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옥계유고”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강봉문(姜鳳文)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29년(순조 29) 손자 주복(周福)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야순(李野淳)의 서문, 권말에 유심춘(柳尋春)ㆍ박시원(朴時源)ㆍ유상조(柳相祚)의 발문이 있다...

고서·고문서(2)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효자전」을 읽고 소감을 기록해 놓은 글이다. 변 효자는 比安縣 사람이라고 한다. 書後 (15) 姜鳳文(1735∼1815)의 문집인 『』를 읽고 그 소감을 기록한 글이다. 李孝女傳 (17) 1797. 장수(長水) 현감으로 있을 때 李良溵의 딸이 효...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효자의 증손 林載興의 부탁으로 지었다. 書卞孝子傳後 14 比安縣의 酉山에 살던 卞孝子의 효행을 칭 송한 글로, 평소에 봉양한 일과 질병이 들었 을 때 간호한 일과 廬墓하며 슬픔을 다했던 모든 일이 誠의 실천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하였다. 書後 15 1825...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강봉문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손자 주복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야순의 서문, 권말에 유심춘·박시원·유상조의 발문이 있다.권1에 시 5수, 서 2편, 기 1편, 제문 8편, 권2에 부록으로 행장 1편, 묘갈명·묘지명 각 1편, 제문 5

  • 강봉문 / 姜鳳文 [종교·철학/유학]

    1735년(영조 11)∼1815년(헌종 14). 아버지는 강득위이다.유홍원에게서 배웠다. 가문은 비록 한미했지만, 효자로 이름이 높았고, 학문에 힘을 쏟아 그를 따르는 문인이 100여인에 이를 정도로 많았다고 한다. 저서로《》가 있다.《》는 182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