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옥규” 에 대한 검색결과 1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8)

사전(38)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9) 중국에서 사여 받은 면복 중에 규(圭)가 포함되어 있으며 조선 시대까지 사용되었다. 自前國恤時御押內旨臨時內出尙方製造佩赤舃等物依服玩例盛石函埋安於梓宮之南爲白有昆, (국장1903/112ㄴ04~06)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축하였다. 1957년 7월 예비역으로 편입된 뒤 해운계에서 활약하였다.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大韓民國海軍史 2(海軍本部, 1958) 박(1901-1971) 1901-1971. 군인. 중...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를 대신하여 백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銀鉤子貳介貫纓子次大紅眞絲伍戔靑壹部用內上甲家次甘伊次幷大紅廣的半骨捌寸, (가례1727/205ㄱ06~08)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는 백옥[白]으로 만들며, 왕세자의 것은 청옥[靑]으로 만든다. 一尙衣院牒呈內今此國恤時服玩冕服段今將製造而前排平天冠一部家具佩玉一雙白一赤襪赤舃各一件等物依己丑年例仍用爲乎矣, (국장1659/0100ㄴ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라이 슌스이(賴春水)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738 인물 라이 슌스이(賴春水) 라이 슌스이 賴春水 1746 1816 에도시대 중-후기의 유자(儒者). 뇌춘수(賴春水). 아명은 아케이(), 이름은 다다히로(惟寬) ∙ 고레요시(惟完), 자는 센슈(千秋) ∙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40)

  • 17055 B017055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高宗實錄 三十五年(1878) 一月 고종실록_13501012_001 ○十二日。 勅令第一號, 勅奏任官捐俸例繼續施行件。 第二號, 江華府、楊州、江陵、奉化、茂朱等郡所在史庫守護件。 第三號, 監則。 竝裁可, 頒布。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전라북도(全羅北道) 금구군(金溝郡) 수류면(水流面) 용화동(龍化洞) 통표(統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이 문기는 광무년간에 작성된 전라북도 금구군 수류면 용화동통표이다. 통수는 송사언이다. 1호부터 10호까지의 호주의 이름만 있을 뿐 인구, 가옥형태, 가모 등의 항목들이 빠져 있다. 통표는 갑오개혁 이후에 호구조사과정의 일환으로 새로 만들어진 문...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통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卷之十六 天聰七年 十一月 十六日 2번째기사 『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天聰七年 十一月 十六日(1633) 1633 廣鹿島 廣鹿島 군사 是日·遣金·盧可用·還廣鹿島.與明副將尚可喜書曰.滿洲國皇帝致書尚將...
    출처전거『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흥남읍회회의록(興南邑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
    회의록 역사 문헌 근대 한국 고문서 호별세, 납세의무자, 부가세, 특별세규칙, 공익질칙, 기본재산 일본어 CJA0003234 읍면재산처분서류 흥남읍회회의록 국가기록원 흥남 흥남읍회회의록(興南邑會會議錄) 회의록 ...
    대표표제어흥남읍회회의록(興南邑會會議錄) | 건명흥남읍회회의록 | 회의년월1937년 04월 | 회의일26일 | 키워드호별세, 납세의무자, 부가세, 특별세규칙, 공익질옥규칙, 기본재산
  • 唐風 椒聊(초료)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亡者耶? 舊《序》所謂“君子刺昭公”者, 近之. 其後晉君五弑, 曲入者屢, 皆事不遂而敗. 自有一種忠義, 援立遺孤, 傳世亦久, 可以見此詩之苦心矣. 詳其文, 主意專在末二句, 警人之不覺其“遠條”也. 椒, 樹小而實多者. 以其遠條也, 先言實多之由, 末又申警曰“彼椒聊遠條哉”. “遠...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초학문(9)

  • 남북 역사소설의 소통 방식과 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옥규, 게재일 : 2008
    07281 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한인문학회 2008 남북 역사소설의 소통 방식과 방안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남북 역사소설의 심상지리적 인식을 통한 한반도 심상지도 구상방안 기초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옥규, 게재일 : 2014
    55363 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학연구원 2014 남북 역사소설의 심상지리적 인식을 통한 한반도 심상지도 구상방안 기초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역사소설과 국어문화의 국어교육적 연계 : 심상지리와 심상지도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옥규, 게재일 : 2016
    55364 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어문학회 2016 역사소설과 국어문화의 국어교육적 연계 : 심상지리와 심상지도의 활용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북한 문학에 반영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옥규, 게재일 : 2010
    43505 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학연구원 2010 북한 문학에 반영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남북한 연극인들의 희곡분석법과 연기법: 차이(差異)와 접점(接點)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옥규, 게재일 : 2011
    43507 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북한대학원대학교 2011 남북한 연극인들의 희곡분석법과 연기법: 차이(差異)와 접점(接點)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12)

