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사모” 에 대한 검색결과 1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0)

사전(110)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개장(改葬) 때와 진전(眞展) 작헌례(酌獻禮)를 행할 때 백관과 제관이 쓰는 모자. ()는 진전의 작현례와 다례(茶禮), 왕릉의 개장 시 문무관이 흉배가 없는 무양흑단령(無揚黑團領), 흑각대(黑角帶)와 함께 사용하는 모자이다. 또한 원ㆍ묘를 배알(拜謁)할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백관(百官)이 관복을 입을 때 착용하던 관모(官帽).
    정의백관(百官)이 관복을 입을 때 착용하던 관모(官帽).[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osamo | MR표기osam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N3_D_0069 복식제도 去角烏帽, 居常, 軟角, 焚香, 靜坐, 吟哦 河政丞演 筆苑 D_16_04_15 대동운부군옥 16권 4장 1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4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사고모(烏紗高帽), 충천각모(衝天角帽), 흑각대(黑角帶) 생활 풍속의생활/관모 의복 대한민국 조선 윤양노 [정의] 왕이나 벼슬아치들이 관복을 입을 때 착용한 검은색...
    관련어오사고모(烏紗高帽), 충천각모(衝天角帽), 흑각대(黑角帶)
  • 흑각대(黑角帶)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친 및 백관들이 졸곡(卒哭) 뒤에 띠는 검은색 대(帶). [내용] 졸곡 후에 입는 상복(喪服)으로 백의(白衣)·()·흑각대(黑角帶)를 갖추며, 참최 3년 안에 내상이 있을 때 상제를 지내고 난 후 담복(禫服)을 입고 에 흑각대를 착용한다. 또한...
    상위어품대(品帶) | 동의어오각대(烏角帶) | 관련어발인반차(發引班次), 상제(祥祭), 졸곡(卒哭)

고서·고문서(24)

  • 禮爲長子期, 《南史》齊武帝爲文惠太子服期, 朝臣則齊衰三月, 文公《家禮》以期爲三十日, 以緦麻三月爲七日。 我朝服制日數準此, 請依此制, 大殿中殿白衣麄布帶三十日, 朝臣白衣、、黑角帶七日。 外方戍禦武臣外, 大小使臣、諸道守令, 文移到日, 於公廳設香案, 以白衣、烏紗 ...
    출처전거仁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吏屬參謁,宜禁白布衣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or.kr/inLink?DCI=ITKC_MP_0597A_1240_010_0140_2015_027_XML 027 凡受參謁,牧著朝冠,【】 吏屬,安得以白衣布帶入庭乎?今京司參謁書吏,皆著紅團領,法本然也。惟在喪起復者,許其墨笠墨帶。【起復者,許勿入庭參謁,但令出入府中以稟事】...
    권차명牧民心書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方喪 一 【始喪】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kr/inLink?DCI=ITKC_MP_0597A_0810_030_0010_2015_018_XML 018 《通典》 戴德〈喪服變除〉云:“臣爲君笄纚,不徒跣,始死深衣ㆍ素冠。其餘與子爲父同。” ○鄭玄〈變除〉云:“臣爲君不笄纚,不徒跣。” ○《國制》 始喪,百官淺淡服ㆍ 【角...
    권차명喪禮四箋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望慰之禮,一遵《儀》注,而古禮不可以不講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230_010_0050_2015_027_XML 027 望慰之禮,尤宜恪愼。若論古禮,國恤始聞,宜以ㆍ淺淡服ㆍ黑角帶,往哭于庭中,退出外庭改服,入又哭。○又哭者,〈奔喪禮〉所云‘五哭’之第二哭也。《禮...
    권차명牧民心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厥明, 夙興, 設蔬果酒饌。【如時祭之儀】 質明, 主人以下變服【父母忌則有官者, 服縞色帽垂脚, 或黲布帽垂脚, 玉色團頒, 白布裹角帶。 無官者, 服縞色笠, 或黲色笠, 玉色團領, 白帶, 通著白靴。 婦人則縞色帔, 白衣白裳。 祖以上忌, 則有官者, , 玉色團領, 白布裹角帶。 無...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신문·잡지(4)

