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옥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73)
사전(504)
- 옥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82(우왕 8)∼1436(세종 18).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대수(待售), 호는 응계(凝溪). 증조는 전백(全伯)이고, 할아버지는 안덕(安德)이며, 아버지는 사미(斯美)이다. 길재(吉再)의 문하에서 수...이칭별칭 대수(待?)| 응계(凝溪)
- 玉沽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208 玉沽 인물 登第, 司憲掌令, 知大丘, 淸白 己卯年 宜寧 我定宗 D_18_02_15 대동운부군옥 18권 2장 1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2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屋高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K4_D_0276 屋高 건축 數丈 金仁俊 D_12_01_25 대동운부군옥 12권 1장 2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1장 2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응계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의 문신 옥고(玉沽)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674년(현종 15) 7세손 세보(世寶)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덕린(趙德鄰)의 서문과 남구(南俅)의 응계선생유사서(凝溪先生遺事序) 및 응계선생세계도(凝溪...
- 경옥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들고 만드는 과정이 까다로운 것이 특징이다. 이 처방에 천문동‧구기자 각각 600g을 더하면 기침에 한층 더 좋은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가 된다. 처방의 내용으로 보아 경옥고의 효능은 생지황과 인삼의 효과라고 인정되며, 중년 이후에 이 처방의 복용은 건강을...
고서·고문서(198)
- 기미록(己未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반(兩班)의 생활상과 3.1운동 당시의 지방 분위기, 일제의 탄압 등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작성자의 아버지가 경청(警廳)에서 옥고(獄苦)를 치른 일이 수록되어 있어 당시 일제의 탄압 상을 미시사(微視史)적 면모에서 살펴볼 수 있다.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금사_金史1 本紀1 世紀 (始祖 函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0752 중국 정사 금사 본기 001 기타 金史1 本紀1 世紀 (始祖 函普) 金之始祖諱函普 初從高麗來 年已六十餘矣 兄阿古廼好佛 留高麗不肯從 曰 後世子孫必有能相聚者 吾不能去也 獨與弟保活里俱 始祖居完顏部僕幹水之涯 保活里居耶懶 其後胡十門以曷蘇館...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기타
- 삼조북맹회편_三朝北盟會編3 政宣上帙 元豐五年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顔氏完顔猶漢言王其兄弟三人一爲熟女眞首領號萬户其一適他國完顔年六十餘女眞妻之以女亦六十餘生二子其長卽呼蘭也自此傳三人至英格太師以至阿固達阿固達身長八尺狀貎雄偉沉毅寡言笑顧視不常而有大志能用其人稍稍并吞傍邊部族或説以誘納叛亡或加以盗藏牛馬好則結親以和取之怒則加兵以强掠之力農積穀練兵牧馬外多市金珠良馬歲...국가중국 | 서명삼조북맹회편 | 왕대문종(文宗) 36
- 나븨잡기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10312 창가 매일신보사 1923년~1931년 매일신보사 나븨잡기 〈a〉金彼得〈/a〉 〈#5〉 애야 애야 이리오라 산에 가자 들에 자가 무엇하러 가자느냐 거와 나븨잡기 야 야 어셔오라 만이 고 만이 잡어 을랑은 누님주고 나븨랑은 兄...구분창가
- 황조편년강목비요_皇朝編年綱目備要26 建中靖國元年十二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091 중국 사서 황조편년강목비요 016 기타 皇朝編年綱目備要26 建中靖國元年十二月 女眞阿固達立 女眞自 大中祥符以後絕不與中國通 元豊中 嘗降詔高麗令女眞驅馬來市 亦無至者 외교일반, 5대ㆍ송, 建中靖國은 宋 徽宗의 연호로 建中靖國元年十二...국가중국 | 서명황조편년강목비요 | 왕대기타
구술자료(3)
- 여익구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제작하여 서울역에 가서 배포하려 했다. 여익구는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그는 형집행정지로 풀려났으며, 이후 출가하였으며, 이 시기에 만났던 승려들에게 의식화를 실시했음을 구술한다. 여익구의 결혼과 투옥, 도피생활, 1980년 복학, 서울역 데모 주동, 10.27법분야종교‧철학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민주화와 종교
- 강인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가정 내 기독교문화 -형님들의 반일활동과 조국해방단 사건 -사촌형의 밀고와 가족의 옥고 -김일성 친척과 형님들의 친밀한 관계 -조만식, 김병연 선생을 따랐던 형님들 -평양제1고급중학교에서의 학습과구술자강인덕 | 직업장관 | 지역평안도
- 아들 눈에 비친 부친의 집안과 삶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만난 일로 발생한 보성간첩단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사연을 지닌 부친에 대한 감회를 중심 으로 구연하였다. 형제들은 좌익사상을 지닌 아버지가 시대를 잘못 태어나서 이런 힘든 일을 겪은 것이라고 생각하며 부친에 대한 원망을 해 본 적은 없다고 한다. 제보자는 역사의 죄인이조사지역전남 순천 | 조사일2014년 7월 11일