  • 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 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 7 遊心安楽道 유심안락도 형태서지 元曉撰 新羅 [韓國] 木版本 京都 丁字郎右衛門 1冊 京都丁字郎右衛門刊本 T47,...
    대표표제어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 7 | 대표서명遊心安楽道 | 한글서명유심안락도 | 서지형태형태서지
  • 의관 뎐대욱 윤동희 구연목 권승규 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관 뎐대욱 윤동희 구연목 권승규 리강쥬 안만즁 안경현에 삼품 리뎡영 구품리창연 죠은 한승회 박뎡션 하호 리진국으로 임다四月廿五日 홍문관시독 리건에 륙품김유홍으로임고 김병윤 임명셥 김현 조삼셥 리량슌 챠형덕 신 김건 리상덕으로 뎐화과쥬를 임다四...
    게재일1903년 4월 29일 | 기사분류관보
  • 의관 리죵션 오셩항 원션쥰 박슈 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관 리죵션 오셩항 원션쥰 박슈 권봉규 리뎡영 리창연에 륙품 김리즁 구품쟝민슈 박슌직 림동익 손시모 윤 식 윤민학으로 임고 뎐화과쥬 리쥬셩 홍죵국 리승옥 김훈근 양유록 쟝셕은 김량졔 우의창 리승셕 엄호셕 김연 조삼셥 리량슌 챠형덕 신 김건 리샹덕은 갈니...
    게재일1903년 4월 30일 | 기사분류관보
  •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 3 華嚴經問答 화엄경문답 형태서지 法藏 撰(?) 木版本 京都 丁子郎右衞門 1701年(元祿 14) 2冊 T45, p.598.;...
    대표표제어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 3 | 대표서명華嚴經問答 | 한글서명화엄경문답 | 서지형태형태서지
  • 원슈부 군무국부쟝에 친위련쟝셔리 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임고 공쥬부쥬 심의 박후에 심우 쥬죵우로 임고 대구부 쥬 리즁관에 강쥰으로 임고 반영쥬 김샹 송명히 윤동혁 김 졍병린김교승 김병슈 리지형 박쥰모리국연 졍용한으로 량디위원을 명고 탁지쥬 김유쟝 샹에 박봉원으로 임다(이샹 삼월일일
    게재일1901년 3월 5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19)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0325 남한 경성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1-38 梨高 창간호 1934 93면 ㅁ1. 졸업생 주소록;ㅁ15) 제15회 졸업생(1933년 3월 8일) 김;金 경성부 태평통2정목 6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4959 남한 전북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2-45 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년~1945년 n.r. 39면 6. 1935년 3월 15일 제6회 졸업생 최;崔 소화10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5605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39면 15. 제15회 졸업생 소화2년 3월 20일 45명 김;金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2356 남한 경성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1-26 同德二十年 동덕여학교창립20주년기념축하회 1928―10―06 31면 1. 졸업생;1) 고등보통학교;(13) 제13회 22명 1927년 3월 장;張...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6899 남한 경남 마산고등여학교 2-24 1915년도 以降 졸업증서대장 1905―04―28 63면 박;朴 경상북도 청도;경북 청도 제10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고등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

    왕, 왕비, 세자비, 세자빈이 대례복을 착용하고 손에 쥐는 것. 옥으로 만든 규의 총칭이다. 왕과 왕세자는 청옥으로 하고, 왕비와 왕세자빈은 백옥으로 한다. 신분에 따라 길이와 넓이가 달라 왕과 왕비는 9촌, 왕세자와 빈은 7촌으로 한다. 고려 문종 3년(1059)

  • / 靑 [정치·법제]

    왕과 왕세자가 대례복 착용시 손에 쥐는 물건. 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네모지게 만들며 왕은 너비 3촌과 길이 9촌, 두께 5푼의 청옥으로, 왕세자는 길이 7촌의 규를 오른손으로 아래를 쥐고 왼손으로 위를 쥔다. 국장과 관련해서는 오례의에 규정된 청를 대신하여 백

  • 규 / 圭 [정치·법제]

    길을 의미하며, 규의 날카로운 형상은 봄에 물건이 새롭게 나오는 것을 상징한다고 하였다. 왕의 규는 백로 만들며, 왕세자의 것은 청로 만든다.

  • 감옥서 / 監獄署 [정치·법제/법제·행정]

    1894년부터 1907년까지 감옥을 관장하던 관서. 1894년 갑오경장 때 좌우포청을 합쳐 경무청을 설립하여 내무아문에 소속시키고 경무사로 하여금 감옥 사무를 관장하게 하는 동시에 종래의 전옥서를 감옥서로 개칭하고 '감칙'을 새로이 제정하였다. 감옥에 관한 사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