 鄭註“傳御之屬也”. 《列女傳》亦作“阿”, 卽所謂也.
    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신문·잡지(20)

  • 奉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칙을나리효뎡왕후 가상 죤호압신 이라 죵묘에 봉안터이니궁부와장례원으로야금 거라 압셧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監董陞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효뎐황후 를 슈보 감동에궁대신셔리 박졔슌씨 죵일품으로 승질이되얏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玉塔載送의酬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으로셔즁츄원고문 모씨에게 긔부 슈로금 일만환이 통감부에도착 얏 그 슈로금은 금츈에 풍덕군 경텬리에 잇던 탑을 일본으로 가져가일에 효로가잇 사의게 슈로코 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6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출판경찰보 110호 구국시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10호 구국시보 구국시보(救國時報) 59기 미기재 미기재 파리 일본_1937년 10월 27일 금지 안녕 중국어 구국시보 「환(桓)선생의 동북(東北)상황에 관한 보...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0호 구국시보 | 출판물명구국시보(救國時報) 59기
  • 岡部獻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강부 자작이 한국반사업을 경영로 한국에와셔 잇슬터인 사월망간에 도야 폐현에 황샹밧칠로 놉기가셕쟈다셧치되 라팔치된 큰 병과 금쥴에 장포모양으로 만든 칠보화병과 금은으로 졔죠 병십여가지와 여섯쟈다셧치되 금병풍한쌍을 당이라 상졈에 마...
    게재일1905년 3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0)

  • 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724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2면 신;信 제6회 1929년 3월 2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4044 북한 평남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3-10 正義 창간호 1934―03―08 144면 1. 동창회원록;10) 제10회 졸업생 1932년도 합계 51명 이;李 평양부 이문리 42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8233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16-1935) n.r. 89면 장;張 전남 15회 1929.3.10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를 만났다. (『新五代史』 72 四夷附錄 1 契丹 上) 【원문】 明宗初纂嗣 遣供奉官姚坤奉書告哀 至西樓邑 屬機在渤海 又徑至愼州 崎嶇萬里 (『舊五代史』 137 外國列傳 1 契丹) 後唐 明宗이 즉위한 것은 天成元年 4월21일(丙午)이므로, 그에 따라 편년하였다. 【원...
    대표표제어아율아보기가 발해에 머물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6년(丙戌/신라 경애왕 3/발해 애왕 26/후백제 견훤 27/고려 태조 9 天授 9/後唐 同光 4, 天成 1/日本 延長 4)
  • 파림좌기(巴林左旗) 서남)에 있다. 아보기(機)가 가을에 이 곳에서 사냥을 하고 처음으로 서루를 설치하였다(동북아역사재단, 2011, 『(譯註 中國 正史 外國傳 12)舊五代史・新五代史 外國傳 譯註』).에 이르자 마침 야율아보기가 발해에 있었다. 또 지름길로 신주(愼...
    대표표제어아율아보기가 발해에 머물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26년(丙戌/신라 경애왕 3/발해 大諲譔 21/후백제 견훤 35/고려 태조 天授 9/後唐 莊宗 同光 4, 明宗 天成 1/日本 醍醐天皇 延長 4)

주제어사전(10)

  • / [정치·법제]

    임금이나 왕후 등의 추상 존호, 시호, 등의 글자를 새긴 도장. 대개 전자로 새겼다. 종묘에 부묘할 때 이러한 를 옥책과 함께 책보요여와 책보채여 등을 이용하여 옮겼다.

  • 경효전추상휘호옥책문 / 景孝殿追上徽號玉冊文 [정치·법제]

    고종의 왕비이자 순종의 모후인 명성황후 여흥민씨에게 추상할 휘호를 의정한 데 뒤이어 1921년 3월 9일에 올린 의 보문. 이 보문이 누구의 글씨인지는 미상이다.《순종실록》에 의하면, 의 전문 서사관은 민영휘(閔泳徽)이며, 를 올린 날짜는 1921년 3월

  • 강천성곡 / 降天聲曲 [예술·체육/국악]

    신라시대 고(高)가 지은 거문고 곡. 『삼국사기』악지에 거문고의 명인 고가 지은 30곡의 곡명이 전하는데 그 중 한 곡이다. 가사와 악보가 전하지 않아 내용을 알기 어려우나, 곡명으로 보아 서정적이며 다분히 불교적인 색채를 풍기며 세련됨을 알 수 있다. 다

  • 경효전(명성태황후)추상휘호·진책보·개제주·환안제친행시응행절목 / 景孝殿(明成太皇后)追上徽號·進冊寶·改題主·還安祭親行時應行節目 [정치·법제]

    1921년 3월 9일 명성황후 여흥민씨에게 휘호와 후호를 추상하기 위해 그 를 올리는 의식 등을 친행할 때 순종과 종척 등이 거행해야 할 내용과 절차를 기록한 절목. 이 절목의 작성주체는 이왕직으로 추정된다. 본문의 글씨는 철필(鐵筆)로 쓴 것으로 보인다.

  • 금보 / 金寶 [정치·법제]

    금으로 제작된 왕과 왕비의 의식용 도장. 왕과 왕비의 도장인 어보(御寶)는 재질에 따라 금보와 로 구분된다. 금보는 왕과 왕비의 시호, 존호, 묘호, 휘호 등을 새기며 주로 거북이 혹은 용이 조각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