신문·잡지(11)
- 土屋高一(三重出版社)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土屋高一(三重出版社) 부산 土屋高一 三重出版社 大廳町1-39 - - 서적 - 114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土屋高一(三重出版社)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서적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文五郞の阿古室 人形淨瑠璃二日目 (분고로의 아유리인형 이틀째)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文五郞の阿古室 人形淨瑠璃二日目 | 게재일19200817 | 게재판무 | 게재면04 | 게재단1-3
- 강도살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도 해쥬군 해남방 허흥이 집에 강도슈십명이 돌입야 십팔셰 먹은 쳐를 춍노아 쥭이고 허씨부 다리를 고 머리를 부슈엇대 디방 병뎡과 슌검들이 그도젹을 잡으랴고 다더라게재일1899년 5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호전공업클럽 안내장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동지 제군들의 건투를 축원한다. 친애하는 동지 제군들, 반동군벌 전중(田中)내각은 왕고미증유(往古未曾有)의 폭압과 …를 감행하고 있다. 공산당 검거, 치안유지법 개악, 전위투사 투옥고문치사 등이다. 대만에서의 도변정지조(渡邊政之助) 암살, 대전시(大典時)의 서진문(徐鎭...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호전공업클럽 안내장 | 출판물명안내장(案內狀)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十一都懷古詩)」를 옮겨 싣고 주해를 붙인 글 대가야(大伽倻), 진흥왕(眞興王), 이사부(異斯夫), 사다함(斯多含), 전단문(旃檀門), 여지지(輿地志), 고령현(高靈縣), 문헌비고, 이진아고왕(伊珍阿鼓王), 도설지왕(道設智王), 가실왕(嘉悉王), 우륵(于勒), 금곡(...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57)
- 이훈우;李醺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948 일본 名古屋 名古屋高等工業學校 名古屋高等工業學校一覽 1910―03―20 80면 이훈우;李醺雨 한국학교소재지역名古屋 | 학교명名古屋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단;玄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949 일본 名古屋 名古屋高等工業學校 名古屋高等工業學校一覽 1910―03―20 81면 현단;玄檀 한국학교소재지역名古屋 | 학교명名古屋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훈우;李醺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950 일본 名古屋 名古屋高等工業學校 名古屋高等工業學校一覽 明治43年~明治44年 1911―03―25 75면 이훈우;李醺雨 조선학교소재지역名古屋 | 학교명名古屋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현단;玄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951 일본 名古屋 名古屋高等工業學校 名古屋高等工業學校一覽 明治43年~明治44年 1911―03―25 75면 현단;玄檀 조선학교소재지역名古屋 | 학교명名古屋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훈우;李醺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952 일본 名古屋 名古屋高等工業學校 名古屋高等工業學校一覽 大正2年~大正3年 1913―11―12 127면 이훈우;李醺雨 조선 1911년 3월학교소재지역名古屋 | 학교명名古屋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09)
-
옥고 / 玉沽 [종교·철학/유학]
1382(우왕 8)∼1436(세종 18). 조선 전기의 문신. 증조는 전백, 할아버지는 안덕, 아버지는 사미이다. 길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생원시를 거쳐 1399년(정종 1) 식년문과에 동진사로 급제하였다. 정언, 예조정랑, 봉상시소윤, 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청
-
임용상 / 林龍相 [역사/근대사]
1877-1958. 항일기의 의병장. 자는 충서(忠瑞). 호는 중호(中虎).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조직하여 동해창의대장으로 청하·영덕 등지의 주재소를 습격했고, 1909년 울산·언양·양산 등지에서 일본군과 교전하다 붙잡혀 옥고를 치렀다. 이후 보현산에서 산남의
-
유동열 / 柳東說 [역사/근대사]
1877-?.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105인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고 만주로 망명, ‘대한독립선언서’ 작성에 참여하였다. 상해임시정부 참모총장 등을 지내고 민족혁명당을 조직하였다. 광복 후 귀국, 초대 통위부장을 지냈다. 6·25 때 납북되었다.
-
최면식 / 崔勉植 [역사/근대사]
찰에 붙잡혀 6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광복회 채기중(蔡基中)·이병호(李秉昊) 등을 통하여 1917년 광복회에 가입하게 되었고, 이어 무기 조달이나 특히 전라남도 광복회의 군자금 수합에 협력하였다. 이로 인하여 1918년 광복회 인사가 순국하고 또 옥고를 겪을
-
곽종석 / 郭鍾錫 [종교·철학]
항일기의 유학자(1846∼1919). 을사조약 체결 후 매국노의 처형을 상소하였고 파리의 만국평화회의에 독립호소문을 보내고 옥고를 치렀다. 이황의 학문을 계승한 스승 이진상에게서 성리학을 이어받아 주리에 입각하여 이기설을 주장하였다. 저서에는《면우문집》이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