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오수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4)
- 오수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92(숙종 18)∼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수(士受), 호는 체천(棣泉). 영의정 윤겸(允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달천(達天)이고, 아버지는 병조판서 도일(道一)이며, 어머니는...이칭별칭 사수(士受)| 체천(?泉)
- 송도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송도구지발(松都舊誌跋), 1705년 엄집(嚴緝)의 송도구지발(松都舊誌跋), 1757년 오수채(吳遂采)의 송도속지발(松都續誌跋), 1782년 정창순의 송도지소지(松都誌小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문과 범례에 의하면 김육이 유수로 부임하여 1648년에 개성...
- 능가사사적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었다. 전면은 모두 19행으로 1행은 63자이고 행서체이며, 홍문관부제학 오수채(吳遂采)가 짓고, 사헌부대사헌 조명교(曺命敎)가 전서와 비문을 썼다. 음기는 31행으로 1행이 80자이다. 이 비의 내용으로 보아 이 절은 처음에 보현사로 창건되었다가, 임진...연계항목능가사사적비(楞伽寺事蹟碑)
- 이수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4) 정언이 되어 안동(安東)에 김상헌(金尙憲)의 서원을 다시 세워 영남 사람들이 그 절의를 본받게 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 이현일(李玄逸)을 구원한 사학교수(四學敎授) 오수채(吳遂采)를 탄핵했다가 도리어 그를 천거한 부사직(副司直) 조명겸(趙明謙)과 함께 공...이칭별칭 일여(一如)
고서·고문서(51)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992 B016992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英祖實錄 十七年(1741) 五月 영조실록_11705014_001 ○丁丑 / 以吳遂采承旨, 金尙翼爲大司諫, 洪啓裕爲執義, 李昌壽爲正言, 李天輔爲校理, 曹命敎爲江華府留守。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9749 B059749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7年 7月 16日_024 。 臣之所達, 卽擧國公共之論, 非臣一人之私言也。 殿下試問於吳遂采, 吳遂采, 亦豈有異辭乎? 遂采曰, 此事關係甚重。 大臣諸臣, 若入侍, 則請詢問或可矣。 而今諫臣請詢於入侍承旨, 聖敎未...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거(島居)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819 B050819 도거 島居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7年 10月 23日_019 ○吳遂采以刑曹意啓曰, 纛島居鄭戒立呈狀內, 以爲其弟四萬, 庚戌年出債二十兩於本洞崔龍處矣。 上年分, 於義洞大君房, 捉去矣身, 徵捧五兩錢之後, 崔龍之妻, 又以手記, 移納于纛島居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462 B07346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14年 7月 29日_014 ○以趙榮國爲吏曹正郞, 許沃爲司諫, 吳遂采爲持平, 金岱爲昌陵令, 張啓紹爲司饔奉事, 閔墡爲知禮縣監, 金德履爲重林察訪, 鄭志翼爲繕工假監役, 金光世爲持平, 南德老單付承文博士。 東萊府使鄭亨...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615 B076615 동래 東萊 정치행정 英祖實錄 十三年(1737) 十二月 영조실록_11312002_002 ○以安相徽爲執義, 吳遂采、金尙魯爲校理, 朴師正爲吏曹參議, 洪昌漢、鄭益河爲副修撰, 南泰良、宋敎明爲修撰, 李錫杓爲副校理, 具宅奎爲東萊府使。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오수채 / 吳遂采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9). 1735년(영조 1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부수찬·이조정랑·대사헌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757년《송도지》속지 1권을 증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