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미자” 에 대한 검색결과 6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5)

사전(14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또는 도란상(倒卵狀) 구형이고 길이 6∼12㎜로 한두 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이 열매는 달고, 시고, 쓰고, 맵고, 짠 다섯 가지의 맛을 고루 갖추고 있다고 하여 라 하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신맛이 가장 강하다. 신맛의 성분으로서는 말산(malic acid)‧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나무의 열매를 달여서 마시는 차. [내용] 나무는 덩굴나무로서 그 열매는 이삭처럼 늘어져 열리는데, 빨갛게 익는다. 열매는 맛이 달면서도 몹시 신데, 특히 기침과 천식에 효험이 있다. 가을에 잘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잘
  • TD_R2_D_0159 식물 實如山葡萄, 土產, 天下 濟州, 朝鮮 風土錄 D_05_04_47 대동운부군옥 5권 4장 4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4장 4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식(茶食), 의이(薏苡), 편[餠], 화채(花菜)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식재료 대한민국 조선 한복진 전국 8~9월
    관련어오미자다식(五味子茶食), 오미자의이(五味子薏苡), 오미자편[五味子餠], 오미자화채(五味子花菜)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782 동식물 () 과의 낙엽 덩굴식물. 나무의 열매로 지름 약 1cm의 짙은 붉은 빛깔이다. 단맛 ‧ 신맛 ‧ 쓴맛 ‧ 짠맛 ‧ 매운맛의 5가지 맛이 나서 ()라고 불린다. 다섯 가...
    유형분류동식물

고서·고문서(473)

기초학문(1)

  • 를 이용한 스포츠드링크의 효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35475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학회 2002 를 이용한 스포츠드링크의 효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6)

멀티미디어(5)

  • 18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744_18세기_중반_() 경제_1744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828_16세기_초반_[] 경제_88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242_토공_15세기_중반_() 경제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73_약재_15세기_중반_() 경제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225_17세기_중반_() 경제_1225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

  • (현장의 소리) 한 여름에 쓰는 나의 비망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97 9 교육제주 97호 제주도교육청 98-99 ...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오미자 | 사료철명교육제주

주제어사전(4)

  • / [과학/식물]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덩굴성 관목. 이 식물은 각지의 산골짜기, 특히 전석지(轉石地: 모가 나지 않고 둥글둥글한 돌이 있는 곳)에서 군총을 이루어 자라는 식물로 잎이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을 이루고 있다. 잎의 길이는 7∼10㎝, 너비 3∼5㎝로서

  • 근동군락 / 芹洞─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화성군 근동리에 있는 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428호. 군락은 근동리 대동부락에서 약 1㎞ 정도 떨어진 펑퍼짐한 산능선에 퍼져 있다. 북쪽에는 야기천이 흐르고 개울의 동서남쪽에는 덩굴이 자라고 있다. 덩굴은 소나무·참

  • 구례분지 / 求禮盆地 [지리/자연지리]

    된 퇴적물이 쌓여 선상지들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분지의 남쪽에서 섬진강으로 유입한다. 구례는 밤·대추·표고버섯·벌꿀의 생산량이 많고, 산수유··생지황·당귀 등의 생약재가 특산물로 꼽힌다. 특히 구례 산수유는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오가산 원시림 / 五佳山原始林 [지리/자연지리]

    비나무·가문비나무·들메나무·피나무류, 주목 등이고 약용식물은 만삼·당귀· 등이며 식용식물, 경관식물, 밀원식물, 향료식물 기타가 퍼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