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오명항”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0)
사전(58)
- 오명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오명항 초상 및 양무공신교서 조선 후기의 문신 오명항(1673∼1728)을 그린 초상화. 영조연간 작. 103.4cmx173.5cm. 보물 제1177호. 오명항 167...이칭별칭 사상(士常)| 모암(慕菴), 영모당(永慕堂)| 충효(忠孝)
-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안성시 낙원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오명항의 업적 기념비. [내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9호.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토평(討平)하여 분무공신(奮武功臣) 1등이 되고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에...연계항목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吳命恒先生討賊頌功碑)
- 오명항영정병함부양무공신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오명항(吳命恒)을 그린 초상화와 함 그리고 공신 교서. [내용] 영조 연간 작.비단 바탕에 채색. 초상화 크기 세로 173.5cm, 가로 103.4cm, 교서 크기 세로 42.9cm, 가로 289cm. 보물 제1177호...연계항목오명항영정병함부양무공신교서(吳命恒影幀幷函附揚武功臣敎書)
- 이익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켜보기도 하였다. 1703년(숙종 29) 무과에 급제하였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가 난을 일으키자 도순무사 오명항(吳命恒)과 함께 금위우별장(禁衛右別將)에 제수되어 토벌에 임하게 되었다. 토벌시 양난 이후 계속된 태평세월로 인하여 병사들이 적진으로 나...이칭별칭 문원(聞遠)| 하옹(霞翁)| 양무(襄武)|전양군(全陽君)
- 강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賁衛副詞猛)을 지냈다. 1728년 성환찰방으로 있을 당시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났을 때, 당시 순무사이던 오명항(吳命恒)이 강백의 도움으로 공을 세우고 분무공신(奮武功臣) 1등이 되었는데도 책훈할 때 강백은 오히려 무고한 죄를 입어 철산(鐵山)...이칭별칭 자청(子靑)| 우곡(愚谷)
고서·고문서(62)
- 1723년 사제(舍弟) 오명항(吳命恒)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2826 B07282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5年 6月 25日_031 ○讀慶尙監司吳命恒狀達, 東萊倭船往來成冊上送備局事。 達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배량(加背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30 B001730 가배량 加背梁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37年 1月 17日_002 ○下直, 綾州牧使鄭思孝, 珍島郡守李思牧, 務安縣監黃翼再, 龍岡縣令吳命恒, 西平萬戶金斗萬, 豆毛浦萬戶李, 加背梁萬戶宋瑞熙。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독도(纛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81 B066781 독도 纛島 도서 서울특별시 承政院日記 景宗 3年 1月 20日_029 ○癸卯正月二十日午時, 承旨持公事, 玉堂召對入侍時, 左承旨吳命恒, 侍講官鄭壽期, 檢討官李顯章, 假注書洪聖輔, 記事官申致雲·尹容。 上御熙政堂。 吳命恒, 持公事進伏, 讀戶曹草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서울특별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894 B036894 내포 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38年 4月 23日_016 ○晝講時, 侍讀官吳命恒所啓, 臣於春間, 適往內浦時, 以忠淸水營事, 稔聞物情。 今聞倭館事, 有所仰陳矣。 壬辰之亂, 陸路, 勝捷者少, 而水路, 則賴李舜臣遮遏之功, 倭船一隻, 無上來者,...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오명항 / 吳命恒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윤겸 현손, 달천 증손, 할아버지는 도융, 아버지는 수량, 어머니는 여성제의 딸이다. 1705년(숙종 31)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709년 교리를 거쳐 설서·사서 등을 역임하고, 이듬해 부수찬, 1
-
황택후 / 黃宅厚 [종교·철학/유학]
1687(숙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황상구이다. 최창대·이하곤·구택규 등의 문인이다. 금위영의 서리로 일하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을 토벌하는 도순무사 오명항의 막하에서 서기로
-
분무공신 / 奮武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728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 또는 그 훈호를 받은사람. 1등은 병조판서 오명항으로,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 2등은 박찬신·박문수·이삼·조문명·박필건·김중만·이만빈 등 7인으로 수충갈성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3등은
-
녹훈도감의궤 / 錄勳都監儀軌 [종교·철학/유학]
(上變)한 이석룡(李碩龍)을 녹훈한 내역의 합록(合錄)이다. ≪분무녹훈도감의궤≫는 1책 242장의 필사본으로, 1728년(영조 4) 4월부터 8월까지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평정한 오명항(吳命恒) 등 15인의 공신에게 녹훈한 기록이다.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는 ≪소무녹
-
김중만장군공신록및교지 / 金重萬將軍功臣錄─敎旨 [언론·출판/출판]
1728년 무신 김중만을 분무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문서는 모두 3점으로, 교서 1점, 교지 2점이다. 1728년 7월에 작성된 교서(敎書, 공신록)에는 1등 공신에 오명항, 2등 공신에 김중만·박찬신(朴讚新)·박문수(朴文秀) 등