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천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다. 주소는 서원을 관리하는 고자(庫子)가 기거하고 있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은 4변(籩) 4두(豆)이다. 재산으로는 전답 2, 500여 평이 있다. 『전고대방(典故大方)』 『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와산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786년(정조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성이성(成以性)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
  • 양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대봉집』이 있다. 대구 ()에 제향되었다.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이칭별칭 가행(可行), 정보(楨父)| 대봉(大峰)|희지(稀枝)
  • 눌용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81수, 소 2편, 서(書) 9편, 권2에 잡저 5편, 기 1편, 잠 1편, 명 1편, 축문 13편, 제문 10편, 애사 1편, 부록으로 지구서간(知舊書簡) 6편, 향유정수의문(鄕儒呈繡衣文)ㆍ통문(通文)ㆍ행장ㆍ묘갈명...
  • 김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의 치적을 많이 남겼다. 경상북도 영풍군 ()과 제주의 상현사(象賢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노봉집』 4권이 있다.
    이칭별칭 사달(士達)| 노봉(蘆峯)

고서·고문서(7)

  • 庚辰年 10月 11日 의 庫子가 임고서원의 庫子에게 보낸 簡札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459 1319_01 庚辰年 10月 11日 의 庫子가 임고서원의 庫子에게 보낸 簡札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문중생활, 서간통고류, 간찰 한자 고문서 HJ002.JPG 庚辰年 10月 11日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26000 B026000 고현성 古縣城 군사교통 輿地圖書 慶尙道 延日 壇廟 壇廟社稷壇(在縣西五里) 文廟(在鄕校) 城隍祠(在縣南十里) 厲壇(在縣北十里) 新增(在縣東十里古縣城○高麗知奏事榮陽公鄭襲明文忠公圃隱鄭夢周所享也萬曆四十一年 宣賜)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中居于永川) 青林(在縣東二十里李光岳莅縣時夢有丈人來見曰縣東十里即是我家而毀敗已乆無䖏安居云仍問舊蹟青林圃隠舊地故即建于其地中移于古縣城 ...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人也中居于永川) 青林(在縣東二十里李光岳莅縣時夢有丈人來見曰縣東十里即是我家而毀敗已乆無䖏安居云仍問舊蹟青林圃隠舊地故即建于其地中移于古縣城今有碑閣) 萬丈巌(在雲梯山頂有窟窮邃壬亂邑人鄭光啓權安五聖位板及滎陽公文忠公位板扵此巌焉) 三僧巖(在縣南三十里陳田山俗傳神僧三人常逰其上因名焉云而...
    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8 第八統統首李貴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本順興率子水營備邊司軍鹽汗守千年拾參 甲申率子兵營弓人守己年玖戊戌時居兵營李太宗戶在率女白化今故率雇工兵營二道 鹽汗奴林方年貳拾丁亥林介夫伊戶來率雇工山下竹田直奴崔德先今逃亡率同生迎 日奴兵營二道鹽汗奴夢好年拾扒己丑時居迎日等癸卯戶口相准 第二戶 幼學金重五年伍拾扒己酉本慶州父學生主民祖將...
    연도_면이름1726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八上倉坊

구술자료(1)

  •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설화를 듣고 나서 자청해서 들려 준 것이다.*
    조사일시1983-12-23 | 조사장소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 제보자양재한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면 원리에 있는 서원. 1588년(선조 21)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습명과 정몽주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13년(광해군 5) ‘오천’이라고 사액되었으며, 1740년(영조 16) 정사도와 정철을 추가배향하였다. 선현배

  • 계서일고 / 溪西逸稿 [종교·철학/유학]

    2편, 계사 7편, 서계 2편, 서(書) 14편, 연행일기(燕行日記) 1편, 권2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묘지 각 1편, 만사 34수, 제문 1편, 그리고 봉안문(奉安文)·상향축문·계서초당기(溪西草堂記)·청백인정비명(淸白仁政碑銘)·의정부계(議政府啓)로 구성

  • 눌용재문집 / 訥傭齋文集 [종교·철학/유학]

    .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81수, 소 2편, 서(書) 9편, 권2에 잡저 5편, 기 1편, 잠 1편, 명 1편, 축문 13편, 제문 10편, 애사 1편, 부록으로 지구서간(知舊書簡) 6편, 향유정수의문(鄕儒呈繡衣文)·통문(通文)·행장·묘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