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오세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1)
사전(346)
- 오세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어서도 당대의 일인자였다. 합천 해인사의 <자통홍제존자사명대사비 慈通弘濟尊者四溟大師碑>의 두전(頭篆:빗몸의 머리에 돌려가며 쓴 전자)을 비롯한 기념비 글씨도 전국 곳곳에 많이 남겼다. 槿域書畵徵(吳世昌, 啓明俱樂部, 1928) 韓國書...이칭별칭 중명(仲銘)| 위창(葦滄, ??)
- 윤희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권상실 이후 중추원촉탁(中樞院囑託)이 되어 경학원부제학(經學院副提學)을 겸하였다. 1916년에는 장지연ㆍ오세창(吳世昌)과 함께 『대동시선(大東詩選)』을 교열하였다. 저서로는 『우당시초』 1책과 『우당문초』 2책이 있다. 『고종실록(...이칭별칭 주현(周玄)| 우당(于堂)
- 김완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1919년 2월 천도교의 기도회 종료보고와 국장참배를 위하여 상경하여, 손병희(孫秉熙)‧권동진(權東鎭)‧오세창(吳世昌) 등을 만나 독립만세운동계획을 듣고 그에 찬동하여 민족대표33인 중의 한 사람으로서 「독립선언서」에 서명할 것을 동의하였다. 그 달...이칭별칭 송암(松巖)
- 근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아침에 났다가 저녁에 죽는다’는 말은 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무궁화에 대하여 기록된 가장 오래된 전거이다. 근역은 ‘근화지향(槿花之鄕 또는 槿華之鄕)’으로 불리기도 하며, 무궁화가 국화로 정해진 뒤 오세창(吳世昌...
- 나인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민중교화운동에 힘썼다. 1919년 2월 천도교의 기도회 종료보고와 국장참배를 위해 상경하여, 손병희(孫秉熙)‧권동진(權東鎭)‧오세창(吳世昌) 등을 만나 3‧1운동 계획을 듣고, 그에 찬동하여 민족대표로 서명할 것을 동의하였다. 이 달 27일 최린(崔麟)‧...이칭별칭 홍암(泓菴)
고서·고문서(7)
- [內需司]庄土文績_제4책 : 金晟粲提出圖書文績類 262. 乾隆伍十四年-己酉-正月二十二日朴代善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38.8x36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38.8x36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789년(정조 13) 1월 22일 吳世昌 답주 吳世昌 답주 朴...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庄土文績_제4책 : 金晟粲提出圖書文績類 216. 乾隆參拾八年-癸巳-二月初二日趙氏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45.1x37.2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45.1x37.2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773년(영조 49) 2월 2일 吳世昌 답주 吳世昌 답주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약속어음금(約束手形金) 및 잔액(零條)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城) 중부(中部) 원동(園洞) 1통 6호 오세창(吳世昌) 집 피고 등은 원고에 대하여 각 일금 70원에 대해 융희(隆熙) 2년 음력 10월 20일부터 변제 때까지 연리 40%의 손해이자를 가산하여 내주어야 함. 이자의 총액이 원금액을 초과할 수 없음. 102 ...재판기관경성구재판소(京城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7월 12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송학사문집_宋學士文集3 大明故王府參軍追封縉雲郡伯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橋之癈巳乆橋隄當水之衝亦爲所齧蝕幾盡公卽上流比舟爲梁以濟行者州學敝壊講舎僅存用以貯官䅇公撤而新之薦新進士吳世昌爲郡文學以司教事城中民廬多爲戎士所據混淆而䖏公度閑曠之地建營屋數十區使别居之縉雲官田其稅額甚重執里役者恒以私粟代償公以新沒入之田實其數其害乃除諸暨守將謝再興兵犯東陽平章李公文忠擊走之公引兵爲...국가중국 | 서명송학사문집 | 왕대기타
- 추안급국안 : 신묘년(1651, 효종 2) 김자점(金自點) 등 역적사건 신문기록(4)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是白遣仍卽仕進禁府 此浚則未嘗一往是白置謀逆事段千萬曖昧請與世昌面質分揀施 行敎事 ○ 이두일을 신문하다 同日李斗一更推白等矣身以禁府都事推鞫廳罪人鸚鵡 承服招辭謄出漏通於世昌哛不喩罪人業伊承服招內李都事頻頻 往來於世龍之家與李姓進士及竹前洞世龍四寸進士來宿相議時潛爲 窺聽則欲以洛城尉父爲君...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7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기초학문(3)
- 위창 오세창의 금석학과 서지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승연, 게재일 : 201323099 이승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위창 오세창의 금석학과 서지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서식전쟁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오세창, 게재일 : 201419438 오세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역상무학회 2014 서식전쟁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4
- Incoterms? 2010 CIP?DDP?CIF 규정상의 문제점과 대안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오세창, 게재일 : 201519441 오세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역상무학회 2015 Incoterms? 2010 CIP?DDP?CIF 규정상의 문제점과 대안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47)
