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수전” 에 대한 검색결과 1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4)

사전(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秦代)의 반량전(半兩錢)을 이어받아 그 무게를 줄인 반량전을 사용했다. 그 후 서기전 186년에는 팔수반량(八銖半兩), 서기전 175년(한 문제 5)에는 사수반량(四銖半兩), 원수 3년(서기전 120)에는 삼수전(三銖錢)을 사용하다가, 이듬해에는 을 주조했다. ...
  • 봉산양동리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두 기 모두 부장품은 도굴된 상태로 발견되었는데, 3호분에서는 평저장경호(平底莊頸壺)‧원저단경호(圓底短頸壺)‧철정(鐵釘)‧은정(銀釘)‧금동포수(金銅鋪首)‧화천(貨泉)‧대천오십(大泉五十)‧()‧거마구 명기‧유리구슬을 등이, 5호분에서는 백색 옹‧청동 냄비‧...
  • 분황사석탑사리장엄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函) 속에서 발견되었다. 장엄구의 내용은 사리 다섯 알이 들어 있던 은합(높이 2㎝, 지름 3.8㎝)을 비롯하여 각종 옥류와 가위, 금‧은바늘 및 침통, 패류‧원륜(圓輪), 그리고 숭녕통보(崇寧通寶)와 상평(常平) 등 다양하였다. 이들 내용물...
  • 황주흑교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보아 움무덤[土壙墓]일 가능성이 높다. 발견된 유물로는 날이 평행에 가까운 후기양식의 세형동검 1점, 동모(銅鉾) 1점, 十자형 칼자루끝장식[劍把頭飾] 1점, 전한시대의 () 2점, 을자형관금구(乙字形管金具) 2점, 삿갓형자루끝[笠形柄頭] 3점,...
  • TD_F1_O_0003 歷代錢制 화폐 歷代錢幣, , 小錢, 輪郭, 文章, 貨泉, 一當五百錢, 赤烏五年, 一當千錢, 比輪, 四文, 沈郞錢, 五銖白錢, 千錢, 紙環錢, 開元通寶, 八分, 篆, 隸, 乾封泉寶, 乾元重寶錢, 乾元錢, 一元寶錢, 順天元寶 晉...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7권 2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73)

  • 부여 왕흥사지 출토 상평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172부여 왕흥사지 출토 상평 [1면]  常平五銖대한민국550년 ~ 577년청동지름 2.5cm전서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왕흥사지왕흥사지는 현재의 백마강변으로부터 약 500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부소산과 마주보고 있는 드무재산에 위치해있다. 2007년 왕흥사지의...
    연대550년 ~ 577년 | 서체전서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부여 왕흥사지 출토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173부여 왕흥사지 출토 [1면]  五대한민국청동지름 2.5cm(추정)진서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왕흥사지2007년 왕흥사지의 목탑지를 조사하면서 사리장치 남편에서 출토되었다. 청동재질로, 반 이상 결실되어 ‘五’자만 확인할 수 있다. 중앙에는 정방형의 구멍이
    서체진서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김해 예안리고분군 출토 形 청동허리띠장식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120김해 예안리고분군 출토 形 청동허리띠장식오수명 청동허리띠장식 부분.jpg 오수명 청동허리띠장식.jpg [1면]  五銖대한민국7세기 전반청동길이 3.8cm전서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예안리고분군 49호분)경남 김해시 가야의길 190(국립김해박물관)김해
    연대7세기 전반 | 서체전서 | 소재지경남 김해시 가야의길 190(국립김해박물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全羅道庄土文績_제13책 : 全羅南道莞島郡所在庄土金俊炫提出圖書文績類 82. 道光七年丁亥正月二十六日李老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7314 奎 19301 全羅道庄土文績 제13책 : 全羅南道莞島郡所在庄土金俊炫提出圖書文績類 13-082 82. 道光七年丁亥正月二十六日李老明文 토지매매문기 1 44x37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44x37cm(가로...
    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37612 B037612 녹동 鹿洞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6 전라도 靈巖 祠院 鹿洞書院仁祖庚午建 肅宗癸巳賜額崔德之號烟村州人官提學 文宗朝棄官卜居金壽恒見揚州崔忠成字弼卿號山堂德之之父金昌協見揚州○忠節祠孝宗壬辰建 肅宗辛酉賜額鄭運字昌辰河東人 宣祖壬辰以鹿島萬戶戰亡于巨濟之玉浦贈...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원산거 김두원이가 소금 오쳔팔 륙십팔량어치를 일인에게 견실고 작년 삼월부터 샹경야 외부와 일본공관에 호소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김씨가 지금지 그 소금갑을 못차지면 쥭기로작뎡고 호소다더니 드른즉 일관에셔 지젼 몃원을 외부로보여 쥬라고 엿데 김두...
    게재일1902년 4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071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1면 ; 전남 제6회 1913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 [역사/선사시대사]

    무게를 줄인 반량전을 사용했다. 그 후 서기전 186년에는 팔수반량(八銖半兩), 서기전 175년(한 문제 5)에는 사수반량(四銖半兩), 원수 3년(서기전 120)에는 삼수전(三銖錢)을 사용하다가, 이듬해에는 을 주조했다.

  • 황주흑교리유적 / 黃州黑橋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황주군 흑교면 흑교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분묘 유적. 발견된 유물로는 날이 평행에 가까운 후기양식의 세형동검 1점, 동모(銅鉾) 1점, 十자형 칼자루끝장식[劍把頭飾] 1점, 전한시대의 () 2점, 을자형관금구(乙字形管金具) 2점, 삿갓형자루끝[笠形

  • 위만조선 / 衛滿朝鮮 [지리/인문지리]

    될 정도로 단단한 국가의 기반을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위만조선의 국가적 기반은 우거왕대에 1년여 동안이나 한무제의 원정군과 대치하였던 사실만으로도 짐작할 수 있다. 이따금 출토되는 중국의 명도전(明刀錢)이나 ()·화천(貨泉) 등은 위만조선과 중국과의

  • 황주선봉리고분 / 黃州仙峰里古墳 [역사/선사시대사]

    m의 장방형이었다. 동벽·남벽·북벽에서는 2개의 단을 이루면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좁아져 밑바닥에 이르러서는 길이 3.2m, 너비 1m, 상단에서 바닥까지의 길이는 142∼146㎝였다. 청동제품으로는 말종방울[馬鐸] 1점과 () 9점이 나왔다. 이 밖에

  • 마탁 / 馬鐸 [예술·체육/공예]

    자문에 돌기가 있는 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이 중 황해도 은율군 운성리에서 출토된 마탁에는 서기전 60년(神爵 2)에 주조된 천상횡문(穿上橫文)이 설로 매달려 있어서 연대추정에 도움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