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야마 이와오”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9)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서 500만 엔의 지출 승인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만주군총사령관이 되어 전쟁을 지도하였다. 전쟁이 지속되자 와 총참모장 고다마 겐타로(兒玉源太郞) 등의 현지 지휘관들은 대본영 총참모총장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에게 앞으로 작전의...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大山巖)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818 인물 (大山巖) 大山巖 1842 1916 메이지시대의 군인. 대산암(大山巖). 사쓰마(薩摩) 출신. 사쓰마번 번사 히코하치(大山彦八)의 둘째 아들. 종형인 사이고 다카모리(西...
    유형분류인물
  • 우에료 요리카타(上領賴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김홍집(金弘集) 일행이 도쿄에 머물렀을 때, 육군소좌(陸軍少佐)로서 육군경(陸軍卿) (大山巌)의 명을 받아 수신사 일행을 문위하였다. 부산박물관 (편), 『동도일사』, 부산박물관, 2012. 상령뇌방(上領賴方), 김홍집(金弘集), ...
    유형분류인물
  • 나가오카 모리요시(長岡護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월 22일에는 박영효 일행과 사노 쓰네타미(佐野常民) ‧ 오기 다카토(大木喬任) ‧ (大山巖)와 함께 러시아 공사를 방문하였다. 1883년 고등법원(高等法院) 배석재판관(陪席裁判官)이 되었다. 1898년에는 동아동문회(東亞同文會)의 부회장을 맡았고, 러시아...
    유형분류인물
  • 사노 쓰네타미(佐野常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장(元老院議長)이 되었다. 1882년 9월 10일 일본정부와 임오군란의 사후 수습을 협의하기 위한 특명 전권대신 겸 수신사로 파견된 박영효(朴泳孝) 일행이 도쿄에 머물렀을 때, 사노 쓰네타미가 구로다 기요타카(黑田淸隆) ‧ 마쓰카타 마사요시(松方正義) ‧ ...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2)

주제어사전(1)

  • / 大山巖 [정치·법제/외교]

    1842-1916. 군인. 육군대신. 러일전쟁 당시 만주군총사령관. 1862년 상경하여 1863년 사쓰에이 전쟁에서 포수로 참전. 1870년 보불전쟁에 참전. 1871년 귀국하여 병부권대승, 육군대좌, 같은 해 육군 소장이 되었다. 1880년에 육군경으로 취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