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원” 에 대한 검색결과 3,2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38)

사전(173)

  • TD_C3_D_0084 지방 東原, 北原, 西原, 中原 塩州, 延安府, 祭天壇, 江陵, 原州, 淸州, 忠州, 南原 忠宣王 地理志, 勝覽 D_04_03_02 대동운부군옥 4권 3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3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00(숙종 26)∼1740(영조1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옥(伯玉), 호는 월곡(月谷). 상(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두인(斗寅)이고, 아버지는 진주(晋周)이며, 어머니는 예조판서 김창협(金昌...
    이칭별칭 백옥(伯玉)| 월곡(月谷)| 문목(文穆)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고양이’를 의인화한 것이다. 갓 태어나서는 몹시 잔약하나 점점 자라나매 날쌔고 사나워진다 도둑을 잘 지킨다는. 소문이 나 임금에게 천거되어 총애를 받지만, 됨됨이가 억세고 사나워 군소배들이 그의 소리를 듣고는 놀라서 피한다. 궁중에서 숙직할제 도적이 침입함을 알고 목...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월곡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14권 7책. 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연도는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5에 시 797수, 권6∼8에 소차(疏箚) 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128년(인종 6)∼1180년(명종 10). 고려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초명은 산준(山俊). [생애와 활동사항] 음서(蔭敍)로 벼슬에 나아가 1158년(의종 12) 내시(內侍)에 입속(入...
    이칭별칭산준(山俊)

고서·고문서(2,161)

  • 栗谷先生全書 卷之一 詩 上 120 題(驛)三首 01_090_064.jpg 題(驛)三首 題……首: 제1수는 외집, 제2수와 제3수는 속집의 5수 중 제3수와 제5수임. 동일 제명하의 속집의 나머지 시는 습유에 실려 있음. 東溟萬頃波, 摠入吟眸裏。 不見採...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題(驛), 三首 39_121_078.jpg 題(驛), 三首 竝海數奇巖, 白沙平處歇, 孤邨起夕 夕: 저본과 전순 두주에는 “夕一作晚”。煙, 瘦嶺留殘雪。 邨犬吠柴門, 數家依古木; 荒田半嶺橫, 細逕緣溪曲。 銀蟾出海時, 宿...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10년_청양면(靑良面) 1810년 청양면(靑良面) 第二十四巨南里 2 第二統統首福 第一戶 驛吏福年伍拾伍丙子本海州父貴太祖弼善曾祖業生外祖通政孫俊元本 密陽妻李姓年參拾參戊戌本慶州父正用祖仲年曾祖春東外祖徐元己本大邱女年 拾貳己未奴順今年拾玖壬子婢順丹年拾參...
    연도_면이름181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二十四巨南里
  • 5 第五統統首朴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9년_유포면(柳浦面) 1729년 유포면(柳浦面) 第五於勿洞 5 第五統統首朴 第一新戶 長水道阿火驛奴朴年貳拾柒癸未本蔚山父驛吏海命祖納粟通政命吉曾祖 正兵春福外祖私奴趙玉男本慶州妻私婢金士進年參拾參丁丑本金海主密陽居 金禮山父寺奴興山祖良人興立曾祖私奴應春...
    연도_면이름1729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五於勿洞
  • 3 第三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농소면(農所面) 1765년 농소면(農所面) 第五山坊里 3 第三統統首柱 第一戶 忠翊衛柱年參拾丙辰本高敞父忠翊泰俊祖僉正震伯曾祖學生雲外祖幼學權世根本安東妻白 姓年貳拾參癸亥本大丘父幼學世中祖通政大夫命守曾祖通政大夫己男外祖判官薛爾柱本慶州侍母權姓年 ...
    연도_면이름1765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五山坊里

구술자료(3)

  • 04_293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시_상사 상사 천안 도하리 논매는 소리 충청남도 천안시 입장면 도하리1구 1987.4.7 素87-4-7①A (메)직 (받)도하리 노인들 직(192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잦은 상사 형 멕받형(선후창) 에헤
    녹음지역충청남도 천안시 입장면 도하리1구 | 녹음날짜1987.4.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4_295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남도 천안시_몬돌 몬돌 천안 도하리 에염싸는 소리 충청남도 천안시 입장면 도하리1구 1987.4.7 素87-4-7①A 직(192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몬돌 류 멕받형(선후창) 에헤라 몬돌 도미솔 t3.
    녹음지역충청남도 천안시 입장면 도하리1구 | 녹음날짜1987.4.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고 말고 또 그렇지. 그래 외상을 해서 과자를 완차 를 반차로 맡았어요. 맡아가주고 외상을 사가주고 계산을 하고서 판다 그러는데 ‘아미다마’라고 왜 저 사탕 같은 거 있지요. 그 때 한 개에 했어요. 소매. 한 개 했는데 그 저 뭐인가 과자 장사가 대부분 교민들
    조사지역강원 강릉 | 조사일2012년 7월 13일

