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오행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6)
- 오행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약한 것을 물리치는 힘이 있다는 것과 복숭아나무는 귀신을 쫓는다는 민속적 신앙과 관계가 있다. 또, 동쪽으로 뻗은 것을 택하는 것은 동쪽이 해가 솟는 곳으로 양기가 소생하는 곳이기에 악귀를 물리치는 신통력이 있다고 믿었던 데에 있다. 그런데 오행점에 관한 옛...
- 오행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오행인 금(金)‧목(木)‧수(水)‧화(火)‧토(土)의 다섯 글자로 점괘를 만들어 신수를 점치는 점법.정의오행인 금(金)‧목(木)‧수(水)‧화(火)‧토(土)의 다섯 글자로 점괘를 만들어 신수를 점치는 점법.[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ohaengjeom | MR표기ohaengjŏ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점쟁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뽑아 점치는 산통점이 여기에 속한다. 역점은 일반적으로 남자 점바치가 하는 것으로, 음양으로 풀어 점치는 음양점, 오행으로 풀어 점치는 오행점, 육효(六爻)로 풀어 점치는 육효점, 팔괘(八卦)로 풀어 점치는 팔괘점, 구궁(九宮)으로 풀어 점치는 구궁점 등이 있다...
- 점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갖춘 과학적 점법이라 할 수 있다. 작괘점은 음양오행이나 수리를 기초로 괘를 만들어 이것을 수리적으로 해석하여 길흉을 판단하는 점법이다. 이러한 작괘점을 구체적으로 세분하면 육효점(六爻占)‧산통점(算筒占)‧송엽점(松葉占)‧사주점(四柱占)‧단시점(斷時占)‧오행점(...이칭별칭복서|점
- 봉화군(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줄다리기‧지신밟기‧장치기‧호미씻기‧씨름 등이 세시에 따라 시행된다. 특히, 정월에는 오행점(五行占)‧상원사(上元絲)짜기‧뱀막이놀이 등이 행해진다. 오행점은 자신의 일 년 운수를 알아보기 위해 초하룻날 나무를 바둑돌만하게 깎아서 다섯 개를 만들어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를...
고서·고문서(1)
- 추안급국안 : 병자년(1756, 영조 32) 역적 이지완(李枝完)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堪輿五行占筮觀相等術矣致雲矣身知之矣致雲 之母墳在於矣身所居十里許故知之矣其墳矣身毁之後 果驗矣致雲往金海時爲雨晴占矣丁壽憲傳首湖南時 矣身聞之而不見之矣矣身與時億初無酬酢矣大慶致 恊矣身皆知之矣與致雲凶言酬酢事千萬瞹昧矣大慶 所爲不是矣身常責之故大慶嫉矣身矣與致雲自戊辰年 間始相知而矣身通四色往來...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신문·잡지(1)
-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 7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18.0x16.0 右端五行點人不知已下交點沙門敢秀 K37, p.989.; T32, p.591.; X2, p.79. 觀智院金剛藏聖敎目錄 無 소장: 권8. 『京都府古文書等緊急調査報告 東寺觀智院金剛藏聖敎目錄六』(京都府立總合資料館, 1979), p.14....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 74 | 대표서명釋摩訶衍論 | 한글서명석마하연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2)
-
오행점 / 五行占 [생활/민속]
오행인 금(金)·목(木)·수(水)·화(火)·토(土)의 다섯 글자로 점괘를 만들어 신수를 점치는 점법. 동쪽으로 뻗은 대추나무나 복숭아나무 가지를 베어 길이 2∼3㎝로 잘라 윷을 만들듯 중앙을 쪼개어 다섯 개를 만들고, 속 쪽의 흰 곳에 금·목·수·화·토의 글자를 각각
-
토정비결 / 土亭秘訣 [종교·철학/도교]
조선 명종 대 토정 이지함이 지은 도참서. 태세, 월건, 일진을 수리적으로 따지고, 그의 내용을 주역의 음양설에 기초를 두고 만들었다. 토정은 잡학을 좋아하던 학자로서 이 책을 저술하여 사람들의 길흉화복을 예언하였다. <동국세시기> <경도잡지>에 오행점을 볼 때 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