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운” 에 대한 검색결과 7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6)

사전(138)

  • 죽유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5권, 부록 합 3책. 목판본. 7대손 사중(司重)이 편집한 것을 1783년(정조 7)에 간행하였다. 뒤에 후손 경정(慶鼎)이 증손(增損)하여 재편, 1824년(순조 24)에 중간하였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40(중종 35)∼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ㆍ의병장. [개설] 본관은 고창(高敞). 함안 출생. 자는 태원(太源), 호는 죽유(竹牖)ㆍ죽계(竹溪). 의령현감 석복(碩福)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전의현감 언의(彦毅)이고, ...
    이칭별칭 태원(太源)| 죽유(竹?), 죽계(竹溪)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호유용의 천거로 형부상서가 된다. 태조가 동덕현에 대해 영장을 올린백성을 잡아들이자, 그들에게 유기를 모함하게 한다. 이승률이 가혹한 형벌을 항의하자, 거짓 상소를 꾸며 유배 가게 한다. 역모 죄를 당한 기를 엄형에 처하기를 아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전 정선군수. 박충원과 뒤늦게 연회에 참석해, 단종을 위해 제문을읊었는데, 그때 그것을 정철이 들었다고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오랑캐 추장 이탕개가 군사를 이끌고 경원부에 쳐들어오자 선조대왕의 명을 받아 조방장으로 출정한다. 정언신과 이용과 군사를 합해 대적한다. 번번이 싸움에서 패하여 군사들이 더 이상 싸울 수 없게 되자 이 사실을 신립에게 알려 도움을 청한다. 립이 군사를 이끌고 와 오랑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512)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6 第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2년_대현면(大峴面) 1792년 대현면(大峴面) 第十三新里 6 第六統統首龍 第一新戶 驛吏龍年參拾壹壬午本海州父德起祖通政積興曾祖通政必伯外祖李仲道本慶妻張召史 年貳拾玖甲申本仁同父業武奉鶴祖業武戒萬曾祖禮奉外祖趙末叱卜本咸安率子驛吏光佑年捌乙 巳率女召史...
    연도_면이름1792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三新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5년_웅촌면(熊村面) 1795년 웅촌면(熊村面) 第十八肝谷里 1 第一統統首非 第一戶 驛吏非年肆拾壹乙亥本海州父德起祖迪興曾祖成伯外祖李世伯本慶州妻李召 史年肆拾壹乙亥本全州父呂化祖奉世曾祖伊玉外祖金富智本金海等壬子戶口相准 第二戶 驛吏李得用年參拾壹乙...
    연도_면이름179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八肝谷里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5년_웅촌면(熊村面) 1795년 웅촌면(熊村面) 第十八肝谷里 2 第二統統首守 第一戶 驛吏守年伍拾貳甲子本海州父通政德起祖迪興曾祖成伯外祖李世伯本慶州妻全姓 年伍拾貳甲子本慶山父起尙祖得發曾祖應宅外祖李世元本慶州率子以得年貳拾貳甲午 婦朴姓年貳拾貳甲午等壬...
    연도_면이름179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八肝谷里

기초학문(1)

  • 16세기 영남사림의 분화와 의 역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설석규, 게재일 : 2007
    08600 설석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북대학 퇴계연구소 2007 16세기 영남사림의 분화와 의 역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77)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韓(-) 평양 韓 - 竹典里 156 - - 포목판매업 - - - 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韓五雲(-) | 지역평양 | 품목- | 영업종목포목판매업 | 자료출처平壤商工案內: 商工人名錄, 1917년
  • 李性五(李性送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性五(李性送部) 서울 李性五 李性送部 昌信町 8 운수_운수용품 - 짐마차 운송 청부 28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性五(李性五運送部) | 지역서울 | 품목운수_운수용품 | 영업종목짐마차 운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석마하연론찬현소(釋摩訶衍論贊玄疏) 2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마하연론찬현소(釋摩訶衍論贊玄疏) 25 釋摩訶衍論賛玄疏 석마하연론찬현소 형태서지 1冊 X45, p.830. 無 ()弘安三年ニ月一日書寫之 一交了 大藏會展觀目...
    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찬현소(釋摩訶衍論贊玄疏) 25 | 대표서명釋摩訶衍論賛玄疏 | 한글서명석마하연론찬현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 천태사교의집주(天台四敎儀集註) 5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천태사교의집주(天台四敎儀集註) 51 天台四敎儀集註 천태사교의집주 형태서지 天台四敎儀集註 (卷下) 1冊 神田喜左衛門 無 ()慶長第五庚予歳臘月下□吉辰 正雲刊之...
    대표표제어천태사교의집주(天台四敎儀集註) 51 | 대표서명天台四敎儀集註 | 한글서명천태사교의집주 | 서지형태형태서지
  • 11 림상준 함남인민보사 허정숙, 홍명희, 백남운, 현정민, 홍순철, 오성화, 김일, 김찬, 한설야, 식, 장서진, 리덕종, 정철우, 지창익, 이창협, 박영식 【평양10일발 조선중앙통신】세계민청에서는 오는 9월달에 항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에서...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512_02 | 책임주필림상준

기타자료(18)

  • 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318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84면 섭;燮 경성부 신교정 17-18 (光3741) 제12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1586 남한 제주 제주농업학교 2-46 회원명부(1930년 3월 현재) 1930―03 17면 평;平 제주도 우면 토평리 제8회(31명) 1928년 3월
    학교소재지역제주 | 학교명제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덕환;鄭德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627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36면 정덕환;鄭德煥 강원도 철원군 面 下葛里 273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일규;朴逸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6534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41면 박일규;朴逸珪 강원도 철원군 面 中江里 1052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덕환;鄭德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9109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51면 정덕환;鄭德煥 강원도 철원군 面 下葛里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0)

  • / [종교·철학/유학]

    1540(중종 35)∼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석복의 증손, 할아버지는 언의, 아버지는 수정, 어머니는 안관의 딸이다. 이황·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61년(명종 16) 생원시에 합격하고 1566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상주목

  • 산천서원 / 山泉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에 있었던 서원. 1779년(정조 3)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석충(宋碩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86년장수희(張壽禧)·()·박회무(朴檜茂)·박종무(朴樅茂)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

  • 조미구락부 / 朝美俱樂部 [경제·산업/산업]

    1925년 한미 두 민족간의 친목과 복리를 증진하기 위해서 설립한 단체. 1925년 12월 26일 하와이 오아후섬 와이아와에서 (, Cloud Owen)·최선주(崔善宙)이보국(李輔國)·송승균(宋承均)·서진수(徐珍洙)·임성우(林成雨)·현도명(玄道明)·손승운 등이

  • 조형도 / 趙亨道 [역사/조선시대사]

    1567(명종 22)∼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무신. 생육신 여 5대손이다. 아버지는 지이다. 큰아버지 우에게 입양되었다. 부인은 의 딸이다. 1583년(선조 16) 첨지 민추에게 수학했다. 1587년 정구를 사사한 뒤 3년 간 향시에 연이어 장원하였

  • 오자서실기 / 伍子胥實記 [문학/고전산문]

    칠월로 되어 있고, 그후 활자본이 세 출판사에서 발행된 점으로 보아 1900년대까지도 널리 읽혔음을 알 수 있다. 필사본과 활자본은 내용이 조금씩 다른데, 필사본은 오왕 구천이 의 간언을 듣지 않자 이 자취를 감춘 것으로 되어 있다. 역사적 인물인 오자서가 살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