기초학문(21)

  • 고대 러시아 문학 속의 동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원교, 게재일 : 2007
    23951 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고대 러시아 문학 속의 동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중앙아시아 이슬람 부흥의 양상과 전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원교, 게재일 : 2008
    24021 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08 중앙아시아 이슬람 부흥의 양상과 전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과학자의 생애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 판별 준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원근, 게재일 : 2006
    21527 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물리학회 2006 과학자의 생애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 판별 준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신(新)유라시아주의 ― 세계화 시대의 러시아적 대안 문화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원교, 게재일 : 2005
    27899 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슬라브학회 2005 신(新)유라시아주의 ― 세계화 시대의 러시아적 대안 문화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现代汉语形容词否定的意义与功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창구오원, 게재일 : 2013
    10610 창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解放军外国语学院学报 2013 现代汉语形容词否定的意义与功能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796)

  • 十圓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고 일인 상업회의소에셔 결뎡야 한국 디방에셔만 통용 일원 지젼을 실시은 이왕긔엿거니와 그지젼이 젹은물건 매데 젹당나 큰물건 흥셩에 편리치 못고로 과 십원 리를 발 터인데 일본 탁지부에셔 감독야 동경인쇄국에셔 지금졔조즁이라더라
    게재일1902년 8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根(根) 서울 根 林町 51 금융 - 금융 - 3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吳元根(吳元根)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票實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인이 한국 디방에셔 통용 은표를 발단 말은 긔엿거니와 령와 거류민쟝이 각 거류디에 고시기를 본월이십일부터 은표를 실시다 엿더라
    게재일1902년 8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根(-) 인천 根 - 柳町 3-3 - - 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소매 14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吳元根(-)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善(-) 평양 善 - 港町 22 - - 割木 판매 - - - 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吳元善(-) | 지역평양 | 품목- | 영업종목割木 판매 | 자료출처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기타자료(84)

  • ;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97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0면 공;孔 제11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919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5면 (38) 제36회 163명(1940년 3월 졸업) 근;根 경성부 죽첨정2정목 65-30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829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21면 수;洙 충남 보령군 대천면 궁촌리 제16회 1938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274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7면 석;錫 황해 제1회 192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870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7면 석;錫 황해 농림전문학교 제1회 1920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700(숙종 26)∼1740(영조16). 조선 후기의 문신. 상 증손, 할아버지는 두인, 아버지는 진주, 어머니는 김창협의 딸이다. 태주에게 입양되었다. 이재의 처질로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28년(영조 4) 정시문과에 장원하여 문명이 높았다. 이후 이조좌랑,

  • 전 /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유본학(柳本學)이 지은 가전체소설. 『문암문고(問菴文藁)』 상책(上冊)에 실려 있다. 유본학은 득공(得恭)의 맏아들로 생몰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생년이 대략 1770년경으로 추정된다. 그는 「전」 외에도 「김풍헌전(金風憲傳)」·「김광택전(金光澤傳)

  • 금남호남정맥 / 錦南湖南正脈 [지리/자연지리]

    장안산(長安山, 1,237m)에서 시작되어 주화산(珠華山, 600m)에서 끝나는 산줄기의 옛 이름. 북쪽 사면에서 장수의 천천(天川)이 시작되어 401㎞의 금강을 이루고 남쪽 사면에서는 임실의 천(川)이 시작되어 225㎞의 섬진강을 이룬다. 연결된 주요산은 수

  • 의인소설 / 擬人小說 [문학/고전산문]

    ·「녹처사연회」·「까치전」·「황새결송(決訟)」·「곽색전 郭索傳」·「傳」 등을 들 수 있다.

  • 해동사부 / 海東辭賦 [문학/한문학]

    27명이다. 작품 수는 57편이다. 『해동사부』 상책에 이규보의 「조강부 祖江賦」·「춘망부 春望賦」·「몽비부 夢悲賦」와 이색의 「민지사 閔志辭」, 서거정의 「자부 子賦」, 강희맹의 「양초부 養蕉賦」, 김인후(金麟厚)의 「칠석부 七夕賦」 등 36편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