- 吳世昌(-)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吳世昌(-) 해주 吳世昌 - 海州面 東榮町 - - 물품판매업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吳世昌(-)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물품판매업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鮮展出品第三部二等呉世昌氏筆 (선전 출품 제3부2등 오세창씨 필)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呉世昌(1864-1953)작품명_원문鮮展出品第三部二等呉世昌氏筆 | 게재일19220603 | 게재판무 | 게재면02 | 게재단6-8
- 민세안재홍전집 : 接踵하는吊問客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861 1949 6 28 1 1 接踵하는吊問客 喪主金信氏現地서歸還 신문 동아일보 2면 8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金九, 吳世昌, 白南薰, 明濟世 , 崔東旿 A19490628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ほほ是は好い!』齋藤総督の感嘆詞は呉世昌氏の『書』に投げた (『아 이것은 좋으데!』사이토 총독의 감탄사는 오세창씨의『서』에 던졌다)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조선미전기사명_원문『ほほ是は好い!』齋藤総督の感嘆詞は呉世昌氏の『書』に投げた | 기사명_한글『아 이것은 좋으데!』사이토 총독의 감탄사는 오세창씨의『서』에 던졌다 | 부제_원문気に入った鎮氏の竹の絵 | 부제_한글마음에 드는 씨의 대나무 그림 | 게재일19220602 | 게재판무 | 게재면05 | 게재단5-7
- 민세안재홍전집 : 檀君聖蹟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850 1949 4 14 1 1 檀君聖蹟 護維會를組織 신문 동아일보 2면 3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檀君聖蹟, 摩尼山, 吳世昌, 申翼熙, 金性洙, 檀君聖蹟護維會 A19490414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8)
- 오세창;吳世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8662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73면 1. 3. 각 과별 졸업생;7) 제7회 졸업생 (1925년 3월 졸업);(2) 상과 오세창;吳世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세창;吳世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9580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76면 1. 3. 각 과별 졸업생;7) 제7회 졸업생 (1925년 3월 졸업);(2) 상과 오세창;吳世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세창;吳世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1435 남한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1-27 배제 제5호 1924 108면 1. 동창생 씨명 및 주소 (가나다 순);17) 고등보통학교 제3회 오세창;吳世昌 (주소및현황)옹진군 마산면 당현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배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Daily Report of UNTCOK Activities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서 1장을 퇴고하여 승인한것과 8.15경축식에 의장의 참여를 두고 회원국간 비공개 회의를 실시한 내용임. 오세창이 보낸 초대장도 첨부되어 있음. Singh, Liu, Luna, Paul Boncour, Jamieson, Valle, Oh Sei Chang...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John Weckerling | 수신자General Hodge
- 18. Translation No. 454 : 기록자료, 1946.06.20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막료 6명을 대동하고 귀국예정. 환영준비위는 오세창, 안재홍, 조병옥, 김병로 등으로 구성 Lee Tchawng Tchawn, Commander-in-Chief of the Rehabilitation Forces, Oh Sei Chang, An Cha...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수신자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Office of the A.C. of S., G-2, Language and Document Section
주제어사전(20)
-
오세창 / 吳世昌 [종교·철학/유학]
현대의 서예가·언론인·독립운동가(1864∼1953). 《한성순보》 기자를 지냈고 우정국 통신원국장등을 역임했다. 만세보사, 대한민보사 사장을 지냈고 대한서화협회를 창립하여 예술운동에 진력하였다. 저서에는 《근역서화징》·《근역인수》 등이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
-
근묵 / 槿墨 [예술·체육/서예]
1943년 서예가 오세창이 우리나라 역대 명사들의 진적(眞蹟)을 모아 엮은 서첩. 『근묵』은 위창(葦滄) 오세창(1864∼1953)이 고려 말부터 근대기에 이르는 우리나라 역대 명사들의 진적(眞蹟)을 모아 만든 서첩이다. 고려 말의 정몽주(鄭夢周, 1337∼1392)
-
근역서휘 / 槿域書彙 [예술·체육/서예]
1911년 서예가 오세창이 고려말에서 대한제국말까지 선인들의 필적을 모아 엮은 서첩. 5책. 첩장본(帖裝本).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수록된 필적은 거의 600여년에 걸치는 것으로, 신분상으로 볼 때는 국왕의 어필을 비롯하여 각계 유명인사들의 서간·시축(詩軸)·문고(
-
윤희구 / 尹喜求 [종교·철학/유학]
항일기의 학자(1867∼1926). 유학의 아홉 가지 경서와 제자의 글과 역사책까지 두루 섭렵한 한문학자이다. 장지연과 함께 《대한예전》 편찬에 참여했고, 참상에 올라《증보문헌비고》를 증수했으며,《양조보감》을 편찬했다. 장지연·오세창과 함께 《대동시선》을 교열했다
-
임예환 / 林禮煥 [역사/근대사]
1865-1949.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연암(淵菴). 1894년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하였고, 1919년 3월 1일 손병희·오세창 등과 함께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를 회람하고 만세삼창한 뒤 검거되었다. 출옥 후에도 계속 항일운동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