  • 그날아참에 관문안이 되고 망곡례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그날아참에 관문안이 되고 망곡례를 신후에 삼일 복으로 죠관이 모다 쳔담복 오각 흰신을 신게고 각부부원에셔 삼일 무를 뎡지고 각학교에셔도 삼일폐학을더라
    게재일1900년 10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쟝례원에셔 샹 쥬고 챵릉실화 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쟝례원에셔 샹 쥬고 챵릉실화 건으로 복입 례졀을 마련엿데 대황뎨폐하셔와 황태뎐하셔 익션관에 검은도포와 오각와 목화이시고 죵친문무관은 쳔담복에 흑각 목화오 군인과경관은 복쟝왼팔에 검은베로 둘너 작일지 삼일을 변복고 죠시와 형육과 도...
    게재일1901년 4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홍릉쳔봉시 복닙례법을 마련 엿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단령 흑각 흰신이오 시에 흑립 의 오 셔인은 흑립에 의  이더라
    게재일1900년 10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학부당국자에게 권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지안이 지금텬황씨디황씨나 찻던션로 말면 그뢰슈에 가득찬것이 즁원적이것이 모다즁원사이니대한텬디에장야남의나라고젹적과남의나라사을앙모야무엇리오그런고로그사들은 월급을 밧지안코 그져갈아쳐 준다야도 쓸업바 학식이 죰잇다사들은 벼살에 ...
    게재일1907년 4월 30일 | 기사분류논설

기타자료(2)

  • 왜에서 백제에 사신을 보내어 재주 있는 자를 바치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百濟 勿使通於日本 吾者據有任那 亦勿通於日本 弟君之婦樟媛 國家情深 君臣義切 忠踰白日 節冠靑松 叛 盜殺其夫 隱埋室內 乃與海部直赤尾將百濟所獻手末才伎 在於大嶋 天皇聞弟君不在 遣日鷹吉士堅磐固安錢[堅磐 此云柯陀之波] 使共復命 遂卽安置於倭國吾礪廣津[廣津 此云比盧岐頭]邑 而病死...
    대표표제어왜에서 백제에 사신을 보내어 재주 있는 자를 바치게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63년(癸卯/신라 자비마립간 6/고구려 장수왕 51/백제 개로왕 9/劉宋 大明 7/倭 雄略 7)
  • 왜에서 백제에 사신을 보내어 재주 있는 자를 바치게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已見上文] 今恐 禍及於身 可蹻足待 吾兒汝者 跨據百濟 勿使通於日本 吾者據有任那 亦勿通於日本 弟君之婦樟媛 國家情深 君臣義切 忠踰白日 節冠靑松 叛 盜殺其夫 隱埋室內 乃與海部直赤尾將百濟所獻手末才伎 在於大嶋 天皇聞弟君不在 遣日鷹吉士堅磐固安錢[堅磐 此云柯陀之波] 使共復命 遂...
    대표표제어왜에서 백제에 사신을 보내어 재주 있는 자를 바치게 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463년(癸卯/신라 자비마립간 6/고구려 장수왕 51/백제 개로왕 9/劉宋 孝武帝 大明 7/倭 雄略天皇 7)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

    개장 때와 진전 작헌례를 행할 때 백관과 제관이 쓰는 모자. 는 진전의 작현례와 다례, 왕릉의 개장 시 문무관이 흉배가 없는 무양흑단령, 흑각대와 함께 사용하는 모자이다. 또한 원ㆍ묘를 배알할 때 배행하는 백관들이 천담복에 를 쓴다. 는 고려 시대

  • 김정희 영정 / 金正喜影幀 [예술·체육/회화]

    이한철(李漢喆) 등이 김정희를 그린 영정. 1857년(철종 8)작. 비단바탕에 채색. 세로 131.5㎝, 가로 57.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예산김정희종가유물(보물 제547호) 중의 하나이다. (, 沙帽)를 쓰고 쌍학문양(雙鶴文樣)의 흉배를 착용한 정장

  • 각릉기신제청명제홀기 / 各陵忌辰祭淸明祭笏記 [정치·법제]

    능에서 지내는 기신제(忌辰祭)와 청명제(淸明祭)의 의식 절차를 적은 홀기. 끝에 작은 글자로 '다만 기신제 복장은 천담단령, , 오각대, 백피화를 착용, 청명제에는 흑단령, 모, 대, 흑피화로 하라'는 단서를 달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작성하였다.

  • 길복 / 吉服 [정치·법제]

    상을 마친 후 입는 평상시의 복식. 국상의 경우 발인 때에는 포단령, 포직령, 최질복, 삼베융복, 백두건에 백호의 등 각자의 신분과 역할에 맞는 상복을 착용하였다가, 반우 때에는 상례에 의해 길복으로 갈아입게 된다. 즉 흑단령ㆍㆍ흑각대 차림이나 흑두건에 흑호의

  • 광명 이원익 초상화 / 光明 李元翼 肖像畵 [예술·체육/회화]

    조선시대의 문신이었던 이원익의 초상화. 인물의 모습과 자세는 보물 제1435호로 지정된 이원익의 초상화와 거의 같은데 다만 바닥에는 채전이 그려지지 않았다. 자세히 살펴보면 에서부터 얼굴 부분을 포함하여 흉배 위까지는 별도의 종이에 그렸던 것을 오려 붙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