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오재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22)
- 오재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전고대방(典故大方)』 『노주집(老洲集)』 오재...이칭별칭 문경(文卿)| 순암(醇庵), 우불급재(愚不及齋)| 문정(文靖)
- 오연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5(영조 41)∼1821(순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묵(士默), 호는 약암(約菴). 한성 출신. 진주(晋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관(瓘)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재순(載純)이며, 어머니는...이칭별칭 사묵(士默)| 약암(約菴)
- 오희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3(영조 39)∼1833(순조 3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경(士敬), 호는 노주(老洲). 진주(晋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제학 원(瑗)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재순(載純)이며, 어머니는 영의...이칭별칭 사경(士敬)| 노주(老洲)| 문원(文元)
- 이문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비난을 받자 빈청(賓廳)에서 조복(朝服)을 벗어던지고 퇴궐해 숙천부(肅川府)에 유배되었다가 석달 만에 풀려났다. 그 뒤 형조판서를 거쳐 병조판서가 되었는데, 1789년 인척인 오재순(吳載純)이 이조판서에 오르자 한 집안에서 양전(兩銓)을 겸할 수 없다 하여...이칭별칭 사질(士質)| 익헌(翼憲)
- 장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린 시절부터 지극한 효자로 이름이 났으며 시에도 천재적 소질을 보였다고 한다. 1790년(정조 14)감인소(監印所)를 설치하자 대제학이던 오재순(吳載純)의 추천으로 교서관(校書館)사준(司準)이 되어 서적편찬에 종사했다. 1816년(순조 16)까지 근무하면서 사서삼경을...이칭별칭 원일(元一)| 이이엄(而已?), 공공자(空空子)
고서·고문서(45)
- 문정공오재순 치제문(文靖公吳載純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문서-기타-서화류
- 내각제학 오재순 치제문(內閣提學吳載純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순암집(醇庵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870 B016870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正祖實錄 十年(1786) 春正月 정조실록_11001019_002 ○以李在恊、徐浩修爲知經筵事, 吳載純、閔鍾顯爲同知經筵事, 朴祐源爲 H010403]江華府留守。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360 B028360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9年 11月 19日_023 ○傳于吳載純曰, 若此備堂, 奔走供職, 其何陞六? 令騎曹決棍十度, 喬桐府充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오재순 / 吳載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7∼1792). 1772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고, 홍문관부제학·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1783년 청나라에 다녀와서 규장각직제학이 되었으며, 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주역회지》·《순암집》 등이 있다.
-
해악집 / 海嶽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환의 시문집. 4권 2책. 활자본. 권두에 오재순의 서문이 실려 있다. 권1은 부 5편, 소사 3편, 시 103수, 권2는 시 104수, 소 9편, 차 2편, 유문 1편, 장 1편, 권3은 서 4편, 기 3편, 잠 2편, 명 6편, 찬 1편,
-
매호유고 / 梅湖遺稿 [문학/한문학]
·이영유(李英裕)의 서문과 매호공소전(梅湖公小傳)이, 권말에 오재순(吳載純)·민중현(閔重顯)·최수옹과 후손 정걸(廷杰)의 발문이 있다. 『매호유고』의 내용으로는 시 53수가 수록되어 있고, 부록으로 사실(事實)·수창(酬唱)·평품(評品)·예빈경공시(禮賓卿公詩)가 수록되어
-
구암집 / 久庵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김취문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791년(정조 15) 현손 김몽의·김몽화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범조·김종수의 서와 권말에 오재순·최광벽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12수, 소 2편, 차 1편, 계 8편, 서 5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