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오미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5)
사전(149)
- 오미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또는 도란상(倒卵狀) 구형이고 길이 6∼12㎜로 한두 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이 열매는 달고, 시고, 쓰고, 맵고, 짠 다섯 가지의 맛을 고루 갖추고 있다고 하여 오미자라 하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신맛이 가장 강하다. 신맛의 성분으로서는 말산(malic acid)‧타...
- 오미자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오미자나무의 열매를 달여서 마시는 차. [내용] 오미자나무는 덩굴나무로서 그 열매는 이삭처럼 늘어져 열리는데, 빨갛게 익는다. 열매는 맛이 달면서도 몹시 신데, 특히 기침과 천식에 효험이 있다. 가을에 잘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잘
- 五味子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2_D_0159 五味子 식물 實如山葡萄, 土產, 天下 濟州, 朝鮮 風土錄 D_05_04_47 대동운부군옥 5권 4장 4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4장 4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오미자(五味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오미자 오미자 五味子 오미자다식(五味子茶食), 오미자의이(五味子薏苡), 오미자편[五味子餠], 오미자화채(五味子花菜)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식재료 대한민국 조선 한복진 전국 8~9월관련어오미자다식(五味子茶食), 오미자의이(五味子薏苡), 오미자편[五味子餠], 오미자화채(五味子花菜)
- 오미자(五味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782 동식물 오미자(五味子) 오미자 五味子 오미자과의 낙엽 덩굴식물. 오미자나무의 열매로 지름 약 1cm의 짙은 붉은 빛깔이다. 단맛 ‧ 신맛 ‧ 쓴맛 ‧ 짠맛 ‧ 매운맛의 5가지 맛이 나서 오미자(五味子)라고 불린다. 다섯 가...유형분류동식물
고서·고문서(473)
- ○사군자탕(四君子湯)에 누룩[麴]‧맥아(麥芽)‧오미자(五味子)‧황기(黃耆)‧황백(黃柏)을 더한 것을 먹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2_294_144 1562년5월 ○사군자탕(四君子湯)에 누룩[麴]‧맥아(麥芽)‧오미자(五味子)‧황기(黃耆)‧황백(黃柏)을 더한 것을 먹었다 1562년 5월 26일 기유, 비가 내림. ○사군자탕(四君子湯)에 누룩[麴]‧맥아(麥芽)‧오미자(五味子)‧황...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궐어(鱖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403 B030403 궐어 鱖魚 수산물 大東地誌 권5 경상도 三嘉 土産 鐵竹楮柹五味子蜂蜜麝香銀口魚鱖魚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린어(錦鱗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356 B031356 금린어 錦鱗魚 수산물 大東地誌 권2 경기도 朔寧 土産 人蔘鹿茸紫草五味子松蕈蜂蜜訥魚錦鱗魚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린어(錦鱗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360 B031360 금린어 錦鱗魚 수산물 大東地誌 권2 경기도 漣川 土産 五味子紫草錦鱗魚訥魚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린어(錦鱗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363 B031363 금린어 錦鱗魚 수산물 大東地誌 권11 평안도 順川 土産 桑麻漆五味子紫草蜂蜜訥魚錦鱗魚餘項魚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오미자를 이용한 스포츠드링크의 효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35475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학회 2002 오미자를 이용한 스포츠드링크의 효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6)
- 소녀단_1982_03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주정련 16 소녀계획위원회를 개최 오미자 16 선생님과 친구들간의 갈등 17 고사풀이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82
- 송화강_1985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도시의 한 세가닥 갈림길목에서 박문봉 58 오미자(외1수) 리영근 58 나는 자연의 주인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5
- 천지_1993_38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녀류작가특집-웃어야 할 날입니다 전춘식 33 녀류작가특집-인생도 오미자같네요 최홍자 34 녀류작가특집-나는 나를 안다 김영애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3
- 소녀단_1982_03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0 우리는 하나 오선화 22 우애일을 밝힐 장식초 오미자 22 뉴질랜드 캠프에서의 게임 김...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82
- 연변문학_2002_49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골어커에서 김학송 186 추억은 구름 따라-송아지친구에게 김학송 187 오미자 김학송 188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2
멀티미디어(5)
- 18세기 중반 오미자(五味子)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744_18세기_중반_오미자(五味子) 경제_1744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오미자[五味子]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828_16세기_초반_오미자[五味子] 경제_88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오미자(五味子)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242_토공_15세기_중반_오미자(五味子) 경제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오미자(五味子)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73_약재_15세기_중반_오미자(五味子) 경제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오미자(五味子)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225_17세기_중반_오미자(五味子) 경제_1225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1)
- (현장의 소리) 한 여름에 쓰는 나의 비망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오미자 1997 9 교육제주 97호 제주도교육청 98-99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오미자 | 사료철명교육제주
주제어사전(4)
-
오미자 / 五味子 [과학/식물]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덩굴성 관목. 이 식물은 각지의 산골짜기, 특히 전석지(轉石地: 모가 나지 않고 둥글둥글한 돌이 있는 곳)에서 군총을 이루어 자라는 식물로 잎이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을 이루고 있다. 잎의 길이는 7∼10㎝, 너비 3∼5㎝로서
-
근동오미자군락 / 芹洞─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화성군 근동리에 있는 오미자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428호. 오미자군락은 근동리 대동부락에서 약 1㎞ 정도 떨어진 펑퍼짐한 산능선에 퍼져 있다. 북쪽에는 야기천이 흐르고 개울의 동서남쪽에는 오미자덩굴이 자라고 있다. 오미자덩굴은 소나무·참
-
구례분지 / 求禮盆地 [지리/자연지리]
된 퇴적물이 쌓여 선상지들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분지의 남쪽에서 섬진강으로 유입한다. 구례는 밤·대추·표고버섯·벌꿀의 생산량이 많고, 산수유·오미자·생지황·당귀 등의 생약재가 특산물로 꼽힌다. 특히 구례 산수유는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오가산 원시림 / 五佳山原始林 [지리/자연지리]
비나무·가문비나무·들메나무·피나무류, 주목 등이고 약용식물은 만삼·당귀·오미자 등이며 식용식물, 경관식물, 밀원식물, 향료식물 기타가 퍼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